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84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李泳三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91 훈격 애국장
1908.8월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안규홍 의진(安圭洪義陣)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活動)하였고 의병(義兵)인솔(引率)하여 진산(眞山)에서 적 수비대(敵守備隊)격전(激戰)을 벌여 대승(大勝)을 거두었고 순천(順天) 병치(竝峙)에서 일군(日軍)교전(交戰)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전남 사람이다

1908년 전남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 한 안규홍(安圭洪)의진의 선봉장으로 보성·순천(順天)·장흥(長興)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의병을 인솔하여 진산(眞山)에서 적의 수비대와 격전을 벌인 끝에 대승을 거두었다. 그 뒤 1908년 8월경 순천 병치(幷峙)에서 일군과 교전중에 전사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1卷 605∼609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3輯 334∼336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영삼 - 전남 후기의병
본문
전라남도 출신으로 참여한 의병부대나 활동 지역 등으로 미루어볼 때, 보성군(寶城郡) 또는 그 인근지역 출신일 것으로 추정된다. 1908년 거의한 안규홍(安圭洪) 의병부대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희생되었다. 본래 머슴 출신으로 대표적인 평민 의병장인 안규홍은 1907년 헤이그특사 사건으로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하고 대한제국 군대도 해산당하자, 이에 격분하여 의병을 일으키고 전남 보성 일대에서 활동하였다. 이때 안규홍은 “왜적은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원수이며 임진년(壬辰年) 이후부터는 하늘을 같이 하고 살 수 없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우리나라를 삼켜 버리고 우리 임금을 욕보이고 우리 백성을 노예로 만들게 되었다. 우리들은 선왕의 신민이요 선조의 자손으로 이 광경을 차마 보고만 있겠느냐. 한 도둑놈만 죽이더라도 실로 이것이 나의 일이다”라며 항일의지를 밝히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가난한 소작농과 머슴들을 널리 의병으로 모집하였다. 그러자 여기에 오주일(吳周一)을 비롯한 해산 군인들이 합류함으로써, 안규홍 의병부대가 조직되었다. 안규홍 의병부대가 200여 명의 규모로 각 부서와 직위가 체계화되던 1908년 2월경 의병부대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부대장 염재보(廉在輔), 참모장 오주일·나창운(羅昌運), 중군장 김종철(金鍾喆)·이양선(李良先)·안재찬(安載瓚), 선후군장 선규명(宣圭明)·김학천(金鶴千)·오윤칠(吳允七), 포량장(布糧將) 박제현(朴濟鉉), 서기 임정현(任淨鉉) 등과 함께 선봉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동료 의병들과 함께 1908년 8월 안규홍 의병장의 지휘를 받은 진산대첩(眞山大捷)에서 대승을 거두는데 크게 활약하였다. 그러나 같은 달 순천 병치(竝峙)에서 전개된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부대의 승리에는 일조하였지만, 교전과정에서 적이 쏜 포탄에 맞아 결국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영삼(관리번호:684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