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1권(2014년 발간)
미주 민족운동단체인 공립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09년부터 사망시 까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 중앙총회 대의회 의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민회를 최고의 민족운동기관으로 이끄는 활동을 하였다.
1905년 5월 29일 아들 강영소(후일 대한인국민회 총회장 역임)와 함께 차이나호로 하와이에 도착하여 에와농장에서 일하였다. 같은 해 가을경 미 본토로 건너온 뒤, 1905년 10월 7일 공립협회(共立協會)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에 가입하였다. 1908~1909년 공립협회 총회 서기로 활동하는 한편, 1909년 1월 북미 공립협회와 하와이 합성협회(合成協會)가 합동 발기하여 국민회(國民會)로 통합을 의결하자, 최정익(崔正益)·이대위(李大爲) 등과 함께 공립협회를 대표하여 국민회 규칙기초위원으로 선정되어 국민회 회칙을 만드는데 공헌하였다.
1909년 2월 국민회가 창립되자, 공립협회는 북미지방총회로, 합성협회는 하와이지방총회로 개편되었다. 이에 따라 강명화 역시 북미지방총회 서기로 임무를 수행하였다. 191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지방총회 부회장과 대의회 의장, 1912년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에 선임된 그는 대한인국민회를 해외한인의 최고기관으로 자리잡게 하는 한편, 시베리아지방총회, 만주지방총회, 수청지방총회를 비롯하여 멕시코지방회까지 건설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벌이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2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제8집 498, 684면
- 新韓民報(1909. 6. 2, 6. 30, 7. 14, 1910. 11. 2, 1911. 11. 1, 12. 11, 12. 18, 1912. 1. 1, 1. 15, 3. 18, 6.24, 1913. 7. 25, 1914. 4. 16, 1916. 9. 14, 1917. 3. 1, 1919. 4. 5, 6. 21, 1926. 11. 18, 1931. 10. 1, 1936. 1. 30, 1944. 7. 6)
- 共立新報(1907. 4. 26, 1908. 11. 18, 1909. 1. 13)
- 도산안창호전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제5권 726면
- 미주이민100년(민병용, 1986) 43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권 70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4권 142~144, 150, 166, 183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0권 133, 374, 444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8권 175~177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20권 128면
- university of hawaii, 2001) 44면
- korean passengers arriving at honolulu, 1903-1905(duk hee lee murabayashi, center for korean stud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