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601
성명
한자 崔貞淑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3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1 서울 파고다공원(公園)에서 독립선언(獨立宣言)이 발표된 후 수천 군중이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내로 행진할 때 이에 참가하여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내를 행진하다 피체되어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執行猶豫)를 받아 8월여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1권(1994년 발간)

제주(濟州) 사람이다.

1919년 당시 경성여자보통학교 학생으로 3월 1일 서울 탑동(塔洞) 공원에서 독립선언문이 발표되자 수천 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을 벌이다가 일경의 무력탄압으로 시위가 강제로 해산되고 다른 동지들과 함께 붙잡혔다.

그리하여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받기까지 8개월여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도 교사로 민족교육 및 인재양성에 힘쓰는 등 활동을 계속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豫審終決決定書(1919. 8. 30. 京城地方法院)
  • 韓國獨立運動史(文一民) 106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2卷 113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9卷 195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3輯 95·105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14輯 451面
  • 判決文(1919. 11. 6. 京城地方法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8卷 384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5輯 66·73·96·98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정숙 - 제주 1919년 서울 만세운동
본문
1902년 2월 10일 전라남도 제주군(濟州郡) 제주면(濟州面) 삼도리(三徒里)에서 아버지 최원순(崔元淳)과 어머니 박효원의 6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탐진(耽津)이다. 아버지는 평북 희천군수와 창성군수를 역임하였고, 광복 이후 초대 제주지방법원 법원장을 지냈다. 서울 진명여학교를 마치고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졸업하였다.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인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3월 1일 재동여자보통학교에서 교생실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불참하고 기숙사에서 쉬고 있던 중, 밖에서 만세시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고 이에 참여하였다. 기숙사에 있던 최용숙(崔容淑)·한화순(韓化順) 등 동창생들과 더불어 밖으로 나와 시위대에 합류한 후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을 포함한 3,000~4,000명의 시위대와 함께 탑골공원에서 나와 만세를 부르며 종로(鍾路)와 무교정(武橋町, 현 무교동 일대)을 거쳐 대한문 쪽으로 행진하였다. 이어서 대한문과 덕수궁 앞을 지나 서대문정(西大門町)·서소문정(西小門町)·장곡천정(長谷川町)을 거쳐 본정(本町) 방향으로 만세를 부르며 행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붙잡혀 오랜 기간 예심을 거친 결과 1919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으로 공판 회부가 결정되었다. 같은 해 11월 6일 오세창(吳世昌)·박규훈(朴圭壎)·안규용(安圭瑢) 등과 함께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6월(미결구류일수 중 90일 본형 산입)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1921년 제주에서 강평국(姜平國) 등과 함께 여성 강습소인 여수원(女修園)을 개설하였고, 1927년에는 제주여자청년회를 조직하고 집행위원을 맡았다. 1942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제주에 정화의원을 개원하고, 무료의료봉사 등을 통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왔다. 1954년에는 신성여자고등학교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또한 대한적십자사 제주지사 부지사장, 제주도중등교육회 회장, 대한결핵협회 제주도지부장으로도 활동하였다. 1964년 교육자치제 시행 이후에는 초대 제주도교육감으로 선출되어 4년 동안 재직하였다. 1966년 5·16민족상이 제정된 후, 제2회 교육부문 본상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제주호국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애국선열 추모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 사당 창열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3 기념관 제주항일 기념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4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정숙(관리번호:260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