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43420
성명
한자 金鍾振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1 훈격 애족장
1919. 3. 1.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淑明女子高等普通學校)에 재학 중 서울의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하여 시가(市街)를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였고 동년 11월 28일 전협(全協), 최익환(崔益煥) 등이 주도 조직한 대동단(大同團)에서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등이 서명하여 제2회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작성한 후 이를 서울 일대에 제작 배포하여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을 계획하자 이에 참여하여 자신의 숙소를 거사를 위한 논의장소로 제공하고 태극기의 제작에 협력하는 등 거사를 준비하였으며 안국동(安國洞) 경찰관주재소 앞 광장에 집결하여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1년여의 옥고(獄苦)를 치른 끝에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아 2차에 걸친 시위참여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5권(2003년 발간)

평안북도 강계(江界) 사람이다.

1919년 3월 1일의 독립만세운동과 같은 해 11월 28일의 만세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김종진은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여기에 참여하여 시가(市街)를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그리고 그 해 3월말에 대동단(大同團)이 조직되자 여기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대동단은 전 조선민족의 대단결을 표방하고, 조선의 독립을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이다. 1919년 3월 말 대동단 결성을 주도한 전협(全協)·최익환(崔益煥) 등은 그 해 10월 초순경 대동단의 본부를 상해(上海)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의친왕(義親王)의 상해(上海) 망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3·1독립운동과 같은 대대적 만세운동을 계획하고, 거사 내용과 방법도 3·1독립운동의 방식을 쫓아 진행시켰다.

이때 김종진은 자신의 숙소를 거사 논의 장소로 제공하고, 대동단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의 [독립선언서]에 서명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그런데 거사를 준비하던 중 의친왕(義親王)의 상해 망명계획이 일본 경찰에 사전 탐지되고, 그 해 11월 11일 만주 안동역(安東驛)에서 의친왕 일행이 붙잡혀 대동단의 조직은 대부분 파괴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경찰의 포위망을 피한 김종진은 나머지 인사들과 함께 독립만세운동 계획을 강행하였다. 그리하여 1919년 11월 28일 김종진을 비롯한 정규식(鄭奎植)·박정선·나창헌(羅昌憲) 등은 종로 안국동(安國洞) 경찰관주재소 앞 광장에서 미리 준비해 온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살포하고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 일로 체포된 김종진은 1920년 12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정치범처벌령 및 출판법,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받고 1년여 동안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國史編纂委員會) 第5輯 245∼246面
  • 崔恩喜全集(조선일보사, 1991) 第2卷 137面
  • 朝鮮獨立運動(김정명) 第1卷 분책 230∼232面
  • 判決文(京城地方法院, 1920. 12. 7)
  • 崔恩喜全集(조선일보사, 1991) 第3卷 130∼133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종진 - 평안북도 강계(江界) 서울 만세시위
본문
1903년 1월 13일 평안북도 강계군(江界郡) 이서면(吏西面) 등공리(登公里)에서 태어났다. 숙명여학교(淑明女學校) 2학년에 재학하고 있던 중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이어 1919년 3월 말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이 조직되자 참여해 활동하였다. 조선민족대동단은 각계 인사를 모아 민족역량을 결집함으로써 민족 대단결을 이루고, 독립운동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여 독립을 쟁취한다는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로 김가진(金嘉鎭)을 총재로 추대하였다.조선민족대동단은 1919년 11월에 대대적 만세시위를 일으킬 것을 계획하였다. 이 만세시위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숙소를 논의 장소로 제공하고, 시위에 사용할 태극기 제작과 독립선언서 준비에 이신애(李信愛)·안정선 등과 함께 가담하였다.1919년 11월 28일. 정규식(鄭奎植)·나창헌(羅昌憲) 등과 함께 서울 종로(鐘路) 안국동(安國洞) 경찰관주재소 앞 광장에서 미리 준비해 온 태극기와 선언서를 배포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이 만세시위로 붙잡혀 1920년 12월 7일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서 이른바 정치범 처벌령과 출판법,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대한민국 정부는 200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정치범 처벌령위반,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사기 징역 6월, 2년간 집행유예, 미결구류일수중 10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20-12-07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상북도 봉화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종진(관리번호:4342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