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283
성명
한자 崔亨祿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6 훈격 애족장
부군(夫君)조소앙(趙素昻)독립운동(獨立運動)지원(支援)하였으며 1940년 한국여성동맹(韓國女性同盟)영도성원(領導成員)으로 활동(活動)하였으며 1943년 이전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1933년 가입(加入):신청인(申請人) 주장(主張))에 가입하여 활동(活動)하였고 1943년에는 중국(中國) 중경(重慶)에서 김순애(金淳愛) 등과 함께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조직(組織), 간부(幹部)로 활약하였고 동년(同年) 12월 4일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외무부(外務部) 총무과 과원(總務科科員)으로 임명되어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평남 평양(平壤) 사람이다.

최형록은 1914년 상해의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수료하고, 독립운동계에 투신한 뒤 1940년 한국여성동맹회, 애국부인회 등 중국관내 여성독립운동단체에서 활약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 과원으로 활동하였다.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한 그는 1914년 박은식 . 신규식 등이 상해에서 설립한 박달학원에서 수학하며 민족의식을 키워 나갔다. 그리고 1918년 4월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가 조소앙(趙素昻)과 결혼하면서 본격적으로 독립운동계에 투신하였다.

1940년 최형록은 한국여성동맹회(韓國女性同盟會)를 조직하여 감찰위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1943년에는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의 간부로 활동하였다.

한편 그는 1940년 5월 중경(重慶)에서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재건한국독립당(再建韓國獨立黨)·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등 3당이 통합하여 결성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 1943년 6월 가입하여 여성당원으로서 독립운동의 일선에서 활약하였다.

또한 1943년 12월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 과원으로 선임되어 남편을 도와 임시정부의 외교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365面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3卷 612面
  • 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國會圖書館) 857面
  • 資料韓國獨立運動(秋憲樹) 第1卷 316面
  • 關內地區朝鮮人反日獨立運動資料彙編(楊昭全等編, 1987) 上冊 354·412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형록 - 평남 평양(平壤) -
본문
1895년 2월 20일 평안남도 평양(平壤)에서 태어났다. 1910년 중국으로 건너갔다. 상하이(上海)에서 박은식(朴殷植)·신규식(申圭植)·조소앙(趙素昻) 등이 설립한 박달학원에 1914년 입학하였다. 1918년 4월 조소앙과 결혼하였다. 1931년 9월 25일 상하이의 한인 교포들이 일본의 만주 침략을 규탄하고자 열었던 상해한교전체대회에서 안창호(安昌浩)·차리석(車利錫)·조완구(趙琬九)·박창세(朴昌世) 등과 더불어 연설하였다. 1938년 4월 24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여당이었던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이 청년당의 기관지로 창간한 󰡔한청(韓靑)󰡕 제3권 제4기에 「여성들아 맹성하여 날라가자!」 라는 제목의 논설을 기고하여 중국에서의 한인들의 희생을 고발하며 한인 여성의 항일운동을 촉구하였다. 이는 󰡔신한민보󰡕에 전재(轉載)되었다. 1940년 5월 충칭(重慶)에서 한국국민당·재건한국독립당(再建韓國獨立黨)·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등 3당이 통합하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결성하였다. 같은 해 6월 17일 한국독립당의 산하에 여성 당원을 중심으로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이 창립될 때 이에 참여하여 감찰위원을 맡았다. 1940년대 당파와 이념을 초월하여 임시정부 중심으로 통합하자는 여론에 힘입어 임시정부 수립 초기 상하이에서 결성되었다가 와해되었던 ‘상해애국부인회(上海愛國婦人會)’를 재건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1943년 2월 23일 충칭에서 애국부인회 재건대회를 통해 한국애국부인회가 탄생하자 남편 조소앙의 여동생 조용제(趙鏞濟)와 참여하여 간부로서 활동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통합 한국독립당에 딸 조계림(趙桂林)과 가입하였다. 1944년 12월 조계림과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 과원(科員)으로 선임되어 임시정부 외무부 직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형록(관리번호:928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