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 3. 4 경성고등보통학교 (京城高等普通學校) 3년 재학중 (年在學中) 김종현 (金宗鉉) 채순병 (蔡順秉) 등과 함께 독립운동 (獨立運動) 의 취지문 (趣旨文) 400여매 (餘枚) 를 제작 배부 (製作配付) 하고 다음날에도 계속 (繼續) 하여 남대문 역전 광장 (南大門驛前廣場) 에서 수백명 (數百名) 의 시위 군중 (示威群衆) 이 「‘조선독립’ (朝鮮獨立) 」이라고 쓴 기 (旗) 를 펄럭이며 다수 (多數) 의 적포 (赤布) 를 휘두르며 독립만세’ (獨立萬歲) 를 절규 (絶糾) 하면서 시위 (示威) 하다 피체 (被逮) 되어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 (未決期間) 을 합산 (合算) 하여 1년2월27일간의 옥고 (獄苦) 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전남 함평(咸平) 사람이다.
1919년 당시 서울 안국동(安國洞)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경성고등보통학교(京城高等普通學校) 3학년에 재학중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동년 3월 4일 김종현(金宗鉉)·채순병(蔡順秉) 등과 함께 만세시위에의 참여를 호소하는 취지문 4백여매를 만들어 배부하였다. 다음날에도 계속하여 남대문역전 광장에서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조선독립'이라고 쓴 깃발을 펄럭이며 다수의 적포(赤布)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절규하면서 시위행진을 벌였다가 3월 9일 일경에 붙잡혔다.
그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선고받아 1년 2개월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106·107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2卷 105·111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9卷 174·181·182·187·200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 58∼88·155∼184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3輯 94·104·141面
- 明治百年史叢書(金正明) 第1卷 832∼835·844·845·850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