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5798
성명
한자 金元成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8 훈격 애족장
1919년 3월 27일 밤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에서 다수(多數)의 군중들과 함께 ‘조선독립 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창(高唱) : 노래, 구호, 만세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8권(2010년 발간)

1919년 3월 하순에는 서울 시내의 시위운동이 점차 활기를 되찾아가고 탄압하는 일제에게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양상을 보였다. 23일부터는 야간에 수많은 곳에서 시민들이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진행하였다. 종로(鍾路), 동묘(東廟), 돈화문(敦化門), 연건동(蓮建洞), 훈련원(訓練院) 등 만세 시위가 일어나지 않은 곳이 없었다. 고양군(高陽郡) 각처에서도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이렇듯 격화되어 온 서울의 시위운동은 26~27일에 이르러 시내 전 지역에 퍼져 최고조에 달하였다. 지금은 서울로 편입된 고양군 지역의 만세운동도 같은 양상이었다.

김원성은 3월 27일 고양군 숭인면(崇仁面) 회기리(回基里)에서 주민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1919년 5월 1일 경성지방법원, 1919년 5월 2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뒤 출옥하였으나 1920년 1월에 순국(殉國)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5. 1)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2권 137~138면
  • 判決文(京城覆審法院:1919. 5. 21)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원성 - 경기도 고양(高陽) 1919년 고양군 숭인면 만세시위
본문
1856년 7월 4일 경기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회기리(回基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만세운동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다.1919년 3월 26일 오전 3시에서 6시 사이에 고양군 숭인면 일대에 이달 그믐 안으로 만세를 부르지 아니하면 각 동네를 불태운다는 취지의 격문이 비밀리에 게시되었다. 그 날 이후 서울 외곽 동쪽에서는 만세시위가 연이어 일어났다. 3월 26일에는 왕십리와 회기리에서 약 150명의 군중이 독립만세시위를 일으켰다. 3월 27일 안감천(安甘川) 부근에서는 약 500명의 시위대가 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돈암리(敦岩里) 부근 산 위에서도 약 50명의 시위대가 독립만세를 외쳤다.3월 27일 밤 당시 64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회기리 마을 주막 앞에서 주민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다 붙잡혔다.1919년 5월 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았다. 이에 항소하였으나, 1919년 5월 2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고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겪었다. 출옥 후 1920년 1월 2일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경성지방법원 1919-05-01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형사부 1919-05-21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형사부 1919-05-21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원성(관리번호:3579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