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646
성명
한자 李炳春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전북(全北) 3.1독립만세거사총책으로서 거사계획 및 준비등 활약하고 상경하여 탑동공원(塔洞公園)독립만세에 가담후 피체되어 징역 3년을 복역하였으며 출옥상해 임정(上海臨政)에 군자금을 송금하다가 발견되어 다시 징역 2년간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권(1986년 발간)

전라북도 임실(任實) 출신으로 천도교(天道敎)인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전라북도 총책임자로서, 상경하여 파고다 공원의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인 박준승(朴準承)과 긴밀히 연락하여 서울에서 독립선언문과 태극기를 전주(全州) 천도교구에 운반하여 독립만세운동 준비를 마친 후, 상경하여 파고다 공원의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일경에 붙잡혀 징역 3년형을 받아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상해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에 군자금을 모집하여 송금하다가 발각 체포되어, 다시 서대문 형무소에서 2년간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3·1운동비사 22면
  • 동학사 188·229·237면
  • 전주시사 114·116·618·619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10권 28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병춘 - 전북 임실(任實) 1919년 서울 탑골공원 만세운동, 독립운동 자금 모집
본문
1864년 2월 2일 전북 임실군(任實郡) 상동면(上東面) 효자촌(孝子村)에서 태어나, 전북 전주군(全州郡) 전주면(全州面) 다가리(多佳里)에서 성장하였다. 조부인 이경화(李敬華)는 승정원 좌승지였으며, 부친 이우홍(李宇洪)은 호조참판을 역임하였다. 20대부터 동학을 믿었으며, 천도교에서 도사(道師)의 직책을 맡고 있었다. 1919년 만세운동 당시에는 서울 송현동(松峴洞)에 거주하면서, 만세시위를 전개하기 위해 천도교 신자들로부터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였다.1890년대 초반을 전후로 동학에 입교했으며, 1892년 삼례집회, 1893년 교조신원운동에 참여하였다. 1894년 1월 동학농민군이 고부를 점령한 후 발송한 격문에서 전북 임실군 대표로 이름을 올렸다. 3월 도접주로서 기포하였으며 진산전투에 참여했다가 관군에 붙잡히기도 하였다. 그 해 9월에는 임실에서 농민군을 규합하기도 하였다. 동학농민혁명 이후로도 동학교단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활동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에 천도교 교주(敎主)였던 박인호(朴寅浩)가 각 도(道)의 천도교 지도자들에게 천도교 교인들의 민심을 안정시키고, 배일사상을 고취하라고 지시할 때 박준승(朴準承)과 더불어 전북 지역의 총책임자로 있었다. 이후 1919년 서울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을 때 탑골공원 일대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1919년 3월 15일 전국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될 때 손병희의 사위이자 천도교 대종사장(大宗司長)인 정광조(鄭廣朝)는 전북 지역의 천도교 교구장(敎區長) 정남수(丁男秀)·정상열(鄭相悅)·장남선(張南善)·박준관(朴準寬) 등에게 독립운동자금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특성금(特誠金) 30만원을 모집하게 하였다. 이때 천도교중앙총부(天道敎中央摠府)의 도사였는데, 각 천도교 지도자들에게 정광조의 말에 따라 특성금을 모금할 것을 당부하였다. 그리고 전북 고산교구장(高山敎區長) 김태현(金台鉉)과 상의하여 신도들에게 최대한 모금할 수 있을 만큼 돈을 모을 것을 결의하였다. 또한 정광조로부터 특성금의 모금이 예상보다 활발하지 못하므로 각 지역의 천도교 지도자들을 직접 독려해 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하였다. 이에 정광조의 지시에 따라 각 지역 천도교 지도자들에게 특성금 모금에 적극적으로 따라 줄 것을 당부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마침내 각 지역의 천도교 지도자들로부터 천도교의 기념일(天日)인 1919년 4월 5일 손병희 자택에서 천도교 중앙총부 지도층과 함께 약 3만원의 특성금을 받았다. 하지만 천도교 측에서 독립운동과 관련 있는 특별성미금을 모집한 사실이 일제 헌병대에 알려지면서 각 지역에서 활동하던 천도교 교구장들이 검거되었다. 그리하여 천도교 중앙총본부에서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특별성미금을 모집하게 한 사실이 드러나 경성헌병분대에 붙잡혀 2회에 걸쳐 헌병의 조사를 받고 고초를 겪었다.풀려난 후에는 천도교 통일기성회(天道敎統一期成會)에서 활동하며 천도교의 포교활동에 전념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병춘(관리번호:264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