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6473
성명
한자 崔恩喜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격 애족장
1919.3.1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京城女子高等普通學校) 재학중(在學中) 서울 파고다공원(公園)에서 거사(擧事)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참가(參加)(後) 격문(檄文)등을 숨겨가지고 고향(故鄕)백천(白川)으로 돌아가서 송흥국(宋興國) 이정식(李廷植)등과 협의(協議)하여 1919.3.30 백천(白川)장날에 거사(擧事)하기로 결정(決定)하고 금융조합(金融組合) 등사기(謄寫機)반출(搬出)하여 집에서 인쇄(印刷)하는등 준비(準備)하고 거사일(擧事日)에는 시위 군중(示威群衆) 1,000여명(餘名)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고창 연창(高唱連唱)하면서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5월을 받았으며 출옥(出獄) (後) 민족지(民族紙)조선일보(朝鮮日報) 기자(記者)입사(入社)하여 민족의식(民族意識)고취(鼓吹)하다가 1927년 근우회(槿友會) 창설(創設)과 더불어 본회(本會) 서기(書記)선출(選出)되는등 여성권익(女性權益) 향상(向上)을 위하여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피체(被逮) : 남에게 붙잡힘
  • 고취(鼓吹) : 의견이나 사상 따위를 열렬히 주장하여 불어 넣음
  • 출옥(出獄) : 형기를 마치고 감옥에서 석방되어 나옴.
  • 격문(檄文) : 1.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어 부추기는 글. 2. 급히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각처로 보내는 글. 3. 군병을 모집하거나, 적군을 달래거나 꾸짖기 위한 글.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황해도 연백(延白) 사람이다.

1919년 3월 1일 당시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京城女子高等普通學校)에 재학중 서울 탑동공원에서 일어났던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한 후 고향인 배천(白川)으로 돌아와 서울에서 숨겨 가져온 '동포(同胞)여 일어서자'는 격문 등을 송흥국(洪興國)·이정식(李廷植)·오예제(吳禮濟)·조기복(趙起福)에게 전달하고 이들과 함께 태극기와 격문 등을 제작하는 등 시위준비를 하였다.

3월 30일 배천읍 장터에 모인 1,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을 전개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같은 해 5월 24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5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0년 9월부터 황해도 안주(安州) 유신여학교(維新女學校)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1924년 10월에는 조선일보(朝鮮日報) 본사에 학예부 기자로 입사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여기자로서 정치부 사회부에서 활동하였으며, 1930년 7월에는 학예부장으로 임명되어 2년간 활동하다 은퇴하였다.

1927년 5월 27일 근우회(槿友會) 창립총회에 참석하여 초대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후 근우회가 폐회될 때까지 계속해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분장지문조회회보서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8권 474면
  • 여성전진칠십년사(최은희, 1980. 8. 25) 573면
  • 경력증명서(조선일보사, 1990. 3. 29)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241∼24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10권 93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4집 411∼414면
  • 동아일보(1927. 5. 29)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은희 호 : 추계(秋溪) 황해 연백(延白) 3.1운동
본문
1904년 11월 21일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은천면(銀川面) 연남리(蓮南里)에서 최병규와 서덕경 사이의 5남 5녀 중 5녀로 출생하였다. 본관은 탐진(耽津)이고, 호는 추계(秋溪)이다.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해주의 의정여자학교를 다녔다. 의정여자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유학에 앞서 일본어를 배우기 위해서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입학하였다.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교사 박희도가 이끄는 비밀 서클 활동을 하면서 독립운동을 위한 준비를 하였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열린 만세시위에 참여하다가 일제 헌병대에 의해서 붙잡히기도 하였다. 이후 고향인 은천면 연남리로 돌아온 후, 은천면 연남리와 연동리(蓮東里)를 아우르는 배천(白川)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심하였다. 사립창동학교 교사 송흥국(洪興國)과 이정식(李廷植), 물산조합 서기 오예제(吳禮濟), 곡물검사원 조기복(趙起福)에게 서울에서 몰래 가져온 ‘동포(同胞)여 일어서자’는 격문 등을 전달하는 한편, 송흥국 등과 함께 만세시위에 사용할 격문과 태극기를 제작하였다. 만세시위 계획 및 태극기 제작에는 잡화상 조면식(趙冕植)·염천태(廉天太)·이완구(李玩求),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인 조두섭(趙斗燮)과 유재현(劉在賢), 인천상업학교에 다니던 유택선(劉澤瑄)이 함께 하였다. 이를 통해 연남리와 연동리의 개신교계 청년 및 학생들과 함께 배천 장터가 열리는 3월 30일에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3월 30일 정오 무렵 배천 읍내에서 개신교인과 청년, 학생이 주도하는 만세시위가 열렸다. 약 2,000명이 모인 시위대와 함께 일제 관헌의 삼엄한 경계를 뚫고 독립만세를 외치자, 배천헌병분견소 소속 헌병들이 위협 사격을 가하면서 강압적으로 시위대 해산을 추진하였다. 그 과정에서 일부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일제 헌병에 배천 장터 만세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붙잡혔다. 1919년 5월 24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5월을 받고 옥고를 겪었다. 풀려난 후 1920년 9월 황해도 안주(安州)에 위치한 유신여학교(維新女學校)에서 교사를 역임하였으며, 이후 일본 도쿄(東京)의 니혼여자대학(日本女子大学)에 입학하였다. 그런데 3학년에 재학 중인 1924년 10월에 이광수의 추천으로 조선일보 본사의 학계부 기자가 되었다. 이는 민간신문사 중에서 최초로 여성이 기자가 된 사례였다. 1927년 5월 27일 조선일보 기자 신분으로 근우회(槿友會) 창립총회에서 초대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근우회가 해체되는 1931년까지 선전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조선 여성의 지위 향상을 추구하였다. 한편 조선일보 기자로서 1930년 7월 학예부장으로 임명되기도 했으나, 1932년 조선일보 기자 생활을 그만두었다. 1948년 대한부인회 서울시부회장, 대한여자국민당 서울시당수(1962), 한글학회 지도지원(1971), 3·1국민회의 대표위원(1971∼1973), 여성신문사 고문 등을 역임하였으며, 1969년 중앙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를 받기도 하였다. 저작으로 『씨뿌리는 여인』(1957), 󰡔근역의 방향』(1961), 『조국을 찾기까지』(1973), 『여성전진 70년』(1980) 등이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은희(관리번호:647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