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1167
성명
한자 李娥洙
이명 李愛主, 李娥珠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5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5 서울 남대문 역전에서 유점선(劉點善) 외 수십명과 함께 학생단이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제 2회의 시위운동을 한다는 것을 듣고 이에 찬동하여 독립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시내로 행진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6권(2006년 발간)

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 일대에서 전개된 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이아수는 당시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 3년생으로 3월 1일 학생단의 대규모 만세시위가 있은 뒤, 3월 5일 제2차 시위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에 찬동하여 이날 오전 9시부터 전개된 남대문역 부근의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이아수는 남대문역에서 학생 및 시민으로 구성된 대규모 시위대에 합류하여 독립기를 내세우고 적포(赤布)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시위군중과 함께 만세를 연호하며 시가행진을 벌였다.

이로 인해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과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200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제14권 103·104면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제17권 123∼127면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제18권 124면
  •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6) 제1권 831∼85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권 88∼95·155∼18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11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186·200·23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아수 이애주(李愛主), 이아주(李娥珠) 평북 강계 1919년 3월 서울 만세운동
본문
1898년 7월 16일 평북 강계군(江界郡) 강계면(江界面) 동부동(東部洞) 973번지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아버지는 이봉섭(李鳳涉)이다. 이명은 이애주(李愛主), 이아주(李娥珠)이다. 1917년 상경하여 정신여학교에 입학하였다. 1919년 당시 정신여학교 3학년생으로서 3월 5일 서울 남대문역(현 서울역) 앞에서 시작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이 시작된 이후 서울의 학생들은 3월 5일 남대문역 앞에서 2차 시위운동을 계획하였다. 이날은 고종 장례가 끝나면서 상경했던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남대문역에 몰리는 상황이었다. 이에 3월 5일 오전 9시경 강기덕(康基德)과 김원벽(金元璧)이 인력거를 타고 등장하는 시점을 기하여 4~5,000여 명의 학생들이 남대문역 앞에서 만세시위를 시작하였다. 시위대는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앞을 거쳐 종로로 향하는 한 무리와 태평통(太平通, 현 태평로 일대)과 황금정(黃金町, 현 을지로 일대)을 거쳐 종로로 향하는 무리로 나뉘어 행진하다가 보신각 앞에서 다시 만났다. 이날 다른 군중과 함께 붉은 천과 태극기를 흔들며 남대문역에서 종로까지 행진하였다.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 1921년 경성방직 사장, 동아일보 사장 등을 역임한 김성수(金性洙)와 결혼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징역 6월,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공소 기각, 미결구류일수중 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징역6월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아수(관리번호:96116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