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146
성명
한자 李元益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년 임정(臨政) 창설자의 1(人)으로 활동하고 사료편찬위원(史料編纂委員)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안북도 선천(宣川) 사람이다.

1919년 평북 의주의 고령(古寧)교회 목사로 재직 중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여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33인 중의 한 사람인 유여대(劉如大)를 비롯하여 안석응(安碩應) 김창수(金昌洙) 등과 함께 양실학원(養實學院) 운동장에 모여서 독립선언서를 각 관서에 보내고 청년들을 통해 시내와 인근 농촌에까지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게 하여 모두들 태극기를 들고 운동장에 모여 독립만세운동을 불렀다. 유여대(劉如大)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시가행진을 전개하자 일본 경찰과의 격돌로 일대 혼란이 야기되었다.

그는 일본 경찰에 쫓기게 되자 평안북도 구성군(龜城郡)으로 피신하여 비밀리에 의용군(義勇軍)을 모집하여 태천경찰서를 습격하려 하였으나 사전 발각되어 실패하고 4월 13일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한편, 상해에서는 많은 독립지사들이 곳곳에서 모여들어 임시정부를 설립하고 임시의정원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4월 22일과 23일에 개최된 제2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그는 평안도 의원으로 피선되었다. 제2차 의정원 회의에서는 국무원 비서장 조소앙(趙素昻) 내무차장 신익희(申翼熙) 등의 사직청원 수리와 차장제 폐지 및 위원제 사용의 결의, 각 부 위원의 선정, 임시의정원 성립 발포의 결의 등을 의결하기도 하였다.

1919년 5월 12일에 개최된 제4차 의정원 회의에서는 국무위원인 조완구(趙琬九)가 시정방침을 밝힌 가운데 외교항목에서 사료편찬 사업계획을 강조하고 있으며 7월 8일에 개최된 제5회 의정원 회의에서도 안창호(安昌浩)가 이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임시정부 내에 임시사료편찬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임시사료편찬회는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역사 전적(典籍)으로 구비하자는 의도와 한국의 독립운동을 올바로 국제적으로 이해시킨다는 선전 외교의 의도에서 만들어진 기관이다.

임시사료편찬회의 총재는 안창호(安昌浩) 주임에는 이광수(李光洙) 간사에는 김홍식(金弘植)이 선임되었으며, 그는 김병조(金秉祚) 장 붕(張鵬) 김 한(金翰) 김두봉(金枓奉) 박현환(朴賢煥) 김여제(金輿濟) 이영근(李永根)과 함께 위원으로 피임되어 근무하였다.

이 편찬회는 1919년 7월 2일에 조직되어 그해 9월 23일에 "한일관계사료집" 전4권을 편찬 완료하고 해산하였다.

또한 그는 같은 해 5월 목사 안승원(安承源) 김병조(金秉祚) 손정도(孫貞道) 장덕로(張德櫓) 등과 연서(連署)한 진정서를 여운형 편에 만국장로교연합회(萬國長老敎聯合會)에 탁송하여 일제의 탄압정책을 폭로 규탄하였으며, 국민대표회기성위원회(國民代表會期成委員會) 집행위원, 그리고 동년 8월에는 임시의정원 외교위원회위원 등으로 독립운동에 이바지하였다.

또한 동년 12월에는 대한 적십자회에 가입하여 자유대(自由隊) 대원으로도 활약하였다.

1920년 1월에는 임시정부 서무국장에 임명되어 동년 7월까지 근무하였으며, 동년 9월에는 중 한(中韓) 양국민이 일제에 공동으로 대적하기 위한 조직으로 중 한국민호조사(中韓國民互助社)가 설치되자 여기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1년 3월에는 다시 대한야소교진정회(大韓耶蘇敎陳情會)를 조직하게 되었는데 그 서기에 임명되어 한국 독립의 불가피함을 각국에 널리 알렸으며, 동년 5월에는 임시정부 내에 알력이 일자 국민대표회기성위원회(國民代表會期成委員會)를 조직하고 그는 집행위원이 되어 활약하기도 하였다. 이후 1924년에는 임시정부 인사국장, 1925년에는 비준국장에 임명되어 계속 활동하다가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서 입국하였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겪었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민족운동연감 5 16 17 18 23 28 31 85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67 339 345 409면
  • 무장독립운동비사 25 26 32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34 71 72 159 200 204 433 438 479 508 530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38 39 42 43 46 47 54 55 152 218 328 354 36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46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61 162 197 201 41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7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13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4권 457면
  • 고등경찰요사 87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5 66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238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45 51 54 56 59 68 73 74 103 104 112 113 117 121 12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147 148 149 155 156 160 164 175 189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원익(관리번호:114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