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0470
성명
한자 金明辰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6 훈격 애족장
1919.4.8 오후 9시경 경기도(京畿道) 인천(仁川) 인천공립보통학교(仁川公立普通學校)에서 박철준(朴喆俊)과 함께 동교 직원과 경찰이 서로 내통하는 수단인 전화선을 절단하고 전화 수화기를 부수는 등 통신을 막기 위하여 활동을 벌이다가 피체되어 징역1년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인천(仁川) 사람이다.

1919년 3월 인천공립보통학교 3학년에 재학 중 동급생들과 함께 동맹휴학을 벌이던 김명진은 3·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교내에서 일경의 사주를 받은 교원들에 대항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인천공립보통학교 맹휴가 일어나자 일경은 학교 교원을 통하여 동맹휴교 중인 학생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김명진 등은 교원들로부터 심한 감시와 통제를 받는 고통을 당하였다.

이 과정에서 김명진은 교원들의 감시와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통신망을 절단할 계획을 세우고, 동급생 이만용(李萬用)·박철준(朴喆俊) 등과 함께 행동대를 조직하고 통신망 절단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그리하여 3월 8일 오후 9시경, 김명진·박철준은 인천공립보통학교 내에 몰래 들어가 전선 절단용 가위로 전화선을 절단하고, 사무실 전화기를 부숴 외부와의 통신을 절단하는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조직적인 동맹휴학을 계획하던 중, 지난 일이 발각되면서 김명준은 일경에 붙잡히고 말았다.

이 일로 그는 1919년 6월 2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전신법·절도 등으로 징역 2년을 받았으나, 공소하여 같은 해 7월 25일 경성복십범원에서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 309∼311面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國史編纂委員會) 別集 第1輯 567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9卷 217·218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명진 - 경기도 부천(富川) 인천부 만세시위
본문
1900년 10월 8일 경기도 부천군(富川郡)에서 태어났다. 1919년 경기 인천부(仁川府)에 거주하였으며, 인천공립보통학교 3학년 학생이었다. 3·1운동에 호응하여 인천공립보통학교 학생들과 공립상업학교 학생들은 3월 6일부터 동맹휴학을 실시하면서 시가를 중심으로 만세 시위를 하였다. 주로 3·4학년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하급생들의 등교를 막고 인천부 내에 독립선언서와 다양한 격문들을 배포하며 노동자 시민들의 만세 시위 참여를 독려하였다. 3월 9일에는 경인가도와 만국공원에서 수백 명의 군중이 만세 시위를 일으켰고, 3월 10일에는 시내 중심가에서 시민과 학생 200여 명이 모여 독립 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을 하였다. 이에 인천공립보통학교 직원과 관할 경찰서 사이에 전화로 동맹휴학 중인 학생들의 행동을 조사하고 훈계를 하였으며, 가정을 방문해 등교를 촉구하는 현상이 이어졌다. 이 소식을 전해 듣고 이만용(李萬用)·박철준(朴喆俊)과 의기투합하여 학교와 경찰관서를 연결하는 전화선을 절단하기로 결심하였다. 3월 8일 오후 9시경 인천부 우각리(牛角里)에 있는 인천공립보통학교 내에 잠입하여 박철준은 망을 보고 자신은 전화선을 절단하고 사무실의 전화 수화기를 파괴하여 통신을 두절시켰다. 이같은 활동으로 인천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의 동맹휴학도 좀 더 오래 지속할 수 있었다. 3월 14일 학부형회를 열어 압박하였지만, 15일에도 여전히 총 405명 중 80여명 가량의 학생은 출석하지 않았다. 이 일로 이만용·박철준·손창신(孫昌信)과 함께 잡혀 재판에 회부되었다. 1919년 6월 2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형법 제130조와 전신법 제37조 위반 혐의로 징역 2년 형을 선고받았다. 1919년 7월 2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로 감형받았고 상고하였으나, 1919년 10월 9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다. 이후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고 1921년 4월 9일 만기 출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전신법위반, 절도 징역 2년(미결구류일수 60일 본형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06-21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절도, 전신법위반 징역 1년 6월(원판결중 피고에 관한부분 취소), 절도 공소사실은 무죄 경성복심법원형사부 1919-07-25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절도, 전신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19-10-09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산골 유골을 화장하여 산이나 강, 바다 등에 흩뿌려 묘소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3.1독립만세운동 인천지역발상지기념비 인천광역시 동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명진(관리번호:3047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