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0278
성명
한자 林成雨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7 훈격 독립장
1914.6월 하와이에서 박용만(朴容萬)이 설립한 국민군단(國民軍團)에 훈련대소대 참위로 활동하였고, 1925.4월에는 하와이에서 조직된 조미구락부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이후 상해(上海)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를 후원하는 등 해방시까지 독립금을 지원하는 한편, 1935.1월에 하와이 대한인(大韓人) 국민회(國民會) 총회장(總會長), 1938년 혈성금 재무, 1940.5.9 대한독립당(大韓獨立黨) 하와이 지부 집행위원장, 1941.4.20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하와이 지부대표로 참석,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의 의사부 위원으로 참석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서울 사람이다.

임성우는 1914년 6월 미국 하와이에서 박용만(朴容萬)이 설립한 국민군단(國民軍團)의 훈련대 소대 참위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그는 오운(吳雲)·최선주(崔善宙)·이보국(李輔國) 등과 함께 1925년 4월 하와이에서 제1세 동포와 미주에서 출생한 제2세 동포간의 상업과 사교를 장려하기 위한 조미구락부(朝美俱樂部)를 조직하였다.

미주지역의 독립운동은 지역 특성상 교민사회의 자치 및 단합을 도모하는 한편 독립운동 자금을 수합하여 중국에서 활동하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 단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미국 정부와 국제기구에 대한 독립외교활동도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지역 여건 속에서 1930년 하와이 사회풍파의 시비가 각 방면에 파급되어 임시정부에 대한 재정 후원이 미약하였지만, 임성우는 와이아와 지역의 동지들과 파쟁에 중립을 유지하며 계속해서 임시정부를 지원하였다. 1931년 9월 김구가 계획하고 있던 특무공작에 찬성하고 같은 해 11월 15일에 1천 달러를 송금하였다. 그런데 이 독립자금은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 등의 거사비용으로 쓰여졌다. 그후 1932년 2월 이러한 그들의 비밀결사가 알려지면서 애국단(愛國團)이 조직되었는데, 임성우는 초대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5년 1월에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총회장에 선임되어 분열된 한인사회의 재결속을 위해 힘을 쏟았다.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는 1909년 공립협회(共立協會)와 합성협회(合成協會)가 발전적으로 통합한 국민회(國民會)가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를 흡수 통합함으로써 탄생한 미주 한인사회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였다. 대한인국민회는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중앙총회 아래 북미·하와이·멕시코·시베리아·만주 등지에 지방 총회를 설치하였으며, 다시 지방총회 아래 116개의 지방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그는 이어 1938년 혈성금(血誠金) 재무, 1940년 5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하와이 지부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런데 한국독립당 하와이 지부는 애국단의 후신이다. 애국단이 중국지역의 광복전선통일운동에 참가하여 한국독립당을 결성한데 따라 하와이에 지부가 만들어졌다. 그는 하와이 한국독립당지부를 이끌어 가며, 임시정부의 특무공작과 한국광복군 편성에 경제적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그는 1941년 4월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에 한국독립당 하와이 지부대표로 참석, 미주지역 독립운동단체가 연합하여 조직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의 의사부(議事部) 위원으로 선임되어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671·672面
  • 白凡逸志(金九, 敎文社) 232面
  • 國民報(1937. 11. 17, 1938. 6. 8, 12. 14, 1942. 3. 25, 7. 15, 7. 29, 8. 26, 11. 5, 1943 5. 5, 8. 3, 1944. 1. 19, 3. 8, 4. 6, 6. 14, 7. 5, 9. 13, 1945. 1. 14, 11. 14)
  • 하와이(1997. 3. 11)
  • 在美韓人50年史(金元容, 1959) 175·215·216·219·292·347·410∼412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8輯 706·710·731·734·772·803·834·835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임성우 영문명 Lim Sung Woo 서울 이봉창 의거
본문
