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109
성명
한자 李東和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8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18 경북(慶北)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 성내동(城內洞) 시장 부근에서 그곳에 모인 군중들과 함께 “한국독립 만세(韓國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3년을 받고 미결(未決)로 3개월이상(個月以上)옥고(獄苦)를 치름.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경북 영덕(盈德) 사람이다.

1919년 3월 18일 영덕군 영해읍(寧海邑) 장날을 이용하여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영덕군 낙평동(洛坪洞) 교회 조사인 강우근이 서울의 만세소식을 기독교측의 인사들에게 전달하면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영해의 만세운동계획은 기독교 인사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들은 3월 18일 영해읍 장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군내의 영해면·병곡면(柄谷面)·축산면(丑山面)·창수면(蒼水面)의 기독교도와 농민층을 광범위하게 규합하면서 태극기를 제작하였다.

이동화는 이같은 거사 계획을 접하고 적극 참가하였으며, 3월 18일 오후 1시경, 2천여 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성내동(城內洞) 장터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그는 시위군중들과 함께 경찰주재소로 달려가 일경들을 포위하고 독립만세를 따라 부를 것을 주장하여 그들로 하여금 독립만세를 부르게 하였다.

그후 일본인 소학교·우편소·면사무소 등의 건물과 집기를 파괴하고 주재소로 몰려가 무기를 빼앗아 파기하는 등 격렬한 시위를 전개하였다. 또한 영덕경찰서에서 긴급 출동한 일경을 구타·응징하며 기세를 높였다.

그는 이 일로 인하여 붙잡혀, 이해 7월 1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소요·공무집행 방해·건조물 손괴·공문서 훼기·보안법 등으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8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判決文(1919. 7. 11. 大邱地方法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3卷 432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 1376∼1396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동화 자 : 인중(仁仲), 호 : 잠수(潜修) 경북 영덕(盈德) 전기의병, 중기의병, 영덕군 영해면 만세운동
본문
1874년 2월 22일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축산면(丑山面) 상원동(上原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진성(眞城)이다. 자는 인중(仁仲)이고, 호는 잠수(潜修)이다. 일찍이 학문을 좋아하여 한학에 조예가 깊었다.1896년 각처에서 이른바 ‘전기의병’이 일어나면서 신돌석(申乭石 일명 신태호(申泰浩))과 함께 김하락(金河洛)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그러나 영덕전투에서 김하락이 패전하고 자결한 뒤, 의병 해산의 조칙(詔勅)이 내려지자 해산하였다. 1906년 3월 의병장 신돌석이 기의(起義)하려 한다는 통문을 받고, 신돌석 의병부대에 들어가 분진소모장(分陣召募將)을 맡고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1908년 11월 신돌석이 참변을 당하자 귀향하였다. 경술국치 이후 1911년 4월 만주로 건너가 서간도에서 이상룡(李相龍)·박경종(朴慶鍾)·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참여하였다. 1918년 10월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국내로 잠입하여 여러 지역을 돌며 활동하였다.1919년 3월 18일 영덕군 영해면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영해면 만세시위는 1919년 3월 12일 평양신학교 입학을 위해 서울까지 갔다가 만세시위를 목격하고 돌아온 예수교 장로교회 조사(助事) 김세영(金世榮)의 권유에 따라 기독교인 권태원(權泰源)·정규하(丁奎河)·남효직(南孝直) 등이 계획하고 준비한 것이었다. 3월 17일 병곡면 송천동 권유동(權有東)의 집에서 ‘독립만세’를 부르자는 권태원의 권유를 받고 부근의 기독교 신자들을 규합하는 한편, 영덕지역의 토착 향반(鄕班) 권(權)·남(南)·백(白)·이(李)·박(朴) 등 5개 성씨 양반을 설득하여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3월 18일 오후 1시경 권태원·정규하 등은 영해면 성내동 시장으로 가서 만세시위에 찬동하여 모인 군중과 장꾼 2,000여 명을 이끌고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날 남응하(南應夏) 등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여하여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대와 함께 일제의 식민통치 기구인 영해주재소·영해공립보통학교·영해면사무소·영해우편소 등의 건물과 집기, 각종 서류를 파괴하였다.다음날인 3월 19일에도 아침부터 지역민 70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쳤다. 3월 19일 오전 11시경 영덕경찰서의 응원 요청을 받은 포항헌병대 분대장이 헌병 6명을 이끌고 영해에 도착하였으며, 오후 5시경에는 대구 주둔 보병 80연대 소속 일본군 장교 이하 17명이 영해에 도착하였다. 일제 군경은 강압적으로 해산을 종용하다가 시위군중이 해산을 거부하며 ‘독립만세’를 외치자, 실탄을 발포하며 무력 진압을 자행하였다.일제 군경의 대대적인 검거 작전으로 남응하 등과 함께 붙잡혀 이른바 소요죄, 공무집행 방해, 건조물 및 기물 손괴, 공문서 훼기, 상해,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1919년 7월 1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받고 풀려나 귀향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소요, 공무집행방해, 건조물손괴, 기물손괴, 공문서훼기, 상해, 보안법위반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 대구지방법원 1919-07-11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영해주재소 3.1운동 만세시위지 경상북도 영덕군
2 영해 3·18만세운동 기념탑 경상북도 영덕군
3 영해 3·1의거 탑 경상북도 영덕군
4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동화(관리번호:510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