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577
성명
한자 崔貞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2 훈격 대통령표창
1919년 3월 26일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숭인면사무소(崇仁面事務所) 앞에서 시위대와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다 체포되어 (笞) 90(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1권(2014년 발간)

최정식은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숭인면사무소(崇仁面事務所) 앞에서 독립만

세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3.1운동 당시의 고양군은 지금보다 면적이 상당히 넓었다. 경성부의 주변은전부 고양군에 속해 있었다. 동쪽은 동대문 밖으로 숭인면(崇仁面)이었고, 한지

면(漢芝面)은 왕십리에서 이태원까지 걸쳐 있었고, 그 밖으로 둑도면(뚝섬)이 있

었다. 서쪽으로 마초까지는 경성부였고, 애오개부터는 고양군 요강면(龍江面)이

었다. 아현북리(阿峴北里, 지금의 북아현동)는 연희면이었다. 이와 같이 고양군

은 경성부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었다.

숭인면에서는 1919년 3월 26일 면사무소에 집합하여 만세시위를 하기로 계획

을 세워 군중이 면사무소 앞에 모였다. 그러나 당일 면사무소의 문을 닫았으므

로 이를 열라고 군중이 함성을 지르며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이때 일제의 스

파이의 밀고로 용두리(龍頭里)에 사는 잡화상 최정식을 비롯하여 숭인면 월곡리

정만산(鄭萬山)과 안감리 이재성(李在成) 등이 일경에 체포되었다. 또한 3월 27

일 밤 숭인면 회기리에서는 김원성(金元成) 등이 만세시위를 일으켰다.

체포된 최정식은 5월 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태 90도를

받고 5월 5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출감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5. 1)
  •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제2권 137~13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정식 - 경기 고양 1919년 고양군 숭인면 만세운동
본문
1889년 8월 2일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용두리(龍頭里)에서 태어났다. 잡화상(雜貨商)을 운영하였다. 1919년 3월 26일 고양군 숭인면사무소(崇仁面事務所) 앞에서 거행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고양군에서는 서울 만세운동의 영향을 받아 3월 초부터 여러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만세시위가 거행되었다. 숭인면 사람들과 함께 3월 26일 제기리(祭基里)에 위치한 면사무소 앞에 집결하여 만세를 외치기로 계획하였다. 거사 당일 약속된 장소로 숭인면 각 마을에서 온 200여 명이 집결하였다. 당시 면사무소는 사전에 정보가 누설되어 미리 폐쇄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과 함께 문을 열 것을 요구하며 대한독립만세를 연호하였다. 결국 시위대는 밀정의 신고로 출동한 일제 경찰에 의해 해산당하였다. 이 일로 붙잡혀 주재소로 연행되었고, 월곡리(月谷里)의 정만산(鄭萬山)과 안암리(安岩里)의 이재성(李在成)과 함께 재판에 넘겨졌다. 1919년 5월 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태(笞) 90도(度)를 받고, 5월 5일 서대문감옥에서 풀려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태 90 경성지방법원 1919-05-01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산골 유골을 화장하여 산이나 강, 바다 등에 흩뿌려 묘소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정식(관리번호:95457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