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7
성명
한자 金在完
이명 金泰植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26 서울 삼청동(三淸洞)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내를 누비며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서울 사람이다.

1919년 3월 26일 서울 삼청동(三淸洞)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시내로 시위행진을 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같은 해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선고받아 공소를 제기하였으나, 6월 19일 경성복심법원과 8월 21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판결문(1919. 5. 9 경성지방법원)
  • 판결문(1919. 8. 21 고등법원)
  • 판결문(1919. 6. 19 경성복심법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재완 김태식(金泰植) 서울 서울 삼청동 만세운동
본문
1877년 7월 18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태식(金泰植)이다. 1919년 서울 삼청동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가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1919년 3월 5일 학생단 시위가 있은 이후 3월 21일까지 서울에서는 시위운동이 두 세 차례 산발적인 시위가 있었을 뿐 이렇다 할 시위운동이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다 3월 22일 서울 봉래정(蓬萊町)에서 800명, 훈련원(訓鍊院)에서 500명, 의주통(義州通)에서 800명을 비롯하여 종로와 마포 등지에서 다시 만세시위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하였다.이러한 시위 열기 속에 같은날 밤 삼청동 길 위에서 1919년 3월 26일 오후 8시경 삼청동 시위와 누하동(樓下洞)·가회동(嘉會洞)·옥인동(玉仁洞)과 한양공원(漢陽公園) 등 서울 시내 각지에서 30명 내지 200명의 군중이 독립만세를 외쳤고, 오후 10시경에는 와룡동(臥龍洞)과 재동(齋洞)의 헌병경찰소, 종교(宗橋) 경찰파출소에 시위 군중이 몰려가 투석을 하였다. 그리고 종로통과 서대문통에서 밤에 전차를 향해 투석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등 3월 26일 밤 내내 격렬한 투쟁이 이루어졌다. 일제 관헌 측 기록에서는 3월 26일에 서울시내 11곳에서 250명이 만세를 외쳤고 15명을 검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이로 인해 일제 경찰에 붙잡혀 1919년 5월 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았으나 불복하여 항소하였다. 그러나 그 해 6월 19일 경성복심법원서 기각 당하고 상고하였으나, 같은 해 8월 21일 고등법원에서 다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경성지방법원 1919-05-09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 1919-06-19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상고 기각 고등법원형사부 1919-08-21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6월 경성복심법원 1919-08-21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위패)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재완(관리번호:4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