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2635
성명
한자 李慶赫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10 훈격 대통령표창
1919년 3월 23일 밤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자택(自宅) 앞에서 만세를 고창(高唱)하다 체포(逮捕)되어 (笞) 90(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창(高唱) : 노래, 구호, 만세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9권(2011년 발간)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용두리(龍頭里) 집 앞에서 독립만세를 불렀다.

1919년 3월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3월 23일에는 오후 8시부터 약 100여 명의 군중이 20여 곳에서 일제히 독립만세를 불렀다. 3월 23일 밤 서울 동대문 밖에서 만세시위가 일어난 것을 본 이경혁은 만세시위에 동참하여 용두리(현 서울 동대문구)의 자택 앞에서 시위 군중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불렀다. 이 일로 체포된 이경혁은 1919년 5월 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0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2권 117면
  • 每日申報(1919. 5. 11)
  • 判決文(京城地方法院:1919. 5. 8)
  •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제27권 58~59면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제5집 188~19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경혁 - 경기 고양(高陽) 1919년 고양군 숭인면 만세운동
본문
1876년 11월 7일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용두리(龍頭里, 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서 태어났다.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1919년 3월 23일 숭인면 용두리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3월 23일 서울과 서울 근교에서는 오후 8시를 전후로 만세시위가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었다. 동대문 일대에서는 종로통, 동묘(東廟), 돈화문통시장(敦化門通柴場), 연건동(蓮建洞), 옛 훈련원(訓練院) 부근, 숭이동(崇二洞), 고양군의 숭인면 안암동(安岩洞) 안암천 부근·돈암리(敦岩里)·용두리·청량리(淸涼里) 등의 지역에서 각각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또한 고양군 한지면(漢芝面) 왕십리 산, 마포, 양화진, 수색, 녹번현(碌磻峴), 당진리, 행주(幸州), 구파발리 등에서도 만세시위가 있었다.3월 23일 밤, 서울 동대문 밖에서 들려오는 만세소리를 듣고 자신이 거주하던 용두리에서 김철배(金哲培)·임수학(林壽學) 등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거행하였다.한편 같은 날 밤 동대문 일대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서는 시위대의 투석으로 전차 20대의 유리창 105장이 파손되었다. 동대문 만세시위는 다음날 0시 30분까지 지속되었으며, 일제 군경의 진압과 주도자 연행으로 강제 해산되었다.이후 일제 군경에 붙잡혀, 1919년 5월 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대한민국 정부는 201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보안법위반 태 90 경성지방법원 1919-05-08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산골 유골을 화장하여 산이나 강, 바다 등에 흩뿌려 묘소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경혁(관리번호:3263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