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890
성명
한자 金極善
이명 金鏡德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 1919. 만세 운동(萬歲運動)에 서울서 참가(參加) 3년 복역(服役)

2. 1922 출옥(出獄)(예심종결서(豫審終結書))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권(1986년 발간)

경기도 양평(楊平) 사람이다.

1919년 3월 12일 김백원(金百源)·문일평(文一平)·차상진(車相晋)·문성호(文成鎬)·조형균(趙衡均)·백관형(白觀亨) 등과 함께 보신각(普信閣) 앞에서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다른 동지들과 함께 3월 1일 태화관(泰華館)에서 독립선언을 하고 체포된 손병희(孫秉熙) 등 민족대표의 뜻을 계승하기 위해, 3월 12일 서린동(瑞麟洞)의 영흥관(永興館)에서 만나 독립만세운동계획에 대하여 상의하였다.

이에 그들은 13도 대표자 명의로 조선 독립을 요구하는 애원서(哀願書) 2통을 작성하여, 1통은 조선총독에게 보내고 1통은 종로 네 거리의 보신각에 시위군중을 모아 그곳에서 낭독하기로 하였다.

애원서가 작성되자 차상진과 문성호가 그 중 1통을 조선총독에게 보내는 것을 담당하고, 그는 다른 동지들과 함께 보신각으로 나아갔다. 수백명의 모인 보신각 앞에서 문일평이 대표로 이를 낭독하고, 이어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8개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197·200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831·83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96·141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24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68·76·129·130·157·160·170·17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8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12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극선 - 경기 양평(楊平) 서울 만세시위
본문
1878년 1월 17일 경기도 양평군(楊平郡) 지제면(砥堤面, 현 지평면) 지평리(砥平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초 서울에서 만세 시위를 목격한 후, 3월 8일 오후 안동교회(安洞敎會) 김백원(金百源) 목사를 만나 협의하고 새로운 독립선언서를 작성하는 데 합의하였다. 3월 11일 오전 작성된 문서를 김백원에게 보내고, 다른 동지들과 함께 3월 12일 서린동(瑞麟洞)에서 만났다. 이 모임에서 3월 1일 독립선언을 하고 체포된 손병희(孫秉熙) 등 민족대표의 뜻을 계승하기 위해,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한국을 독립국으로 만들기 위한 만세 시위를 계획하고자 상의하였다. 의주교회 집사 문일평을 비롯한 김백원 목사, 승동교회(勝洞敎會) 목사 차상진(車相晋), 덕흥교회(德興敎會) 장로 조형균(趙� 均)·명이항(明以恒) 등의 기독교계 인사, 백관형(白觀亨)·문성호(文成鎬) 등 유림계 인사가 함께 ‘조선 13도의 대표자’ 명의로 조선 총독에게 ‘조선 독립은 동포 2천만의 요구다 우리들은 손병희 등의 후계자로서 조선의 독립을 원한다’라는 취지의 「애원서(哀願書)」 2통을 작성하여, 1통은 조선 총독에게 보내고 1통은 종로 네 거리의 보신각에서 군중을 모아 놓고 낭독하기로 하였다. 조선독립청원서가 작성되자 차상진과 문성호는 계획대로 1통을 하세가와(長谷川好道) 조선 총독에게 발송하였다. 이어 3월 12일 김백원·문일평·조형균·백관형 등과 함께 보신각으로 나아갔다. 수백 명이 모인 보신각 앞에서 문일평이 대표로 독립청원서를 낭독하고, 이어 독립 만세를 외치다가 체포되었다.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8개월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석방된 후에는 양평군 지평에서 교육 사업을 펼쳤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8월,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공소 기각, 미결구류일수중 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8년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보신각 3·1독립운동 기념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극선(관리번호:889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