1889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가계 등은 알려진 바 없다. 부인 이름은 임금이고, 장남 종건은 미국에서 공학을 공부하던 중 미군에 입대하여 1950년 11월 일본을 거쳐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행방불명되었다. 차녀 복순(미국명 엘라)은 1937년 화장계 별과를 다녔고, 1938년 8월 이태수의 장남 희영과 결혼하였다. 4녀 복선은 1937년 릴리후아중학을 졸업하였다.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에서 함께 활동한 권도인의 아들 권영철이 사위이다. 『신한민보』에 따르면, 와히아와지방에서 양복점을 하면서 교회와 사회를 후원하는 등 신망과 신용이 두텁고 군인처럼 일을 그대로 실행하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1930년대 하와이에서 여관업 등으로 성공한 실업가이다. 1909년 4월 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부네네3번 지방회의 구제원으로 활동하였다. 1914년 6월 박용만이 오하우섬 카할루우 아후이마누농장에서 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을 설립하자, 훈련대 소대 참위로 활동하였다. 1921년 1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에 의연금을 후원하였고, 5월에는 경남 동래군의 임종섭(林鍾爕)에게 편지를 보내 독립군과 의연금 모집 활동을 권유하였다. 1925년 4월 하와이 오아후 와히아와에서 오운(吳雲)·송승운 등과 하와이 이민 1세와 미주에서 출생한 2세 한인 간의 상업과 사교를 장려할 목적으로 조미구락부(朝美俱樂部)를 조직하였다. 1931년 3월 8일 와히아와공동회 이사 7인 중 1인으로 선정되었고, 1930년부터 시작한 독립저축금을 지속키로 의결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김구(金九)로부터 독립운동자금 지원 요청을 받고 11월 15일 1천 달러를 송금하였다. 이 자금은 이봉창(李奉昌) 의거 준비자금으로 사용되었다. 1932년 2월 14일 김경옥(金敬玉)ㆍ현도명(玄道明)ㆍ김태정(金泰正) 등과 한인애국단을 지원하기 위해 하와이애국단(愛國團)을 창립하여 재정을 후원하였다. 1932년 4월 윤봉길 의거가 일어나자, 5월 22일 와히아와지방의 한인 40여 명과 와히아와 임시정부후원회를 조직하고 이사원으로 선임되었다. 1934년 10월 국민회 와히아와지방회를 조직하고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35년 1월 10일 국민회 총회장으로 선출되어 하와이 한인사회의 통합과 국민회 부흥에 앞장섰다. 조병요(趙炳堯)·안원규(安元奎)와 함께 1930년대 하와이 국민회 ‘부흥인물’ 중 1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부채에 시달리던 국민총회관 보존을 위한 재정기반 마련과 함께 이민 1세 노인들을 위해 호상부제도를 실시하였다. 1936년 1월 총회장에서 물러난 뒤 재무에 당선되었고, 2월에는 소관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2월과 1937년 연속하여 국민회 재무로 선임되어 의무금·인구세·구제금·국민기금 등을 모집하였다. 중일전쟁 직후인 1937년 8월 27일 국민회가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한 군사운동 후원을 목적으로 조직한 찬무회 재무부원이 되었다. 1938년 2월 국민회 와히아와지방회 서기로 선임되었고, 같은 해 5월 국민회 회의에 비공식 지방대표로 참석하여 그가 추진해왔던 호상제도를 확대하는 안건을 통과시키고 호상부원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 6월 하와이애국단 단장 자격으로 카우아이 대한인단합회와 통합하여 대한국민당을 결성하였다. 같은 해 7월 말경 하와이국민총회관 건축위원으로 선정되자, 기본금 5백 원 이상 기부를 약속한 사람들로 위원부를 조직한 뒤 서기로 선임되었다.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한국독립당이 설립되자, 그해 5월 9일 하와이애국단을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로 개편 활동하였다. 1941년 4월 호놀룰루에서 개최된 해외한족대회에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대표로 참석하여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설립하였다. 1942년 1월 국민회 와히아와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었으며, 3월에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와이파후·카후쿠지방 독립금 예약수봉위원이 되었다. 1943년 3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집행위원장으로 한국독립당 중경특파원 경비를 후원하였고, 4월에는 미국전시공채를 매입하였다. 1944년 4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당장(黨長)으로 활동하면서, 5월에는 한국독립당 호놀룰루지부 창립발기회에 참석하여 창립청원서를 승인하였다. 6월에는 한국독립당 와히아와지부에서 활동하였고, 8월에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고문으로 선임되었다. 그해 10월에는 충칭 한국독립당의 조소앙에게 편지를 보내, 이승만이 동지회를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탈퇴시킨 일과 자칭 대통령으로 선전하는 데 대해 비판하였다. 1945년 1월 국민회 대의회에서 와히아와·와이파후지방 참의원으로 선임되었고, 2월에는 조미구락부 총재로도 활동하였다. 같은 해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세계평화안전보장국제대회에 파견할 연합대표단이 구성되자, 오아후 와히아와 한인들과 서부지방 민중연합대회를 개최하고 후원금을 모집하였다. 6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고문부 위원장에 선임되었고, 7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표 파견을 제안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하와이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임성우(관리번호:960278)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