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536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鄭鳳觀
이명 Bong Kwan Chung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4 훈격 건국포장
1908년 공립협회(共立協會) 상항지방회(桑港地方會) 회원, 1915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이하, 국민회로 약칭) 나성지방회(羅城地方會)가 주최한 국치일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1925년 임시정부 후원회 사무원으로 기관지인 ‘단산시보’를 간행작업에 참여했으며, 1937년 2월 하와이 국민회(國民會)(이하, 국민회로 약칭) 역사편찬 사료수집 위원, 동년 3월 국민회(國民會) 참의장, 8월 국민회(國民會)동지회(同志會) 통합을 위한 국민회 측(國民會側) 교섭위원, 9월 찬무회(贊務會) 기밀부원‧간사‧세칙 기초위원, 국민회(國民會) 교섭위원장, 1938년 6월 국민회(國民會) 호상부 재무, 1939년 2월경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 이사원, 1942년 12월 국민회(國民會) 한미공채위원, 1944년 2월 하와이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 감찰위원, 1944년 6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재정회계, 8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호항지부 서기, 1945년 6월 동당 호항 평의원, 7월 동 지당(支黨) 당장에 선임되어 활동하고, 1915~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08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하와이에서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 등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08년 공립협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 회원, 1912년 대한인국민회 샌프란시스코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15년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羅城地方會)에서 주최한 국치일 기념식에서 연설하였다.

1925년 임시정부 후원회 사무원으로 기관지 『단산시보(檀山時報)』 간행에 참여하였다. 1937년 하와이국민회 역사편찬 사료수집 위원, 하와이국민회 참의장, 국민회와 동지회(同志會)의 통합을 위한 국민회 측 교섭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찬무회(贊務會) 기밀부 부원으로 하와이 한인 규합과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한 군사운동을 후원하였다.

1938년 코할라ㆍ힐로 참의원, 1939년 동맹단 이사원, 1942년 국민회 한미공채위원, 1944년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지부 감찰위원,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 창립 발기회 준비위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재정회계,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 창립회의 임시서기, 하와이지부 평의부 서기, 1945년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 평의원 및 당장(黨長)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4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共立新報(1908. 12. 9)
  • 新韓民報(1915. 9. 16, 1925. 6. 11, 1939. 2. 16)
  • 國民報(1937. 2. 10, 3. 3, 3. 24, 8. 25, 9. 1, 9. 8, 9. 15, 9. 22, 10. 20, 10. 27, 12. 15, 1938. 3. 16, 6. 1, 1942. 12. 9, 12. 30, 1943. 3. 17, 7. 14, 8. 4, 1944. 5. 24, 5. 31, 6. 14, 8. 2, 8. 30, 9. 13, 9. 27, 1945. 3. 14, 5. 30, 6. 13, 7. 25)
  • 獨立(1944. 2. 3)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5) 제2권 323면, 제9권 84면, 제17권 169면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고정휴, 2009) 제54권 135, 141~144, 282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정봉관 영어명 : Pongkwan Chung, Bongkwan Chung - -
본문
