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8722
성명
한자 李秉周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 기미독립운동(己未獨立運動)학생대표(學生代表)가담(加擔)하여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에서 3년 복역(服役)
2. 상해(上海)망명(亡命)하여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 경기도(京畿道) 대의사(代議士)활약(活躍), 학병회(學兵會)를 조직
3. 1921.8.26 대태평양회의(對太平洋會議) 외교후원회(外交後援會) 제3회총회(回總會)에서 서기(書記)에 피선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충청남도 논산(論山) 사람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학생회장으로 활약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2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한 뒤 일경의 감시를 피하여 상해(上海)로 망명하였으며, 1921년 8월에 태평양회의 외교후원회(太平洋會議 外交後援會)를 발기 조직하게 되자 그는 서기(書記)로 피선되었다.

태평양회의 외교후원회는 1921년 8월 26일에 상해 법조계(上海法租界)에서 홍 진(洪震) 장 붕(張鵬) 김인전(金仁全) 김태연(金泰淵) 이 탁(李鐸) 신현창(申鉉彰) 조상섭(趙尙燮) 등이 모여서 태평양회의에 대한 외교활동을 후원할 목적으로 발기, 조직된 단체이었다.

이들은 태평양회의에 참여한 열강은 동양 평화의 근본문제인 대한 독립을 완전히 승인할 때까지 적극적인 활동을 계속할 것과 내외 각 지방에 있는 각 단체 또는 개인은 모두 상호 협력하여 일치된 행동을 할 것,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대내외적으로 맹렬한 운동을 전개케 하며, 상당한 금전을 수합(收合)하여 경비에 충당할 것 등의 선언문을 발표하고 보다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할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1922년 2월에는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경기도(京畿道) 대의원(代議員)으로 피선되어 활동하였다.

1922년 10월 1일에는 김 구(金九) 조상섭(趙尙燮) 손정도(孫貞道) 등과 함께 한국의 독립은 오로지 무력을 양성하여 혈전(血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는 주장 아래 발족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에 참가하였다고 한다.

1923년 3월에 그는 국내활동을 위하여 인천에 상륙하다가 다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359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43면
  •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03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831·833·835·850·852면
  •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128·129·138·141·143·148·156·15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111·12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173·198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122·129·141면
  •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236면
  • 동아일보(1923. 3. 11)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53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105·109·110·112·113·117·122·157·160·161·162·163·17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병주 - 평남 평원 3·1운동
본문
1894년 1월 20일 평안남도 평원군(平原君) 영유면(永柔面)에서 태어났다. 본적은 충청남도 논산군(論山郡) 논산면(論山面) 욱정(旭町, 현 논산시 반월동)이다. 한편, 일제감시대상카드에 따르면 신분은 평민(平民)이며 직업은 기독교 전도사이고, 1890년 12월 27일생으로 되어 있다.1919년 만세운동 당시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학생회장을 지냈으며, 서울 정동(貞洞), 남대문역 등지에서 ‘독립’에 대해 연설하였다. 또 동지 이묘묵(李卯默) 등과 함께 ‘조선국민학생단 발동(朝鮮國民學生團發動)’이라는 제목의 문서와 일본 제국주의를 규탄하는 문서를 복사하여 배포하다가 붙잡혔다.1919년 11월 6일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1년 2월(미결구류일수 중 120일 본형 산입)을 받았다.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다시 징역 1년 2월(미결구류일수 중 180일 본형 산입)을 받고 상고하였으나, 동년 4월 8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었다.1920년 8월 9일에 출옥한 뒤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1921년 8월 결성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太平洋會議外交後援會) 제3회 총회에서 서기(書記)에 선임되었다. 1921년 11월 12일부터 1922년 2월 6일까지 워싱턴에서 개최된 태평양회의에 장덕로(張德櫓) 등과 기자로 참가하였다. 그러나 회의에서는 강대국들의 권익 조정과 군축문제가 논의되었을 뿐 약소민족에 관한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922년 2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경기도 출신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 10월 1일 발족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에 참가하였다. 한국노병회는 김구(金九)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된 단체로, 일제와의 독립전쟁을 위해서 향후 1만 명의 노병(勞兵)과 백만 원 이상의 전쟁비용을 조성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이와 함께 1920년 김동식(金東植)이 조직한 항일무장단체인 보합단(普合團) 단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20년 12월경 종로경찰서에서 보합단원을 검거할 때 화를 면하고, 상하이로 돌아갔다. 1923년 3월 6일 국내 활동을 위해 인천에 상륙하다가, 미리 이를 탐지한 종로경찰서 형사에게 붙잡혔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징역 1년 2월,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징역 1년 2월(원판결중 피고에 관한부분 취소), 미결구류일수 중 18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 1920-04-0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병주(관리번호:872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