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975
성명
한자 崔士烈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3.5 서울에서 3.1독립만세’(獨立萬歲)가 일어난 (後) 학생단(學生團)주도(主導)하는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示威)남대문 역전(南大門驛前)에서 크게 일어났을때 이 대열(隊列)참여(參與)하고 3.8에는 “동포(同胞)여 일어나라” 라는 격문(檄文) 200 여매(餘枚)가회동(嘉會洞) 주민(住民)에게 배포(配布)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았으며 미결기간(未決其間)합산(合算)하여 1년 3월 28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피체(被逮) : 남에게 붙잡힘
  • 옥고(獄苦) : 옥살이를 하는 고생.
  • 격문(檄文) : 1.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어 부추기는 글. 2. 급히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각처로 보내는 글. 3. 군병을 모집하거나, 적군을 달래거나 꾸짖기 위한 글.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9권(1991년 발간)

전남 완도(莞島) 사람이다.

1919년 당시 서울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경성공업전문학교(京城工業專門學校) 1학년생으로 학생들이 주도하는 독립만세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는 동년 3월 5일 학생단(學生團)이 주도하는 제2차 독립만세시위에 적극 참여하여 남대문역(서울역)전에 모인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조선독립'이라고 쓴 깃발을 휘날리며 독립만세를 절규하였고 3월 8일에는 김세룡(金世龍)으로부터 '동포여 일어나라'는 격문 2백여매를 받아 이날 밤 가회동(嘉會洞) 일대의 주민에게 배포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그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월형을 선고받아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判決文(1919. 11. 6 京城地方法院)
  • 明治百年史叢書(金正明) 第1卷 832面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107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9卷 196·200·204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3輯 95·107·111·141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 58∼82·123·155∼184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사열 - 전남 완도(莞島) 1919년 서울 만세운동
본문
1899년 10월 16일 전라남도 완도군(莞島郡) 고금면(古今面) 관산리(冠山里)에서 태어났다. 1913년 무렵 서울로 가서 사립중앙학교를 다녔다. 1917년 3월 경성공업전문학교 부속공업전습소 직물과를 우등으로 졸업하였다. 1918년 4월 경성공업전문학교염직과에 입학하였다. 1919년 3월 5일 서울의 남대문 만세시위에 참여하였고, 8일에는 서울에서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월 5일 서울의 남대문역 앞에서 학생들이 주도한 대규모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오전 9시경 시위대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남대문으로 행진하였다. 3월 8일에는 서울 가회동(嘉會洞) 조홍식(趙弘植) 집에서 김세룡(金世龍)을 만나 「동포여 일어서라!」라는 제목의 선전물 약 50부를 교부받았다. 이를 받은 즉시 민가 수십 집을 찾아다니며 배포하였다. 이후 붙잡혀 재판에 넘겨졌다.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8월(미결구류일수 중 120일 본형 산입)을 받았다.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8월(미결구류일수 중 180일 본형 산입)을 받았다. 1920년 7월 31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결혼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1922년 4월 일본 군마현(群馬県)에 있는 기류고등공업학교(桐生高等工業學校) 방직과에 입학하였다. 1923년 7월 23일 재도쿄경산학우회(在東京慶山學友會) 강연단으로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산업의 장려」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1924년 7월 20일부터 8월 25일까지 고려공업회 북대(北隊)로 대구와 서울·개성·평양·인천 등에서 순회 과학강연을 하였다. 고려공업회는 일본의 공업계통 학교 유학생의 모임이었다. 1925년 3월에 기류고등공업학교 방직과 방적(紡績) 전공을 제7회로 졸업하였다. 같은 해 4월 10일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나온 김영애(金英愛)와 결혼하였다. 1928년 6월 경성방직주식회사 영등포공장 여공의 동맹파업 때 공장주임으로 교섭에 나섰다. 1929년 3월 조선공학회(朝鮮工學會)의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32년 10월 자본금 20만원의 목포직물주식회사의 이사로 취임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8월,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징역 8월(원판결중 피고에 관한부분 취소), 미결구류일수 중 18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8월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사열(관리번호:497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