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1979
성명
한자 成周復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5 훈격 건국포장
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 역전에서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적포를 휘두르며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1919년 11월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6권(2006년 발간)

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역 일원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3월 5일 오전 8시경, 남대문역 앞에는 학생들의 주도로 수많은 시위군중이 모였다. 주도자인 강기덕(康基德)과 김원벽(金元璧)은 인력거를 타고 ‘조선독립’이라고 크게 쓴 깃발을 휘두르며 달려와 제2회 시위운동을 벌일 것을 선포하였다.

시위군중은 일제히 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부르면서 선두에 선 강기덕과 김원벽 등의 지휘에 따라 남대문으로 향하였는데, 적포(赤布)를 휘두르는 사람도 있었다. 남대문에 이르렀을 때 일본 경찰이 출동하여 주도자를 검거하자, 시위대는 일경의 제지를 피하여 1대는 남대문시장으로부터 조선은행 앞을 거쳐 보신각으로 향하고, 1대는 남대문에서 대한문 앞과 무교정을 지나 종로 보신각 앞에서 시위대와 합류하여 독립만세를 부르고 시위행진을 벌였다.

당시 그는 배재고보 4학년으로서 시위대열에 참가하여 남대문역 일원에서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을 벌였다.

이로 인해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11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豫審終結決定書(京城地方法院:1919. 8. 30)
  • 身分帳指紋原紙(경찰청)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권 58∼82·99∼104면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1956) 107면
  • 每日申報(1919. 11. 8)
  • 日帝侵略下韓國三十六年史(國史編纂委員會) 제4권 542·62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3권 95∼121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112면, 제9권 19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성주복 - 경기 수원(水原) 1919년 서울 만세운동
본문
1894년 8월 29일 경기도 수원군(水原郡) 의왕면(儀旺面, 현 의왕시) 청계리(淸溪里)에서 태어났다. 22세 때인 1915년 신학문을 배우기 위해 서울의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청년학관에 입학하였다. 공부를 위해 경기부천군(富川郡) 주남면(柱南面) 개봉리(開峯里, 당시 경인선 오류역 부근, 현 서울 구로구 개봉동) 김재달(金在達)의 집으로 이사하여 기차로 통학하였다. 이 무렵 기독교에 입문하여 정동교회(貞洞敎會)에 다녔다. 1917년 청년학관이 폐교되자 이듬해 배재고등보통학교(培材高等普通學校, 배재고보) 3학년으로 편입하였다.1919년 3월 3일 배재고보 4학년생으로 동료들과 함께 고종 장례식에 참례하였다. 3월 5일에는 서울지역 학생 지도부가 계획한 남대문역(현 서울역)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오전 9시 남대문역 앞에는 수많은 시위군중이 모였다. ‘독립만세’ 등의 수많은 깃발을 앞세우고 이날 만세시위를 기획한 강기덕(康基德)과 김원벽(金元璧) 등이 선두에 서서 인력거를 타고 시위를 이끌었다. 남대문역에서 대한문을 지나 태평정(太平町, 현 서울 중구 태평로)을 거쳐 종로 보신각으로 진출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경찰에 붙잡혔다.1919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으로 예심이 종결되었다. 예심 과정에서 일본인 판사의 독립운동에 대한 신문에 대해, “조선이 독립해 나갈 힘이 생겼고, 파리강화회의에서 민족자결주의를 부르짖고 어떠한 약소국이라도 민족이 자결하면 독립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고 주장하였다. 또 판사가 “장래도 독립운동을 할 것인가”라는 신문에 대해, “조선인이므로 또 독립운동이 있으면 참가하겠다”고 당당히 밝혔다.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6월(미결구류일수 중 90일 본형에 산입)을 받았다.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고, 1920년 2월 10일 풀려났다.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경기도 의왕시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보신각 3·1독립운동 기념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성주복(관리번호:3197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