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50107
성명
한자 金東赫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년도 2008 훈격 애족장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배포하며 시위를 주도하고, 동월(同月) ‘조선독립신문’(朝鮮獨立新聞)을 배포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았으며, 1923년 1월 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獎勵會)조사부(調査部) 상무이사(常務理事)로 활동, 1929년 8월 21일에는 신간회(新幹會)회보(會報) 편집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8권(2010년 발간)

김동혁은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배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교우 임창준(林昌俊)에게서 독립선언서 6매를 받아 남대문 안의 민가에 배포하고, 3월 2일 학생 허신(許信)에게서 <조선독립신문> 제2호 10부를 받아 낙원동 부근의 민가에 배포하였다. 그리고 3월 5일 다시 허신으로부터 <조선독립신문> 제3호 7∼8매를 받아 낙원동 부근의 민가에 배포하며 시위를 선도하다 체포되었다.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출판·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았다. 출옥 후, 김동혁은 1923년 1월 조선물산장려회의 조사부 상무이사, 1929년 8월 신간회(新幹會)의 회보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조국 독립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8. 30)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제16집 60-62면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제18집 41-91면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별집 1집 517면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국사편찬위원회) 제4권 541-563면, 제6권 653면
  •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1권 831-852면
  • 每日申報(1919. 9. 7∼9. 11, 1919. 9. 14∼9. 16, 1922. 1. 11)
  • 判決文(京城覆審法院:1920. 2. 27)
  •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11. 6)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9권 181, 198, 203면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10권 687, 689, 69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5집 104-123·156-18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13집 121-130·141면, 제14집 31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14집 319면
  • 東亞日報(1929. 8. 24)
  • 身分帳指紋原紙(警察廳)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동혁 - 충청남도 홍성(洪城) 3·1운동, 신간회
본문
1901년 11월 15일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면(廣川面) 옹암리(瓮岩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일 서울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 교우 임창준(林昌俊)에게서 독립선언서 6매를 받아 남대문 안 민가에 배포하였다. 3월 2일과 5일에는 학생 허신(許信)에게서 『조선독립신문』 제2호 10매를 받아 낙원동 부근 민가에 배포하였다. 3월 5일 다시 허신으로부터 『조선독립신문』 제3호 7~8매를 받아 낙원동 부근 민가에 배포하며 시위를 선도하다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1923년 1월 9일 유진태(兪鎭泰)·이종린(李鍾麟)·백관수(白寬洙) 등 20여 단체 대표가 서울에서 모여 조선물산장려회발기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같은 달 20일 서울 낙원동 협성학교(協成學校)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하였다. 창립총회에서 유성준(兪星濬)·김철수(金喆壽)·김윤수(金潤秀)·최순탁(崔淳鐸)·박붕서(朴鵬緖)·김덕창(金德昌)·최경호(崔敬鎬)·고용환(高龍煥) 등 20인과 함께 이사로 선출되었다. 같은 달 25일에는 당시 경기도 참여관이었던 유성준을 이사장으로 선출하였다. 조선물산장려회는 평양과 동래에 지방 조직을 두었으며, 그 밖의 지역에서는 청년회와 상인회(商人會) 등으로부터 활동을 지원받았다. 서울의 조선물산장려회는 집행기관으로 이사회를 두고 이사회 산하에 경리부·조사부·선전부를 설치하였으며, 각 부서에 상무이사를 두어 회의 실무를 계획·집행하였다. 이때 조사부 상무이사로 활동하였으며, 『산업계』·『자활』·『조선물산장려회보』·『장산(奬産)』·『실생활(實生活)』 등 기관지를 간행하였다. 1925년 삼시협정(三矢協定) 체결로 중국에서는 만주 장쭤린(張作林) 군벌정권이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탄압이 본격화되고, 1927년에는 만주군벌 당국의 한국인 이주민들에 대한 박해가 극심해졌다. 이에 1927년 12월 9일 신간회(新幹會)가 중심이 되어 조선교육회관에서 각 사회단체 대표 70여 명이 모여 재만동포옹호동맹(在滿同胞擁護同盟)을 창립하였다. 위원장에는 안재홍(安在鴻), 상무위원에는 박동완(朴東完)·윤치호(尹致昊)·신석우(申錫雨) 등 12인이 선출되었다. 이낙영(李樂永)·홍명희(洪命憙)·박형병 등과 30인과 함께 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9년 8월 신간회(新幹會) 회보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징역 1년,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공소 기각, 미결구류일수중 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1년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동혁(관리번호:5010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