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791
성명
한자 裵東奭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중학교 재학시절부터 항일사상이 투철했으며 3.1독립만세 운동에서는 이갑성(李甲成)과 비밀활동을 하다가 향리 김해지방의 거사 주동자로 활동하다 징역 1년형을 받았으나 고문의 여독으로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3권(1987년 발간)

경상남도 김해(金海) 사람이다.

서울에서 전개된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1906년(광무 10) 대구계성중학교(大邱啓聖中學校) 재학중, 배일혐의로 체포되어 3개월간의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동교를 중퇴하고 서울 경신학교(儆新學校)를 졸업했다.

그는 목포(木浦)에서 교직생활을 하다가 다시 배일혐의로 체포되었으며, 그후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김좌진(金佐鎭)과 함께 활동하였다. 1918년 귀국하여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여 다니던 중, 이듬해 2월 12일 및 14일에 이갑성(李甲成)의 초청으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구내의 이갑성의 자택에서 음악회를 빙자하여 김원벽(金元璧)·김형기(金炯璣)·윤자영(尹滋瑛)·김문진(金文珍)·한위건(韓偉健) 등 학생 대표들과 만나 해외의 독립만세운동의 상황을 논의하였다.

2월 26일에는 경상남도의 민족대표를 추진하기 위하여 마산(馬山)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3월 1일에는 종로(鐘路)에서 수천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가하였으며, 3월 5일에도 계속해서 남대문역(南大門驛) 앞에서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이듬해 4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236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104·112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69·105·108·110·111·113·115·122·123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173·26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97·121·125·14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배동석 아명 : 배만복(裵萬福) 경남 김해(金海) 3.1운동
본문
1889년 3월 22일 경상남도 김해군(金海郡) 김해면(金海面) 동상동(東上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분성(盆城)이고, 어릴 때 이름은 만복(萬福)이다. 아버지 배성두(裵聖斗)는 1891년 부산(釜山)에서 기독교를 접하고, 1894년 김해로 귀향하여 경남 지방 최초의 기독교회인 김해교회를 창립하였다.1906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의 추천으로 대구(大邱) 계성학교(啓聖學校)에 입학하였다. 1907년 「학도결의문(學徒決議文)」 낭독 사건을 주도하였다. 학교 대표로 학생 20명과 함께 “우리 계성(啓聖)의 학도 20인은 조선 땅이 왜놈의 발아래 더럽혀지는 것을 볼 수 없어 이를 결의하기에 이르렀노라”고 하는 결의문을 낭독하고, 일본인 상가의 유리창을 향해 돌을 던졌다. 이 일로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의 충돌이 일어나, 출동한 일제 헌병에 의해 학생 20명 전원이 체포되었다. 이때 붙잡혀 3개월간 대구경찰서에서 옥고를 겪고 풀려났다.1908년 3월 계성학교를 중퇴하고 서울 경신학교(儆新學校)로 전학하였다. 1910년 경신학교를 졸업한 뒤 목포(木浦)에 있는 유일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근무하였고, 1915년 경성연합의학전문학교(京城聯合醫學專門學校)에 입학하였다.1915년 7월 15일 결성된 광복회(光復會)에 가입하였다. 1916년 5월 독립운동 자금을 전달하기 위해 서간도로 들어가 독립운동가들은 만난 후 귀국하였다. 1917년 봄 경성연합의학전문학교에 복학하여 수학하던 중, 다시 1918년 봄 광복회 대구지부의 명령으로 상하이(上海)에 파견되었다. 이후 만주로 들어가 김좌진(金佐鎭)을 만난 뒤, 상하이로 가서 이동녕(李東寧)에게 군자금을 전달하고 이듬해 2월 귀국하여 경성연합의학전문학교 2학년에 복학하였다.1919년 2월 12일과 14일 양일간에 김원벽(金元璧)·김형기(金炯基)·윤자영(尹滋英)·김문진(金文珍)·한위건(韓偉健)·이갑성(李甲成) 등과 함께 경성연합의학전문학교 구내에서 음악회를 가장한 회의를 열고 만세운동 계획을 논의하였다. 2월 24일에는 동지를 모집하라는 이갑성의 부탁을 받고 마산(馬山)으로 내려가 2월 25일 이상소(李相召)·손덕우(孫德宇)·이승규(李承奎) 등에게 만세운동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였다.1919년 3월 1일 학생 대표로 탑골 공원에서 종로경찰서 앞까지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불렀다. 3월 5일에는 남대문 정거장 광장에서 경성의전 학생 박주풍(朴疇豊)·김봉렬(金鳳烈)·서영완(徐永琬) 등과 함께 독립기를 앞세운 수백 명의 군중 속에서 독립 만세를 불렀다. 그리고 3월 26일에는 연건동(蓮建洞)에서 임경숙(林敬叔)·이순신(李順信)·이창규(李昶奎) 등과 함께 ‘독립만세’를 불렀다.3월 26일 연건동에서 ‘독립만세’를 불렀다는 이유로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미결구류일수 중 120일 본형 산입)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1920년 4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징역 1년,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 공소 기각 경성복심법원 1920-04-27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배동석(관리번호:279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