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1448
성명
한자 文成鎬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5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12 서울 서린동(瑞麟洞) 영흥관(永興館)에서 김백원(金百源), 문일평(文一平) 등과 회합하여 13도 대표자의 명의로 독립요구서를 작성, 이를 종로(鍾路) 보신각(普信閣)에 모인 군중앞에서 낭독, 배포하고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경기도 양평(楊平) 사람이다.

그는 1919년 3월 12일 서울 종로 보신각(普信閣)에서 김백원(金百源)·문일평(文一平) 등과 함께 조선 13도대표자 명의의 독립요구서를 낭독하고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3월 1일 만세운동이 시작된 이래 일제의 대대적인 검거 선풍으로 인하여 서울에서는 며칠간 잠잠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일제는 일본군으로 하여금 시가 행군케 하면서 민중을 위압하고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성호 등은 3·1운동 후 서린동(瑞麟洞) 영흥관(永興館)에서 모여 3·1독립선언식의 후속 조치를 취하여 만세운동의 열기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음을 공감하고, 애원서라는 제목 하의 '조선 독립은 2천만 동포의 요구다. 우리들은 손병희(孫秉熙) 등의 후계자로써 조선 독립을 관철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취지의 선전 문서를 작성한 뒤 이를 여러 장 인쇄하여 배포하였다. 그리고 3월 12일 보신각 앞에서 수백의 군중이 운집한 가운데 애원서를 낭독하고, 문성호가 선두에서 서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그는 이 일로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8월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6·107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103∼11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174∼20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3집 95∼121·140∼142면
  • 매일신보(1919. 11. 8)
  •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국사편찬위원회) 별집 제3집 394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4권 8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58∼82·129∼13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문성호 - 경기 양평(楊平) 서울 보신각 만세운동
본문
1872년 2월 13일 경기도 양평군(楊平郡) 용문면(龍門面) 중원리(中元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만세운동 당시 유생(儒生)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김백원(金百源)·문일평(文一平)·차상진(車相晋)·김극선(金極善)·조형균(趙衡均)·백관형(白觀亨) 등과 함께 서울 보신각(普信閣) 앞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1919년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3월 8일 오후 김백원 목사를 만나 협의한 끝에 새로운 독립선언서를 작성하기로 하고, 3월 11일 오전 작성된 문서를 김백원에게 보냈다. 3월 12일 서린동(瑞麟洞)의 중화요리점 영흥관(永興館)에서 다른 동지들을 만나 3월 1일 태화관(泰和館)에서 독립선언을 하고 체포된 손병희(孫秉熙) 등 민족대표의 뜻을 계승하기 위해, 민족자결주의에 입각하여 조선을 독립국으로 만들기 위한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대하여 상의하였다.이어 의주교회 집사 문일평을 비롯한 안동교회(安洞敎會) 목사 김백원, 승동교회(勝洞敎會) 목사 차상진, 평안북도 정주(定州) 덕흥교회(德興敎會) 장로 조형균, 명이항(明以恒) 등의 기독교계 인사와 만세시위 현장에서 서로 알게 된 백관형, 조재학(趙載鶴), 고예진(高禮鎭) 등 유림계 인사들과 함께 꺼져 가려는 만세운동의 열기를 다시 살리고, 조선총독부에 대해서는 조선의 독립을 허용할 것을 촉구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김백원과 차상진 등 12명의 명의로 ‘조선독립청원서(朝鮮獨立請願書)’ 2통을 작성해 1통은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게 보내고, 1통은 종로 네 거리의 보신각에 시위 군중을 모아 그곳에서 낭독하고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계획하였다.조선독립청원서 2통이 작성되자 차상진과 함께 1통을 하세가와 총독에게 보내는 임무를 맡았다. 그리고 김극선·문일평 등 주도 인사들과 함께 보신각으로 나아갔다. 수백 명이 모인 보신각 앞에서 문일평이 대표로 청원서를 낭독하고,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날 시위대의 선두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붙잡혔다.이 일로 일제 경찰의 가혹한 조사를 받으며 재판 회부 여부와 관련해서 장기간의 예심을 받았고, 결국 1919년 8월 30일 공판에 회부되었다.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8월(미결 구류 일수 120일 본형 산입)을 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치렀고, 1920년 3월 9일 만기 출소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8월,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8월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보신각 3·1독립운동 기념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문성호(관리번호:3144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