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공훈전자사료관 ▒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Logo

경고 아이콘

찾으시려는 웹페이지는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입니다.

찾으시려는 페이지의 주소가 잘못 입력되었거나, 페이지 주소의 변경 혹은 삭제로 인해 현재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페이지의 주소가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계속해서 해당 페이지가 보이신다면 공훈전자사료관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30258
성명
한자 吉瑛羲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2005 훈격 대통령표창
1919년 2월 말 한위건(韓偉健)을 만나 독립선언(獨立宣言) 계획을 듣고 1919년 3월 1일 파고다공원에서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 만세(大韓獨立萬歲)고창하며 활동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1919년 11월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미결구류일수(未決拘留日數) 90일 본형(本刑) 산입(算入))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 고창(高唱) : 노래, 구호, 만세따위를 큰 소리로 부르거나 외침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6권(2006년 발간)

1919년 3·1운동 때 학생대표로서 서울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당시 평양고보를 졸업하고 경성의학전문학교 1학년 학생으로서 2월 20일경 동교 선배인 한위건(韓偉健)을 만나 만세운동 방법을 논의하였고, 김형기(金炯璣) 등 선배와 함께 경성의학전문학교 대표로 학생 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 그는 3월 1일 오후 2시, 사전 약속대로 탑골공원으로 나갔다. 탑골공원에는 학생과 시민 등 다수의 군중이 모여 있었다. 그런데 손병희 등 민족대표들이 갑자기 장소를 변경하여 태화관(泰和館)에서 독립선언을 하자, 그들은 독자적으로 독립선언식을 갖고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현장에서 독립선언서가 배포되고 누군가에 의해 독립선언서가 낭독된 후, 그들은 시위대열을 형성하여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가행진에 돌입하였다. 이후 일경의 대대적인 검속으로 체포되어 약 8개월여의 옥고를 치르던 중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미결구류 90일 通算)을 받았다. 출옥 후 학교에서 퇴학처분을 당한 그는 교육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1923년 배재고보에 편입하였다. 1925년에는 일본으로 유학,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廣島高等師範學校) 지력과(地歷科)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배재와 경신고등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였다. 한편 1938년경부터는 인천에서 농촌계몽운동과 문맹퇴치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9권 180·191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권 61·68·73·101∼103면
  • 判決文(京城地方法院, 1919. 11. 6)
  • 豫審終結決定書(京城地方法院, 1919. 8. 30)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국사편찬위원회, 1983) 제18권 245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길영희 - 평안북도 희천(熙川) 경성부 3.1운동
본문
1900년 10월 9일 평안북도 희천군(熙川郡) 희천면(熙川面) 읍상동(邑上洞)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당시 경성의학전문학교 1학년생이었다. 1919년 2월 말 학교 선배 한위건(韓偉健)에게 독립 선언 계획을 들었다. 한위건은 3월 1일을 기하여 손병희(孫秉熙) 등 민족 대표들이 종로 탑골공원에 모여서 독립선언식을 가질 예정이라는 사실을 알렸다. 이에 서울 시내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오후 2시 탑골공원에서 열리는 독립선언식에 참여하기로 하였다. 3월 1일 오후 2시 무렵 탑골공원에는 200여 명의 학생과 군중이 집결하였다. 손병희 등 민족대표들이 탑골공원이 아닌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을 하자, 탑골공원에 모인 학생과 군중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시작하였다. 이때 경성의학전문학교 대표로 참여하였다가 경찰에 체포되었다. 1919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의 예심종결 결정에서 공판 회부가 결정되었다.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3년 형을 선고받았다. 출옥 후 학교에서 퇴학 처분을 당하자 1923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廣島高等師範學校) 지력과(地歷科)에 입학하였다. 1929년 졸업 후 귀국하여 배재고등보통학교와 경신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38년경부터 인천에서 농촌계몽운동과 문맹퇴치운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광복 후 인천중학교 교장으로 부임하였고, 1954년에는 제물포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62년 교직에서 물러났으며, 1969년 충남 덕산에서 가루실농민학원을 설립하여 농민 교육에 헌신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내산재 충청남도 예산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장소 탑골공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2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길영희(관리번호:3025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