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70
성명
한자 明以恒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07년 신민회(新民會) 조직 요원으로 민족자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연통제(聯通制) 및 문화운동을 통한 항일투쟁을 계속적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평안북도 영변(寧邊) 사람이다.

1907년 초에 결성된 비밀독립운동단체인 신민회(新民會)가 안창호(安昌浩) 윤치호(尹致昊) 전덕기(全德基) 등에 의하여 운영될 때 그는 신민회 영변군 책임자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고 한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여 체포되었으나 동년 8월 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면소출옥하였다. 임시정부가 조직되어 연통제(聯通制)가 실시됨에 1920년에 연통제 영변군 참사(參事)로 임명되어 군자금 모집 등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당시 그는 조선총독에게 독립을 희망하는 장문(長文)의 진정서를 제출한 관계로 다시 체포되어 1920년 4월 22일 신의주지청에서 소위 제령(制令) 제7호 위반으로 징역 2월 25일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1922년 3월 오성(五城)학교를 경영하던 이 갑(李甲)이 소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해외로 망명하자 폐허가 된 학교를 재건 운영하였다. 동년 11월에는 이승훈(李昇薰) 등과 조선민립대학(朝鮮民立大學) 기성준비회를 조직하고 집행위원이 되어 모금운동에 동분서주하였다. 1925년에는 오산학교를 고등보통학교로 승격시키고 그 이사가 되어 민족정신을 고취하면서 독립운동의 역군이 될 새로운 인재를 육성하는데 심혈을 경주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인정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28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57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2권 274면
  • 신분장지문조회회보서
  • 조선민족운동연감 104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93 456면
  •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38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6권 893면
  • 동아일보(1922. 11. 30)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명이항 호 : 성재(成齋) 평북 영변(寧邊) 3.1운동, 임시정부 연통제
본문
1884년 2월 10일 평안북도 영변군(寧邊郡) 소림면(小林面) 등산동(燈山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서촉(西蜀)이고, 호는 성재(成齋)이다.관서지방의 대유학자인 박문오(朴文五)의 제자로 본래 위정척사사상이 투철하였다. 흥사단의 유길준(俞吉濬)의 연설을 듣고 사상적 변화를 일으켜 단발을 단행하고 관서지방에 근대교육의 문호를 연 기독교 북감리교에 입교하였다.1907년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였고, 신민회 영변군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08년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가 통합하여 결성된 서북학회(西北學會)에 가입하여 구국운동에 뛰어들었다. 1909년 3월 영변에서 종상회사(種桑會社)를 설립해 뽕나무 묘목 수만주를 종식해 잠업을 장려하고 4월에는 “장래 인민의 생활을 보지(保持)하고 국가의 부강을 계도(計圖)”할 목적으로 철공조합소(鐵工組合所)을 설립해 운영하는 등 영변지역의 산업경제를 살리기 위한 실업구국운동을 활발히 펼쳤다. 한편 신민회계통의 민족학교인 영변 유신학교(維新學校) 서기원(書記員)으로 복무하며 일진회(一進會)를 매국단체로 규정하고 일진회가 펼치는 ‘한일합방’운동은 양국이 동등하게 합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가 한국을 병합해 먹어버리려는 책동임을 폭로하였다. 1909년 12월 서북학회 회원이며 신민회 계통의 민족학교인 영변 유신학교(維新學校) 서기원(書記員)으로 복무하며 같은 학교 일본어과 교사인 최리섭(崔利涉)에 대해 일진회원과 같은 매국노는 교사가 될 수 없다며 교단에서 쫓아내고 일진회원으로 가입한 학생들에게 탈퇴할 것을 강권하였다. 그러나 강제병합을 막아내지 못하고 신민회와 서북학회 회원들이 국외로 망명길에 오르고 서북학회는 해체되었다. 이로써 서북협성학교도 문을 닫게 되면서 1910년 10월 오성학교(五星學校)로 개명하여 운영되다가 1918년 4월 총독부로 페교 조치를 받고 문을 당았다.1919년 3월 2일 고종(高宗)의 인산(因山)에 참여하기 위해 서울에 올라왔다가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3월 6일 정동교회에서 이규갑(李奎甲)을 만나 조선 총독 하세가와(長谷川好道)에게 ‘독립청원장서’를 보낼 계획을 세웠다. 3월 12일 종로 보신각 앞에서 「애원서」라는 이름의 제2의 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는데, 이로 인해 이른바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으로 붙잡혔고, 그 해 8월 4일 경성지방법원 예심에서 면소 판결을 받고 풀려났다.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통제 영변군 참사(參事)로 임명되어 임시정부의 소식을 전달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일경에 다시 붙잡혔다. 1920년 4월 22일 신의주지청에서 이른바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으로 징역 2월 25일을 받았으나 ‘은사감형’을 받아 1920년 5월 28일에 출옥하였다.1920년대에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운영난에 빠진 학교를 살리는 능력을 발휘하여 교육계의 주목을 받았다. 폐교된 오성학교를 일으켜 오성강습소로 운영하다가 1922년 3월 협성학교로 개명해 4월 20일에 첫 개학식을 거행하며 학교를 정상화시켰다. 1922년 11월 23일에는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 본위의 대학 창설을 목표로 출범한 조선민립대학기성준비회(朝鮮民立大學期成準備會)의 집행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25년에는 정주 오산학교(五山學校) 이사로 취임해 어려움에 빠진 학교를 위하여 학교 대강당과 교장사택, 기숙사 등의 건축비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11월에는 오산학교가 5년제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영변의 숭덕학교 이사로 취임하여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학교를 위해 1927년 7월 재단을 출범시켰다. 협성학교도 1927년 80여명의 유지들의 출현으로 재단법인 협성실업법인 인가를 받아 협동실학교로 개편함으로써 학교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되었고 실업계의 많은 인재를 양성하였다. 이와 같이 운영난에 빠진 학교에 재단법인을 출범시켜 안정적으로 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조치한 공로로 일반에서는 ‘교육계의 은인’이라고 칭송했다고 한다.한편 1926년 7월 민족협동전선 결성을 표방하며 출범한 조선민흥회(朝鮮民興會) 발기위원회 창립 준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조선민흥회는 창립되지 못하고 민족협동전선운동은 신간회로 흡수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논란을 일으켰던 자치론을 저지하기 위해 적극 투쟁하였다. 1942년 영변에 삼화(三和)여자 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계에서 활약하다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6년 5월 4일에 6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면소 방면 경성지방법원 1919-08-04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명이항(관리번호:37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