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107
성명
한자 黃贊西
이명 黃贊瑞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919. 4. 4 전북 남원군 남원읍에서 3,000여 명의 군중이 독립만세 시위를 할 때 청년돌격대(靑年突擊隊)의 일원으로 남원헌병대(南原憲兵隊)를 습격하다 적병의 총탄에 맞아 중상을 당하고 9일 만에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전라북도 남원(南原) 사람이다.

1919년 4월 4일의 남원읍 장날을 이용하여 방극용(房極鏞)·형갑수(邢甲洙) 등이 주동하여 전개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이날 정오경, 광한루(廣寒樓) 광장에 모인 1천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남문(南門)을 거쳐 시장으로 시위행진을 전개하였다. 이때, 일제는 장날에 대비하여 헌병과 수비대의 병력을 응원받아 삼엄한 경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위군중과 함께 헌병분견소에 도착하여 만세시위를 벌일 때, 사태의 위급함을 느낀 일군경의 무차별 사격으로 인하여 방극용 등 8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10여명의 중상자를 낸 채 해산하였다. 그는 이때 현장에서 총탄을 맞고 중상을 입었으며, 전주(全州)의 자혜병원(慈惠病院)에서 응급치료를 받았으나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증인신문조서(1919. 4. 5 광주지방법원 남원지청 검사분국)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541∼54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황찬서 - 전북 남원 남원읍 시위
본문
1873년 3월 30일 전라북도 남원군(南原郡) 남원면(南原面) 왕정리(王亭里)에서 태어났다. 집안 내력과 성장 과정 등은 정확히 알 수 없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은 곧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소식은 전북 남원군에도 전파되어 남원읍(南原邑)에서도 장날을 이용해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4월 4일 일어난 남원읍 만세시위는 전날인 4월 3일 남원군 덕과면장(德果面長) 이석기(李奭器), 면서기(面書記) 조동선(趙東先) 등이 주도했던 덕과면 시위의 여파로 일어났다. 이날 사매면(巳梅面) 오신헌병주재소(梧新憲兵駐在所)에 구속되었던 이석기 일행이 4월 4일 오전에 남원읍으로 압송되자, 이형기(李炯器)·이성기(李成器) 등 이석기의 일족이 구출하기 위해 남원읍 북(北)시장에서 군중들을 선동하여 만세를 부르도록 한 데서 촉발하였다. 당일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남원읍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남원 북시장 일대를 행진하던 시위 행렬과 함께 남원읍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던 남원헌병분대로 나아갔다. 이 소식을 듣고 미리 장날 시위가 일어날 것을 경계해 수비하고 있었던 일제 헌병대는 시위 군중에게 해산을 요구하면서 시위를 해산시키려고 하였다. 하지만 시위대가 해산을 거부하고 저항하자, 일제 헌병들은 무차별 사격을 가하면서 시위대를 살상하였다. 이날 일제 헌병의 무차별 사격으로 방극용(房極鏞)·방진형(房鎭炯)·방명숙(房明淑) 등 8명의 시위 참가자가 현장에서 사망하였으며, 10여 명이 중상을 입었다. 일제의 무리한 진압 과정에서 일제 헌병의 총탄을 맞고 중상을 입어 전주(全州)의 자혜병원(慈惠病院)에서 응급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비석 독립유공 애국지사 추모비 전라북도 남원시
2 비석 3·1운동 기념비 전라북도 남원시
3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황찬서(관리번호:810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