자료 부족으로 출생 시기 및 출신 지역 등은 알 수 없다. 2남 1녀를 두었으나 1명은 사망하였다. 영어 이름은 Pongkwan Chung과 Bongkwan Chung을 썼다. 하와이국민회·국민회·중한민중동맹·조선민족혁명당·재미한족연합위원회·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에서 활동하면서 미주지역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 9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소학교 8년생으로 재학하였고, 1910년 2월 호놀룰루 밀슨학교에 다녔다. 9월에는 호놀룰루 마노아벨리 중앙태평양학원 중학과에 재학하였다. 1913년 9월 호놀룰루에서 한인학생동맹회가 조직되자, 양유찬·김일만·차신호 등과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8월 당시 하와이 호놀룰루우체국 직원으로 한국인 통역을 담당하였다. 9월 15일 하와이 호놀룰루 만국여자청년회관에서 강영소(姜永韶)·황사용(黃思溶) 등 20여 명과 금요강의회(金曜講義會)를 조직하고 서기로 활동하였다. 1923년 10월 27일 하와이 미이미교회에서 40여 명의 에워드청년회 회원들과 체임회(遞任會)를 개최하고 학문국장으로 선임되었다. 1924년 10월 하와이 엡웻청년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선출되어 청년회 발전책을 논의하였다. 11월 호놀룰루에서 한인들의 실업과 생산 장려를 위해 문또라·김찬제 등과 공제사를 조직하고 총무로 선임되었다. 1925년 6월 하와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후원회를 조직한 뒤 현순(玄楯)·강영각(姜泳珏)·임준호 등과 이사부로 선임되었으며, 임시정부후원회 기관지인 속쇄판 『단산시보(檀山時報)』 간행에 참여하였다. 1937년 2월 하와이국민회에서 정두옥(鄭斗玉)·박상하(朴相夏)·민찬호(閔燦鎬) 등과 국민회의 역사 편찬을 위한 사료수집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월 28일 하와이 국민회 참의장으로 선임되었다. 8월 21일 국민회 총임원회에서 김원용(金元容)·박상하·이정건·유동면과 국민회와 동지회의 통합 교섭을 위한 국민회측 교섭위원에 선임되었다. 같은 달 27일 하와이 국민회가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군사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찬무회(贊務會)를 조직하고 찬무회 산하에 재무부·선전부·기밀부를 설치하자, 박상하·김진호·김현구(金鉉九)와 기밀부 부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9월 초순 하와이 국민회 기관지 『국민보(國民報)』에 독립운동 지도자의 역할을 당부하는 「천재일시 기회에 임하여 인도자 제위에게」라는 글을 발표하였다. 9월 22일에는 찬무부 간사로서 『국민보』에 「한마디 말」이란 글을 실었다. 같은 달 26일 하와이 국민회 총회에서 사회를 맡아 중일전쟁 소식, 임시정부의 특전(特電) 보고, 임시정부 휘하 각지 군사운동 지부에 대한 기밀통신 등에 관해 보고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하였다. 10월 14일 권도인·정인수·한길수·김원용과 동지회와의 합동을 위한 교섭위원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교섭위원장으로 뽑혔다. 22일 참의장으로 총회장 조병요(趙炳堯)와 대의장(代議長) 안원규(安元奎) 3인의 명의로 국민회 각 지방회에 국민회와 동지회의 합동에 대한 여론 조사를 요청하였다. 12월 15일 국민회 임시대의회에서 코할라·힐로 지방 참의원에 선임되었다. 1938년 3월 12일 국민회 총임원회에서 한인 1세의 노후를 위해 호상제도 확장을 의결하고 호상제도 연구와 세칙 제정을 위한 임시위원에 뽑혔다. 9월 국민회와 동지회의 합동수속진행위원회를 구성하였고, 11월 국민회 임시대의회에 참석하여 국민회와 동지회의 합동을 만장일치로 의결하였다. 같은 달 18일 국민회와 동지회의 연합의회에 참석하여 카우아이의 단합회(團合會), 박용만(朴容萬) 계열의 대조선독립단(大朝鮮獨立團)도 합동할 것을 의결하였다. 12월 하와이에서 한길수(韓吉洙)의 외교운동과 순회강연 후원을 위해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을 발기한 데 이어, 1939년 2월 중한민중동맹을 조직하고 이사원에 선출되었다. 1940년 5월 하와이한인기근구제회를 조직하고 이사부원이 되었다. 1942년 12월 6일 미 감리교 목사 아펜젤러 박사의 자택에서 한미공채위원회를 조직하자, 국민회 한미공채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43년 7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개최한 호놀룰루 국방후원금 특연 모임에 참석하여 100달러를 후원하였다. 이어서 7월 25일 한미승전후원금 모집위원이 되어 미국의 전쟁비용을 후원하였다. 1944년 1월 천진화·양흥엽과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 감찰위원부 위원으로 선정되었다. 5월 21일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 창립발기회에서 창립준비위원으로 선정되었다. 6월 『국민보』에 「중대시기」란 글을 발표하였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재정회계를 맡았다. 7월 30일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창립식에서 서기로 선정되었고, 같은 날 국민회 총임원회에서 한인민정회 파송 대표로 선정되었다. 10월 19일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임시대회에서 평의부 서기로 선출되었다. 1945년 6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평의부 서기로 선출되었고, 7월에는 호놀룰루지당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15년부터 1945년까지 의무금으로 20달러 50센트, 혈성금으로 10달러, 한·미국방공채로 1,350달러, 국방후원금으로 100달러, 한미승전후원금으로 10달러, 군사금으로 100달러, 독립금으로 46달러, 군인총회비로 10달러 등 독립운동자금을 후원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4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정봉관(관리번호:95536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