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19년 3월 1일 손병희(孫秉熙) 등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하자 서울의 각 지역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연일 일어났다. 한국인들의 평화적인 독립만세시위에 대해 일제의 폭압적인 진압과 구금 및 고문이 이어졌으며, 시내 전역에 대한 주도면밀한 경계태세는 만세시위의 움직임을 억눌렀다. 이에 따라 3월 1일 서울 전역에서 벌어진 군중시위와 3월 5일 학생단 시위와 같은 수만 또는 수십만의 대규모 시위는 계속되지 않았다. 3월 8일 용산에서 200명, 3월 10일 동대문에서 300명 등 소규모의 시위가 산발적으로 일어났을 뿐이었다.
3월 12일 보신각 앞에서 「애원서」라는 이름의 제2의 「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던 것은 이런 상황에서 나온 것이었다. 제2의 「독립선언서」가 보신각 앞에서 낭독되자 수백 명의 군중들이 몰려들었다. 그러나 일본 경찰이 출동하여 낭독자 문일평과 주도자들을 체포하였다.
이때 천학서는 1919년 3월 23일 밤에 종로에서 식사를 하고 집으로 귀가하다가 종로에서 만세시위를 하고 있는 군중을 발견하고 합세하여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천학서는 1919년 3월 23일 종로에서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었다. 1919년 5월 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保安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선고받고 공소를 제기했다. 1919년 7월 1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공소를 기각하여 고등법원에 상고하였다. 1919년 9월 20일 상고가 기각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고, 1920년 3월 20일 출옥하였다.
정부는 2017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판결문(判決文)(경성지방법원:1919. 5. 8)
- 판결문(경성복심법원:1919. 7. 12)
- 판결문(고등법원:1919. 9. 20)
- 신분장지문원지(身分帳指紋原紙)(경찰청)
-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1996) 제27권 3, 61~62, 305, 360~361면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제19권 5~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