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819
성명
한자 崔鳳潤
이명 崔奉允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1930년 (頃) 평남(平南) 평양(平壤)에서 기독학생 종교부회 총합회를 결성하고 초대회장이 되어 한글선전(브나로드운동) 등에 힘썼으며 1935년 (頃)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일맥회(一麥會)라는 민족주의단체에 가입하여 친목과 자아혁신에 힘썼다 하며 1941.12월 미국LA에서 결성된 한인국방경위대(韓人國防警衛隊)(맹호단(孟虎團))에 가입하여 군사훈련을 받고 1943. 9월에는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미주지부(美洲支部)의 기관지「독립」(Korean Independence)의 출판 발기인(出版發起人)으로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3권(1996년 발간)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

1930년 평남 평양(平壤)에서 학생으로 재학 중, 평양지역내 다섯 학교의 종교부를 통일하여 평양기독학생(平壤基督學生) 종교부회(宗敎部會) 총합회(總合會)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어 성경학교와 수양회를 개최하여 한글을 가르치는 등 문맹퇴치운동과 민족정신 고취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5년 일본 동경으로 유학하여 기독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 일맥회(一麥會)라는 민족주의 그룹에 가입하여 시국간담회 등을 통해 민족정신을 고취하였으며, 그 후 미국으로 도미하였다.

도미 후 1941년 2월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에서 변준호(卞俊鎬)·최능익(崔能翊) 등이 결성한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미주후원회(美洲後援會)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소장파들이 중국 한구(漢口)에서 결성한 조선의용대의 중국군대 후방공작을 후원하였다. .

한편, 1941년 4월 2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국내 각 한인단체 대표들이 모여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를 개최하고 동년 8월 미주내 모든 단체들을 통합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를 조직하자, 그가 소속한 조선의용대 미주 후원회 역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그 후 동년 12월에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위원으로 미국 육군사령부의 허가를 얻어 로스엔젤레스에 캘리포니아주 민병대 소속으로 일명 맹호군(猛虎軍)인 한인국방경위대(韓人國防警衛隊)를 편성하자, 한인경위대(韓人警衛隊)에 입대하여 매주 군사훈련을 받으며 대일 항전을 준비하였다. 또한 1942년 5월 중국에 있는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에 편입함에 따라 1943년 1월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가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 미주지부(美洲支部)로 개칭되면서 동년 9월 기관지 「독립(獨立)」을 창간하자,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조선민족혁명당 계열의 정치노선을 적극 후원·지지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떠도는 영혼의 노래(최봉윤, 1986) 24·47·78면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13권 52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봉윤 최봉윤(崔奉允) 평북 의주(義州) -
본문
1914년 5월 25일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옥상면(玉尙面) 내옥리(內玉里)에서 최기옥과 장옥의 4남으로 태어났다. 이명은 한자가 다른 최봉윤(崔奉允)이다. 유년기에 고령삭면(古寧朔面)의 소학교에 다녔고, 기독교에 입교하여 1930년 평양의 숭인상업학교(崇仁商業學校)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 조만식과 조명식(趙明植) 등으로부터 민족의식에 눈뜨고 계몽사상에 입각한 실력양성을 이상으로 삼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숭인상업학교 내 기독교학생청년회 종교부 소속으로 교육봉사활동과 농촌계몽에 참가하였으며, 평양 내 기독교청년회의 대표인물 중 한 명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 졸업하고 일본 도쿄(東京)로 유학하여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신학부에 입학하였다. 민족차별과 탄압과 감시, 일본사회 하층민의 빈곤을 목도하고 한국인 기독교청년단체인 일맥회(一麥會)에 가입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한편, 국제정세와 한민족의 장래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던 중 일제 전시체제하에서 훼손된 학문의 자유와 신앙의 가치에 염증을 느끼고 미국 유학을 결심하였다. 윤치호와 한경직의 재정지원으로 1938년 4월 13일 요코하마(横浜)에서 미국행 배를 타고, 4월 27일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에 도착하였다. 이후 흥사단(興士團)과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에서 한국인 교포들을 대상으로 한글 강습을 실시하였으며, 국어 교과서 편찬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동시에 로스앤젤레스 한인감리교회 청년부 소속으로 봉사활동과 동포 구제활동에도 참여하였다. 한편 일본 유학 이래로 목사로서의 장래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던 중 결국 신학 전공으로의 진로를 포기하고, 고학으로 패서디나(Pasadena) 대학과 로스앤젤레스 시티 칼리지(Los Angeles City College)에서 정치학과 사회학을 공부하였다. 독립운동 방략적 측면에서도 무장투쟁을 중시하는 쪽으로 노선을 전환하여 일제의 팽창이 한계에 봉착하여 붕괴할 때를 노려 국외의 무장조직이 국내로 진공해야 한다는 독립방략을 주장하였다. 1938년 변준호·곽림대·선우학원(鮮于學源) 등과 나성한인연합중국후원회(羅城韓人聯合中國後援會)에 참여하여 중국의 항일전쟁을 지원하였다. 나성한인연합중국후원회가 1939년 10월 18일 조선의용대후원회로 재편되자, 집행위원 등으로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를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제휴하지 않는 좌익계열 운동이라는 이유로 당시 재미한인 사회에서 냉대되고 있던 조선의용대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지지를 호소하였다. 1943년에는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기관지 󰡔독립󰡕 창간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편집을 담당하였다. 1941년 12월 7일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도발하자 대한인국민회와 함께 미국사회의 전쟁 수행에 적극 협력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가 설립한 한인국방경위대(韓人國防警衛隊)에 입대하여 캘리포니아 주방위군의 훈련을 받았고, 연방수사국(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과 육·해군 정보부의 의뢰를 받아 일본어 문서를 번역하였다. 1942년 5월부터 샌프란시스코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일본어 강사로 활동하며, 군인을 대상으로 한 특별훈련 프로그램의 일본어 강좌를 담당하였다. 이후 미군 작전에 참여할 한국어 구사 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어 강사로 활동하였으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여 한국어로 일제의 패전상황을 전하고, 한국인의 궐기를 촉구하는 연설을 하였다. 1944년 전략사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 OSS)을 중심으로 미국 내 한인들을 훈련시켜 공작원으로 파견하는 냅코(NAPKO) 작전 요원으로 선발되어 훈련받던 중,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봉윤(관리번호:981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