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0280
성명
한자 朴鍾秀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7 훈격 애족장
1914.6.10 하와이 오아후 가할루 지방에서 창립된 국민군단에 재원을 지원하고 동군단의 병학교 대대장 및 훈련대 대대장을 역임하였으며 1920년대에는 하와이에서 상해(上海)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에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평남 평양(平壤) 사람이다.

미주 하와이에서 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의 대대장으로 활동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지원활동을 통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민족의식이 투철하던 박종수는 1910년 망국 후 조국 독립의 방도를 모색하던 중, 박용만(朴容萬)이 1914년 6월 10일 하와이 오아후 가할루 지방에서 대조선국민군단을 창설하자 이에 적극 참가하였다. 국민군단은 독립전쟁론의 방략에서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의 이상설(李相卨)이 주도한 대한광복군정부(大韓光復軍政府)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국민군단은 군단장 박용만 휘하에 군단사령부, 경리부·제복소·병학교·훈련대·별동대 등의 조직 편제를 이루었는데, 박종수는 사관학교인 병학교의 대대장과 훈련대 대대장을 역임하였다.

국민군단의 병력은 초창기 100여 명의 규모였고, 많을 때는 300여 명에 달했으며, 군사훈련을 포함하여 군사학에 관련된 광범한 교육과정을 이수케 함으로써 정예 사관을 배출하는데 힘을 쏟았다.

1917년 대조선국민군단 해체 이후 그는 3·1운동과 더불어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정부 지원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박종수는 1920년대 말 임시정부 주석 김구로부터 임시정부가 재정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지경에 처해 있다는 편지를 받고 하와이 동포들에게 이런 사실을 알리는 한편 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이렇듯 그는 하와이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임시정부 지원 활동을 펴면서 독립운동에 매진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白凡逸志(金九, 敎文社) 232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5卷 220面
  •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8卷 371面
  • 하와이(1997. 3. 11)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종수 - 평남 평양(平壤) -
본문
1858년 11월 27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미주 지역에서 대조선국민단군단·대조선독립단 한인협회·조선소년동맹단 등의 활동에 참여하며 독립운동에 힘썼다.1914년 6월 10일 하와이 오아후섬 가할루에서 박용만(朴容萬)이 대조선국민군단을 창설하였을 때 함께 참여하여 훈련병을 양성하였다. 대조선국민군단은 박용만 등이 한인 사회에 항일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독립군 부대의 지휘관을 양성할 목적으로 조직한 것이다.1919년 만세운동을 계기로 중국 상하이(上海)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이를 지원하는 활동을 하였다. 1920년 말 임시정부 경무국장 김구(金九)로부터 임시정부가 재정 부족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는 연락을 받고 하와이 동포들에게 이를 알렸다. 독립운동자금 모집하여 재정지원을 하였다.1930년 3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한인협회를 창설할 때 50인 발기인 중 한 사람으로 참가하였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협회의 취지에 찬동하고 10월 23일 임시위원을 맡아 한인 사회의 단결을 꾀하며 독립의식을 고취하였다.1931년에는 하와이의 한인 교회 목사들과 청년지도자들이 주축이 되어 조선소년동맹단(Federation of Young Korean)을 창설하였다. 당시 한인 사회는 1920~1930년대 기성 한인 세대들의 파벌싸움이 심해지자 이에 염증을 느낀 청년들이 통일운동을 추진하여 결성한 것이다. 이때 이사원을 역임하였다. 조선소년동맹단은 10월 23일 청년지도자 40명이 모여 조직한 청년운동단체이다.1934년에는 대조선독립단에서 한글과 한국 문화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하던 국어학교를 우성학교(又醒學校)로 개칭하고 관리 위원 5명과 함께 학교 운영을 맡았다. 1937년 대한인국민회와 대한동지회 간 1차 합동 운동을 추진할 당시 국민회 측의 교섭 위원으로서 활동하였다. 광복 전까지 독립을 위한 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오랜 기간 독립운동단체 활동을 통해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일에 지속적인 기여를 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하와이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종수(관리번호:960280)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