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4367
성명
한자 李敏台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19년 3월부터 4월 사이 서울에서 한남수(韓南洙) 등과 함께 국민대회(國民大會)를 개최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수립 활동을 하는데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무죄(無罪)를 받음.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에서 한성(임시)정부 수립을 목적으로 개최된 국민대회(國民大會)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초 국민대회를 개최해 임시정부를 세우려는 계획은 이교헌(李敎憲)ㆍ윤이병(尹履炳)ㆍ한남수(韓南洙)ㆍ김사국(金思國)ㆍ홍면희(洪冕憙)ㆍ이규갑(李奎甲) 등이 주도하였다. 이민태는 이규갑의 권유를 받고 참여하였다. 이들은 3월 17일 준비위원회를 열어 "4월 2일 인천 만국공원에서 13도 대표자회의를 열고, 임시정부를 수립하여 그 사실을 국민에게 공포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러나 당일 참가자가 적어 국민대회를 준비하는 회합에 그쳤다. 이 회합에서 "국민대회를 조직하고 임시정부를 만들어, 파리강화회의와 각국에 조선독립의 승인을 요구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 뒤 이들은 지도부를 구성하고, 거사일을 4월 23일로 정해 준비에 나섰다. 이민태는 「국민대회취지서」 등 전단지 6,000매를 인쇄하였다. 당일 종로 일대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고, 국민대회 취지서와 선포문이 배포되어 한성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1919년 12월 1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保安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1920년 3월 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무죄를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豫審終結決定書(京城地方法院 : 1919. 8. 30)
  • 判決文(京城地方法院 : 1919. 12. 19)
  • 判決文(京城覆審法院 : 1920. 3. 5)
  • 每日申報(1919. 12. 21, 1925. 5. 12)
  • 東亞日報(1920. 9. 1, 1924. 7. 29, 1925. 5. 11)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제5집 67~79, 132~143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제13집 114면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國史編纂委員會, 1994) 제19집 66~6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민태 - 서울 1919년 국민대회
본문
1872년 9월 4일 서울 수은동(授恩洞)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팔판동(八判洞)에 거주하였으며, 직업은 약종상(藥種商)이었다. 같은 해 3월과 4월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국민대회(國民大會) 준비 과정에 참여하였다.1919년 3월 중순부터 서울을 중심으로 한남수(韓南洙)·김사국(金思國)·홍면희(洪冕熹)·이규갑(李奎甲) 등이 임시정부 수립을 계획하자 이규갑의 권유를 받고 이에 참여하였다. 3월 12일경 서울 내자동(內資洞) 한성오(韓聖五)의 집에서 한남수·홍면희·이규갑·김사국 등과 함께 임시정부와 국민대회에 관한 논의에 참여하였다. 이 자리에서 국민대회 취지서 및 임시정부 약법(約法) 제작이 논의되었다.4월 2일 오후 홍면희 등과 각 종교계 대표 인사들을 포함한 20여 명의 대표자들이 인천 만국공원에 모여 임시정부 조직,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 국민대회 개최와 정부 수립 선포 등을 논의하였다. 4월 23일에는 서린동(瑞麟洞) 봉춘관(奉春館)에서 국민대회가 개최되었고, 국민대회 취지서 및 임시정부 선포문이 배포되었으며 한성정부 수립이 선포되었다. 이날 김사국·이헌교(李憲敎)·장채극(張彩極)·전옥결(全玉玦) 등과 함께 붙잡혔다.이 일로 1919년 12월 1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을 이유로 징역 10월(미결구류일수 중 120일 본형 산입)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고 항소하여 1920년 3월 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증거불충분으로 무죄를 받았다.이후 1920년 조선노동대회(朝鮮勞動大會)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김사국 등과 함께 노동자합숙소와 소비조합을 만드는 등 노동운동에 힘썼다.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10월,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2-19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무죄(원판결중 피고에 관한부분 취소) 경성복심법원 1920-03-05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민태(관리번호:3436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