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540
성명
한자 李斗一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년도 1992 훈격 대통령표창
1931.3.6 제주농업학교(濟州農業學校) 재학시(在學時) 일인 교장(日人校長)이 조선학생을 경멸(輕蔑)하고 식민지 교육(植民地敎育)실시(實施)하는데 (對)하여 평소(平素) 불만(不滿)을 가진 김원요(金源堯)퇴학(退學)시키고 신창진(愼昌珍) 양두옥(梁斗玉)학생(學生)(對)하여 진급(進級)을 시키지 않음에 (對)하여 이들이 학교측(學敎側)항의(抗議)함에 일경(日警)전원(全員)구속(拘束)하게 되자, 이 모든 책임(責任)학교장(學校長)에게 있다고 결단(決斷)하여 이날 저녁에 규합(糾合)학생(學生)들과 함께 교장(校長) 사택(舍宅)습격(襲擊)하여 가옥(家屋)파괴(破壞)(後) 피신(避身)하였으며 다시 조천면(朝天面)에서 격문(檄文)살포(撒布)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 , 5년간(年間) 집행유예(執行猶豫)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피체(被逮) : 남에게 붙잡힘
  • 규합(糾合) : 어떤 일을 꾸미려고 세력이나 사람을 모음.
  • 일경(日警) : 일제 경찰.
  • 격문(檄文) : 1.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어 부추기는 글. 2. 급히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각처로 보내는 글. 3. 군병을 모집하거나, 적군을 달래거나 꾸짖기 위한 글.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제주(濟州) 사람이다.

1931년 3월 6일 제주농업학교(濟州農業學校)에서 일인 교장 삼기승장(杉崎勝藏)이, 평소 조선인학생을 경멸하며 식민지 교육을 강제(强制)하는데 불만을 나타낸 김원요(金源堯) 학생을 퇴학시키고, 신창진(愼昌珍)·양두옥(梁斗玉) 두 학생을 유급(留級)시켰을 뿐 아니라, 졸업생에 대한 재학생의 송별회(送別會)도 열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였다. 이에 3월 7일 김원요(金源堯)가 항의하고 9일에는 신창진(新昌珍)외 9명이 학교측에 다시 강경하게 항의하자, 일경이 이들을 모두 구속(拘束)하는 것을 보고, 홍성옥(洪成玉)·오화국(吳化國)과 함께 회합(會合)을 갖고 모든 책임이 교장(校長)에게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날 저녁때 교장 사택(舍宅)을 습격하였으며, 마당에 있는 장작, 곤봉(棍棒), 돌맹이 등으로 유리창과 가옥(家屋)·기물(器物)을 파괴하고, 일시 피신하였다가 다시 조천면(朝天面)에서 격문(檄文)을 살포하던 중 3월 13일 일경에게 붙잡혔다.

1931년 8월 3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폭행행위에 관한 법으로 유죄판결을 받아 공소하였으나 1931년 10월 22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에 5년간 집행유예를 받아 출옥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31. 10. 22 대구복심법원)
  • 제농회우(제주농업고등학교총동창회, 1985. 10. 1) 6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694·695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3집 1562·156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두일 - 제주 -
본문
1914년 6월 17일 제주도 구좌면(舊左面) 평대리(坪垈里)에서 이홍림(李洪琳)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7년 3월 하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농업학교에 진학하였다.1931년 3월 6일 제주농업학교 재학중 일본인 교장이 한국인 학생 김원요(金源堯)를 퇴학시키고, 신창진(愼昌珍)·양두옥(梁斗玉) 등을 유급시켰다. 김원요가 교내 행사에서 이른바 교육칙어 낭독을 거부한 ‘칙어 불경사건’을 일으켰으며, 신창진·양두옥 등이 이에 동조하였다는 이유였다. 뿐만 아니라 재학생들의 졸업생 송별회마저도 금지시켰다.3월 7일 졸업식이 끝나자 김원요가 항의하였고, 동기생 양치삼(梁致三) 등 9명이 교무실에 들어가 학우의 제적과 유급 조치에 대한 항의 표시로 기물을 부수며 강력하게 반발하였다. 이 일로 김원요 등이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이러한 일본인 교장의 처사에 분개하여 3월 10일 오후 3시경 제주도 제주읍 이도리(二徒里) 광양평(光陽坪)의 소나무 숲에서 홍성옥(洪成玉)·오화국(吳化國)과 함께 모임을 가졌다. 이 모임에서 이와 관련한 책임은 교장에게 전적으로 있음을 분명히 하고, 각자 학생들을 규합한 뒤에 그날 저녁 교장 집을 습격하여 응징하기로 결정하였다. 모임을 마친 뒤 한원섭(韓元燮)·김응빈(金應彬)과 뜻을 함께 하였고, 홍성욱은 양공팔(梁公八)·김만제(金萬濟)·고경수(高京守) 등을, 오화국은 김두석(金斗錫)·문종택(文鍾澤)·문종학(文鍾學) 등을 규합하였다.3월 10일 저녁 학생들과 함께 교장의 사택으로 찾아가 “교장 나오라”고 2~3회 소리쳤다. 그러나 교장이 나오지 않자 돌을 던져 유리창을 깬 뒤 집 안으로 들어갔다. 장작·막대기·돌 혹은 발로 차 유리창 수십 장을 부쉈고, 현관 옆의 통용문인 판자문을 파괴하였다. 홍성옥·오화국·양공팔 등은 다다미방으로 들어갔으나 끝내 교장을 찾지 못하였다. 이때 마침 교장을 만나러 왔던 제주도립병원 원장 치바(千葉)가 현장을 목격하고 신고하여 일제 경찰이 들이닥치자 그 자리를 피하였다.그 뒤 조천면(朝天面)에서 격문을 살포하며 항일활동을 전개하던 중 그 해 3월 13일 일제 경찰에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1931년 8월 3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이른바 폭행죄로 징역 1년 6월을 받았다. 즉각 항소하여 그해 10월 22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5년을 받고 풀려났다.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애국선열 추모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 사당 창열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3 기념관 제주항일 기념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두일(관리번호:654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