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60277
성명
한자 林千澤
이명 林天澤, Ernesto Lim, Ernesto Lim Yu, 덕암(號)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1997 훈격 애국장

관련정보


2024년 10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22년경 쿠바로 이민온 이래 쿠바 지방회에서 서기로 시작하여 53년까지 회장ㆍ고문 등을 역임하였고 1925년부터 1952년까지 쿠바의 민성국어학교에서 교사 및 교장으로, 또 청년학원(靑年學院) 원장 및 교사로서 한국동포들의 국어교육에 힘썼으며 1938년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맛탄사스지부 고문, 1941.4.20 하와이 해외한족대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미주지방 의원, 1938~1942년 쿠바의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총무ㆍ고문, 1943년 재큐한족단 맛탄사스지방회 대표로 각각 활동하고 또한 1920년대말 이후 1944년 사이에 여러차례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김구(金九)선생에게 군자금을 지원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4권(2000년 발간)

경기도 광주(廣州) 사람이다.

1920년대 이래 쿠바지역 한인사회의 지도자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1922년 쿠바로 이민와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쿠바지방회의 서기로 활동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중앙총회 아래 북미·하와이·멕시코·시베리아·만주 등지에 지방 총회를 설치하였으며, 다시 지방총회 아래 116개의 지방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그는 쿠바지방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1953년까지 동회의 총무·회장·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한편 그는 쿠바지역 한인동포들의 민족교육을 위하여 1925년 민성국어학교를 세우고 1952년까지 교사 및 교장으로 활약하였다. 또한 청년학원(靑年學院)을 세워 한인 청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앞장섰다.

1920년대 말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로부터 정부가 재정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지경에 처하였다는 편지를 받고 쿠바 동포들에게 이런 사실을 알리는 한편 자금모집에 힘을 쏟았다. 그리하여 1920년대 말 이후 광복시까지 여러차례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지원하였다.

1938년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맛탄사스지부 고문을 지냈으며, 1941년 4월 하와이 해외한족대회에서 결성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의 미주지방 의원을 지내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그는 1943년 재큐한족단 맛탄사스지방회 대표로 동포의 권익보호 및 2세 교육, 청년지도자 양성 등을 위해 힘을 기울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在美韓人50年史(金元容, 1959) 412面
  • 月刊中央(1994. 11月號) 679∼710面
  • 日帝侵略下韓國36年史(國史編纂委員會) 第12卷 672面
  • 白凡逸志(金九, 敎文社) 232面
  • 큐바이민사(태평양주보사, 1954. 2月)
  • 시사저널(1994. 6. 9) 68∼71面
  • 獨立運動史資料集(國家報勳處) 第8輯 835面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임천택 호 : 덕암, 이명 : 林天澤, Emesto Lim, Emesto Lim Yu 경기 광주 -
본문
1903년 4월 16일((음) 3월 19일)에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에서 태어났다. 호는 덕암이다. 이명은 Emesto Lim과 Emesto Lim Yu이며, 한자가 다른 임천택(林天澤)을 쓰기도 하였다. 2살이 되던 1905년 홀어머니와 멕시코로 이민가서, 1921년 3월 쿠바로 이주하였다. 1922년 7월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Matanzas) 서기로 선출되었고, 1924년평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25년 9월 8일 유카탄(Yucatan) 출생인 9살 연하의 김귀희와 혼인하여 5남 4녀를 두었다. 1925년부터 1927년 사이 마탄사스의 민성국어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1926년 8월부터 마탄사스지방회 임시서기, 1927년 총무, 서기 겸 실업부원으로 활동하였다. 1926년부터 국내와 교류하면서 쿠바로 보내온 서적·신문·잡지를 돌려 보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썼다. 국내의 󰡔별나라󰡕·󰡔별건곤󰡕·󰡔삼천리󰡕 등 잡지 및 󰡔조선일보󰡕 등에 쿠바 동포의 소식을 알리기도 하였다. 1927년 대한인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의 통신사무를 맡았고, 1934년부터는 정식 통신원이 되어 7백 회 이상 통신을 게재하였다. 1931년부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교류하면서 쿠바 한인들의 소식을 전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는 활동도 수행하였다. 󰡔백범일지󰡕에서는 “멕시코에선 김기창과 이종오, 쿠바에서는 임천택 등 제씨가 임시정부를 후원하고”라고 언급하였다. 1929년 카르데나스(Cardenas)로 이주하여 1930~1931년 카르데나스 지방회장, 1932년 학무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 진성학교 교장으로 자녀들을 위한 민족교육에도 힘썼다. 1932년 1월 19일 마탄사스로 이주하여 1933년 마탄사스지방회 서기 겸 총무가 되었다. 민성국어학교 교장으로 3년간 재직하면서 1932년 청년학원을 창립하는 한편, 그해 3월 10일 이래 청년학원 원장 겸 교사로도 활동하였다. 청년학원은 야학으로 독서·동화구연·토론·강연회를 통해 민족혼과 애국심이 투철한 인재 양성이 목적이었다. 원장 겸 교사로 헌신하다가 신경쇠약증으로 휴원하였다. 1937~1939년 마탄사스지방회 총무를 역임하면서 청년부 강사로 국어교육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1938년 7월 10일 대한여자애국단 지부가 마탄사스에서 설립되자, 로스앤젤레스의 대한인국민회 본부와 함께 대한여자애국단 마탄사스지부(단장 현미숙)를 조직해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광복군 후원금 모금 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1941년 12월 28일 쿠바의 대한인국민회 3개 지방대표회 11인이 재큐한족연합외교회’를 결성하는 데 참석하였다. 1943년 4월에는 아바나(Havana) 등 3곳의 대한인국민회를 통합한 재큐한족단(在古韓族團) 창립에 앞장섰다. 재큐한족단은 임시정부 후원, 국민회 옹호, 재쿠바 동포 안녕보장, 한국독립 승인 선전공작, 독립후원금 모집 등을 표방하였다. 1943년 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고문, 1944년 재무, 1946년 재무 겸 총무, 1947년 총무로 집행위원장을 겸임하였다. 그리고 1948년부터 1953년까지 6년간 집행위원장 겸 서기로 활동하였다. 1952년 4월 1일부터 마탄사스와 카르데나스지방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였으며, 1954년 󰡔큐바한인 이민력사󰡕를 태평양주보사에서 출판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묘소명 소재지
국립묘지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바로가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임천택(관리번호:96027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