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4340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林培世
이명 林乙仙, 金培世, Bessie Lim, Bessie Kim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20 훈격 대통령표창
1929년 5월부터 시카고 대한부인회 사교부장, 회장, 1930년 11월부터 1932년 4월까지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서기 등으로 활동하고, 1940년 10월 대한인국민회 뉴욕지방회 회원으로 한국광복군 성립 축하식에 참여하였으며, 1941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뉴욕지방회 대표원으로 대한인국민회 6차 대표대회에 참석하고, 1930년부터 1943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6권(2021년 발간)

대한인국민회 지방회의 회장을 역임하며 미주지역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지원활동을 전개한 김경(金慶)의 부인이다. 1923년 고국을 떠나 미국으로 건너간 임배세는 1929년 5월 시카고 대한부인회 사교부장(1929), 회장(1930)을 맡았다. 1930년 11월부터 1932년 4월까지는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서기로 활동하면서, 1932년 3.1절 기념식에 참여해 성악가인 자신의 특기를 살려 합창을 했다.

1938년 8월경 시카고를 떠나 뉴욕으로 거처를 옮긴 임배세는 1940년부터 대한인국민회 뉴욕지방회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3월 뉴욕지방회가 주최한 안창호(安昌浩) 서거 3주기 기념식에 참석해 추도가를 불렀고, 10월에는 한국광복군 성립 축하식에서 광복군의 성립 과정을 낭독했다. 1941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뉴욕지방회 대표가 돼 대한인국민회 제6차 대표대회에 참석했다. 또한 1930년부터 1943년까지 독립금, 의연금 등의 명목으로 15차례 이상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고, 1932년에는 남편 김경과 함께 조선 여자 교육을 위해 3백 원을 국내에 기부했다.

정부는 2020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1929. 5. 23, 1930. 2. 3, 2. 20, 11. 20, 1931. 6. 25, 1932. 3. 10, 1940. 3. 28, 10. 31, 1941. 1. 9, 1942. 1. 1)
  • 음악학(한국음악학학회, 2018) 제35권 7~67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임배세(관리번호:96434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