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5759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權永福
이명 朴永福, 姜永福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18년 미국(美國) 캘리포니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새크라멘토지방회(地方會) 회원, 1919년 새크라멘토한인부인회(韓人婦人會) 대표로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을 조직하고, 1934년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로스앤젤레스지부(支部) 단장(團長), 1937년 동단(同團) 동 지부(同支部) 중국항일전쟁 후원 수전위원(收錢委員) 등으로 활동함.

1918년부터 1937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15년부터 1937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새크라멘토지방회(朔都地方會), 새크라멘토한인부인회,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로스앤젤레스지부(羅城支部)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15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한인국민회 새크라멘토지방회 국치기념식(國恥紀念式)에 참여하였고, 1917년 한인부인회(韓人婦人會), 1918년 3월 3일 새크라멘토지방회에 가입하였다.

1919년 8월 2일 다뉴바에서 각 부인회 대표자들이 모여 합동발기대회를 개최하자 새크라멘토 한인부인회 대표로 참석하여 합동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대한여자애국단을 조직하였다.

이후 대한여자애국단 새크라멘토지부에서 활동하며 1921년과 1930년 3ㆍ1절기념식에서 순국선열 추도, 학생운동 후원 등을 역설하였고, 1924년 8월 대한여자애국단 창립기념식에서 여자애국단의 역사를 강연하였다.

1934년 대한여자애국단 로스앤젤레스지부에서 부단장ㆍ단장, 1935년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7년 중국항일전쟁 후원 수전위원(收錢委員)으로 활동하면서 1918년부터 1937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15. 9. 16, 1918. 3. 14, 1919. 2. 13, 7. 26, 10. 11, 1921. 3. 24, 1924. 8. 15, 1930. 3. 6, 1934. 1. 18, 2. 8, 3. 22, 8. 16, 8. 23, 12. 13, 12. 20, 1936. 1. 2, 1937. 7. 1, 9. 16, 10. 14)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제8집 739면, 제14집 427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3권 32, 48, 337, 371, 386면, 제7권 504면
  • 在美韓人五十年史(金元容, 1959) 228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권영복 - - -
본문
1878년 2월 28일 태어났다. 자료의 한계로 출생지와 성장 배경 등은 알 수 없다. 1915년 미주 최대 한인 단체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새크라멘토(Sacramento, 朔都)지방회에서 개최한 국치 기념식에 참석하여 항일 정신을 고취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1910년 2월 10일 국민회(國民會)와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가 통합한 미주 최대의 한인 단체다. 1918년 3월 이경애·김석은과 함께 새크라멘토지방회 여성 회원이 되었다. 미주 지역에서는 국내 3·1운동에 여성들이 다수 참여하였다는 소식에 자극 받아 1919년 5월 18일 새크라멘토지방 한인부인회 회장 양제현과 다뉴바(Dinuba)지방 신한부인회 회장 강원신 등이 중심이 되어 미주 각 지방에 설립된 여러 부인회를 통일하여 독립운동을 후원하자는 통고문이 발표되었다. 1919년 8월 2일 김자혜 등과 함께 새크라멘토지방 한인부인회 대표로 참가하여 다뉴바(Dinuba)지방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 대표 한성선·이은기,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羅城)지방 부인친애회 대표 임메블·박순애·안혜련,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桑港)지방 한국부인회 대표 전그레이스·박애나·최유실, 윌로우스(Willows)지방 대표 임광명 등과 함께 대한인여자애국단(大韓人女子愛國團)을 설립하였다. 1921년 3월 새크라멘토지방회에서 주최한 3·1운동 기념식에 참석하여 김재신과 함께 ‘국민합심가’라는 제목의 노래를 부르며, 한인들의 독립 정신 강화에 노력하였다. 1924년 8월 대한인여자애국단 창립기념식에서 창단 역사를 진술하며, 여성들이 독립운동 참여를 독려하였다. 1930년 3월 3·1운동 기념식에서는 광주학생항일운동의 후원을 역설하였다. 1934년 3월 대한인여자애국단 로스앤젤레스지부에서 단장 윤도연, 서기 임인재, 재무원 박정경, 사교원 강봉순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8월 로스앤젤레스지부 단장이 되어 그 지방의 한인 여성들을 지도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5년에도 로스앤젤레스지부에서 현신성과 함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6년 대한인여자애국단 총단 임원 선거에 참여하였다. 1937년 8월 27일 로스앤젤레스 흥사단에서 개최된 로스앤젤레스지부 특별회 참석하여 중국 항일 전쟁 동정금 수합을 결의하였다. 이때 이성례·정해경·이마리아 등과 함께 수전위원으로 선정되어 자금 수합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행적은 확인할 수 없지만 1918년 11월 24일부터 1937년 7월 1일까지 독립의연금 명목으로 16원, 1918년 12월 30일과 1919년 2월 13일에 특별의연금 명목으로 10원, 1919년 5월 13일 3·1운동 기념금 7원 50전, 1919년 7월 26일과 10월 11일에 대한인여자애국단원금 11원, 1937년 10월 14일 중국 항일전쟁 의연금 5원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권영복(관리번호:95575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