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210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世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0 훈격 애족장
1919.3.1 파고다공원에서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하고 시위선두대열에서 활약하다가 체포되어 징역1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권(1986년 발간)

평안북도 의주(義州) 사람으로, 1919년 3·1운동 때 「동포여 일어서라」는 격문을 발행하고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당시 경성공업전문학교 부속, 공업전수소 2년생으로 3월 6일 관훈동(寬勳洞)의 자기 집을 방문한 경성보통학교 3년생인 박노영(朴老英)과 함께 독립 취지를 고양하는 격문을 발행하기로 결의하였다.

격문의 원고는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으로 3·1학생 만세시위의 주도자인 한위건(韓偉健)에게 부탁하여, 방재룡(方在龍)·박수찬(朴秀燦)과 함께 유석우(庾錫祐)로부터 등사판을 빌려 자기의 집에서 조선독립단(朝鮮獨立團) 명의로 된 격문 800여 매를 인쇄하였다.

그 내용은 민족대표 33인의 숭고한 뜻을 이어받아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독립을 쟁취하자는 것으로, 3월 8일 박수찬이 관훈동 일대에 250여 매를 배포하고, 소격동(昭格洞) 신용식(申傭植)의 집에서 방재룡이 주선한 사람에게 250여 매를 주어, 서울 일대에 배포하도록 하였다.

한편 그는 가회동(嘉會洞) 조홍식(趙弘植)의 집에서 최사열(崔士烈)에게 50여 매를 주어, 그 동리에 배포케 하는 등 독립정신을 고취하다가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이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66·124·125·127·128·158·160·169·173·182면
  • 신분장지문조회회보서
  •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832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130면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196·200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95·110·141면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세용 - 평안북도 의주(義州) 3.1운동
본문
1901년 10월 10일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광성면(光城面) 외리(外里)에서 김청성(金淸成)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당시 서울 관훈동(寬勳洞)에 거주하였다. 미곡상을 하면서 경성공업전문학교 부속 공업전습소 2학년에 재학 중으로 일본조합기독교회인 한성교회(漢城敎會)에 다니고 있었다. 1919년 3월 7·8일 시내에 ‘동포여 일어나라’라는 제목의 격문 배포를 주도하였다. 1919년 3월 3~4일경 동창생 방재룡(方在龍), 일본조합교회인 광남교회(廣南敎會) 전도사 유석우(庾錫祐) 등과 독립 의식 고취를 위하여 더 많은 격문을 배포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 3월 6일 방재룡과 함께 방문한 경성고등보통학교 학생 박노영(朴老英)과 독립운동을 확산할 방법으로 격문 제작을 결의한 다음,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으로 만세 시위의 주도자인 한위건(韓偉健)에게 격문의 원고를 부탁하였다. 3월 7일 박노영이 같은 학교 학생 전준희(全俊禧)를 통하여 한위건이 작성한 격문 ‘동포여 일어나라’를 전달받았다. 내용은 민족대표 33인의 숭고한 뜻을 이어받아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독립을 쟁취하자는 요지였다. 3월 7일 밤부터 8일 새벽 1시 사이 자신의 집에서 박노영·박수찬(朴秀燦)과 함께 유석우에게 빌린 등사판으로 격문 800매를 인쇄하였다. 박수찬은 3월 8일 밤에 격문 약 250매를 직접 시내에 배포했으며, 방재룡이 소개한 인물에게 250매를 배포하도록 의뢰하였다. 같은 날 경성부 가회동 조홍식(趙弘植)의 집에서 격문 100~200매 가량을 경성공업전문학교 학생 최사열(崔士烈)에게 건네주었다. 이 일로 붙잡혀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이듬해 2월 27일 기각(미결 구류일수 60일 본형 산입)되어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고 1920년 5월 27일 출소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 1년, 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3 판결문 보안법위반등 공소 기각, 미결구류일수중 60일 본형에 산입 경성복심법원형사부 1920-02-27 국가기록원
4 인물카드 보안법위반, 출판법위반 징역1년 경성복심법원 1920-02-27 국사편찬위원회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신암선열공원 대구광역시 동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세용(관리번호:221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