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727
성명
한자 崔興琮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 3. 2 광주(光州)에서 상경(上京)하여 3. 5 남대문 역전(南大門驛前) 독립운동 대시위(獨立運動大示威)참가(參加)하여 신조선신보(新朝鮮新報)등을 시위 군중(示威群衆)에게 살포(撒布)하여 기세(氣勢)를 올렸으며 대한문(大漢門)앞에서는 대형 태극기(大形太極旗)를 흔들며 선두(先頭)에서 시위 군중(示威群衆)지휘(指揮)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형(年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8권(1990년 발간)

광주(光州) 사람이다.

1919년 3월 2일 광주에서 서울에 상경하여 3월 5일에 일어난 학생단체의 제2의 독립만세시위에 찬동하고 동일 8시경 남대문(南大門) 역전에서 벌어진 대시위에 참가하여 시위하던 중 인력거에 올라서서 〈신조선신보(新朝鮮新報)〉와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인쇄물을 배포하고 대한문(大漢門) 앞에서는 인력거에 올라서서 조선독립이라 쓴 대형 태극기를 높이 흔들어 시위군중을 선도하며 지휘하다가 붙잡혔다.

이로 인하여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아 공소하였으나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0년 9월 1일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의 광주지회장을 역임하였고, 1927년 10월 29일 신간회(新幹會) 광주지회장을 역임하면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4권 114·300면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832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7면
  • 판결문(1919. 11. 6 경성지방법원)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28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555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67·99·159·160·163·17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113·12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185·186·197·201·28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96·107·14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흥종 초명 : 최영종(崔泳琮) 전남 광주 1919년 서울 만세운동
본문
1880년 5월 2일 전라남도 광주군(光州郡) 광주면(光州面) 수기옥정(須奇屋町, 현 광주광역시 동구 수기동 일대)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탐진(耽津)이고, 초명은 최영종(崔泳琮)이다. 서당에서 한문을 익혔다. 1895~1900년 사이 강명환(姜明煥)과 결혼하였다. 장로교 기독교인으로 1904년 기독교를 수용한 후, 1907년 세례를 받고 흥종(興琮)으로 개명하였다. 1914년에는 장로교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고, 1915년 전도사가 되었다. 1905년 광주군 경무청 순검으로 재직하며 의병들을 후원하였고, 1907년 사직하였다. 이후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였고, 1907년 7월부터 광주농공은행에서 근무하다가 사직하였다. 1908년 3월에는 광주선교진료소 조수로 취직하였다. 1919년 3월 2일 평양(平壤)의 신학교로 가는 도중 국장을 참관하고 독립사상을 고취할 연설을 하기 위해 상경하였다. 3월 5일 남대문역에서 󰡔신조선신문(新朝鮮新聞)󰡕을 배부하고 민족자결주의에 대한 연설을 하였으며, 대한문에 이르러 「조선독립」이라 쓴 기(旗)를 흔들며 만세를 부르다가 붙잡혔다. 이 일로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며 항소하였으나,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최종 기각되고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겪었다. 1920년 6월 풀려난 후 조선노동공제회 광주지회장을 맡았다. 1921년 6월 노동공제회 광주지회 개선임원 선정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9월에는 광주청년회의 의사원으로 선임되었다. 1921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광주 북문밖교회 목사로 부임하였다. 같은 해 3월에는 시베리아로 선교를 떠나 1922년 6월 귀국하였다. 1923년 9월 광주소작인회연합회 대표로서 소작권 관련 교섭을 맡아 농민운동에도 참여하였다. 1924년 광주YMCA 회장에 취임하고, 광주수해구제회·광주협회 등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신간회 광주지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1927년 재만동포옹호동맹, 1928년 광주교육보급회 등을 통해 교육과 사회문제 해결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29년에는 제주도 모슬포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1931년 7월 사직하였다. 1931년 9월 조선나병환자구제회를 설립하고 나환자구호활동을 벌였다. 1933년 4월 조선총독부를 방문하여 경무국장과 위생국장을 면담하고, 나병환자 구제를 위해 진정하였다. 1936년 2월에는 목포(木浦)에서 안창호와 동행하여 순천(順天)의 나환자치료소를 방문하였다. 1937년에는 지인들에게 사망통지서를 발송하고 무등산에 칩거하며 구호활동에 전념하였다. 1945년 9월에는 한국나예방협회를 조직하였다. 광복 후 전남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9월에는 고려청년당 창립준비회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1945년 제1회 도지사고문회 회장에 선임되었으며, 1946년 2월 서울에서 개최된 비상국민회의에 전남대표로 참석하였다. 1948년 3월 광주국민고등학교(삼애학교)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호남신문사 초대회장에 취임하였으나 곧 사임하였다. 1950년 5월 대한민국당 전남도당부 발대식에서 광주시당부위원으로 명단에 올랐다. 1950년 대에는 음성나환자 정착촌인 호혜원(互惠院)·결핵환자 요양소인 송동원(松東院)·결핵환자를 위한 백십자여명회(白十字黎明會) 등을 설립하고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1년,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공소 기각, 미결구류일수중 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1년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2 기념관 오방 최흥종 기념관 광주광역시 남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흥종(관리번호:472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