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4371
성명
한자 朴喜鳳
이명 朴喜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5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1 서울 파고다 공원에서 손병희(孫秉熙) 등이 연명한 독립 선언서의낭독이 끝나자 수 천명의 군중과 함께 거리로 쏟아져 나와 독립만세를 절규하면서 시위행진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았고1920.7. 7 전국 각 청년회 연합 통일 모임으로 발족한 조선 청년연합 기성회의 지방부 위원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경북 상주(尙州) 사람이다.

그는 조선약학교(朝鮮藥學校) 재학 중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 공원에서 독립선언서의 낭독이 끝난 후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일본 동경(東京)에서 2·8독립선언 이후 국내에서도 만세운동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진행될 때, 그는 조선약학교에 재학하면서 학우들과 함께 3·1운동의 계획에 참여하여, 만세운동 당일에 사용할 태극기 등을 제작하는 한편 동지규합에 힘을 쏟았다.

그는 학우들과 함께 3월 1일 오후 2시 파고다공원에서 거행된 독립선언식에 참가한 뒤, 시가 행진을 전개하였다. 이 때 박희봉은 시위행렬의 선두에 서서 보신각과 남대문 등지를 비롯하여 시내 각처를 행진하면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는 이 일로 일경에 붙잡혀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출옥 후 그는 계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기로 뜻을 세우고 사회운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 직후 일제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침을 수정하여 소위 문화정치(文化政治)를 표방하면서 외형적이나마 집회·결사의 자유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민족운동세력은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여 전국적 조직을 만들어갔는데, 각 지방의 청년회들을 연합한 조선청년회연합회가 그것이었다. 박희봉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초기에 참가하여 1920년 7월 7일 조선청년회연합기성회의 지방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178∼20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10권 97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3집 95∼121·140∼14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4집 464면
  • 신분장지문원지(경찰청)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103∼114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58∼82·99∼104면
  • 매일신보(1919. 11. 8)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희봉 박희창(朴喜昌) 경북 상주(尙州) 3.1운동
본문
1899년 6월 22일 경상북도 상주군(尙州郡) 모동면(牟東面) 수봉리(壽峯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박희창(朴喜昌)을 사용하였다. 1919년 당시에는 경성부(京城府) 연지동(蓮池洞,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에 거주하였다.고향 상주에서 한문을 배웠으며, 그 후 상경하여 서울 중동학교(中東學校, 현 중동중고등학교)와 경신학교(儆新學校, 현 경신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이후 조선약학교(朝鮮藥學校) 야학과에 입학하였다. 조선약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1919년 3월 1일 3~4천명의 학생들을 포함한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대는 무교정(武橋町, 현 무교동 일대), 대한문, 미국영사관 앞을 지나 황금정(黃金町, 현 을지로 일대), 프랑스영사관, 장곡천정(長谷川町, 현 소공동 일대) 쪽으로 행진하였다. 이후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앞에서 본정(本町, 현 충무로 일대)까지 만세를 부르며 행진하다 본정 2정목(本町 2丁, 현 충무로2가 일대) 파출소 근처에서 일제 경찰들에게 붙잡혔다.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1920년 6월 21일 서울 중앙예배당에서 최현(崔鉉)·이병조(李秉祚)·박일병(朴一秉)·안국선(安國善) 등과 함께 고학생 갈돕회 창립총회를 열고 부회장으로 선정되었다.1920년 조선청년회연합회(朝鮮靑年會聯合會) 결성에도 참여하였다. 1919년 만세운동을 계기로 전국각지에서 청년회가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조선청년회연합회는 이 청년단체들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였다. 1920년 6월 28일 서울 명월관(明月館)에서 오상근(吳祥根)·안확(安廓)·장도빈(張道斌)·장덕수(張德秀)·박일병·김명식(金明植)·안준(安浚) 등 50명이 모여 조선청년회연합기성회(朝鮮靑年會聯合期成會)를 발기하였다. 22명의 집행위원 중 윤자영(尹滋瑛) 등과 함께 지방부 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을 전개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부산광역시 기장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보신각 3·1독립운동 기념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희봉(관리번호:3437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