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2114
성명
한자 安圭瑢
이명 안규영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3.1운동 포상년도 1992 훈격 대통령표창
1919. 3. 1 경성고등보통학교(京城高等普通學校) 1년생(年生)으로 재학시 서울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가 발표되자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동 공원(同公園)으로부터 뛰쳐나와 시내를 행진하는 수천명의 학생, 시민 등 시위군중들과 함께 시위행진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0권(1993년 발간)

경북 봉화(奉化) 사람이다.

1919년 3월 1일 당시 경성고등보통학교(京城高等普通學校) 1년생으로 서울 탑동(塔洞) 공원의 독립선언 행사에 참석하고 수천 명의 학생과 시민 등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공원 밖으로 뛰쳐나와 시위행진을 벌이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범죄인명부
  •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106면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95∼99면
  • 예심종결결정서(1919. 8. 30 경성지방법원)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105∼11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안규용 안규영 경북 봉화(奉化) 1919년 서울 만세운동
본문
189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법전면(法田面) 눌산리(訥山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안규영을 사용하였다. 1919년 당시 경성고등보통학교 1학년에 재학중이었고, 서울 화동(花洞)에서 거주하였다.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1919년 3월 1일 손병희(孫秉熙) 등의 독립선언 발표 소식을 학교 선배로부터 전해 듣고, 집에 들렀다가 탑골공원으로 갔다. 오후 2시경 탑골공원에서는 3,000~4,000명의 학생을 포함한 군중들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이들은 탑골공원의 정문과 후문으로 나와 거리를 행진하였다. 시위 군중은 독립만세를 외치며 종로1가로 향하였다. 탑골공원에서 나오는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종로(鍾路)에서 광화문통(光化門通)(현 세종로 일대)까지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후 시위대를 빠져나와 집으로 돌아갔다. 3월 2일 하숙집에 대한 일제 경찰의 불심검문 과정에서 붙잡혔다.이후 일제의 조사를 거쳐 재판에 회부되었다. 같은 해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3년(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을 받고 풀려났다. 그 동안 8개월 가량 미결수 신분으로 고초를 겪었다.1919년 만세운동 참여로 제적당하였다. 1996년 10월 2일 경기고등학교 개교 96주년 기념식에서 명예졸업장이 수여되었다.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수형기록

도움말
수형기록
순번 종류 죄명 처분(주문) 판결기관 판결일 제공
1 판결문 출판법위반, 보안법위반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부침 경성지방법원 1919-08-30 국가기록원
2 판결문 보안법위반 징역 6월, 3년간 집행유예, 미결구류일수 90일 본형에 산입 경성지방법원 1919-11-06 국가기록원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묘지 안장자 위치정보 시스템 바로가기

관련 현충시설 정보

도움말
관련 현충시설 정보
순번 종류 시설명 소재지
1 3·1독립운동 기념탑 서울특별시 중구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안규용(관리번호:211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