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731
성명
한자 任正九
이명 Chung Koo Yim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3 훈격 애국장
1906년 공립협회(共立協會) 로스엔젤레스지방회 경찰, 191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클래몬트지방회 대의원, 1916년 리버사이드지방회 대의원, 191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총무‧회장, 1919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총회(北美總會) 부회장으로서 총회장 대리를 역임하였고, 1920년∼192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대의원, 1931∼1933년 미주한인연합회 선전부장, 1934년과 1936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부회장, 1937년∼1938년 동회(同會)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07년부터 1939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독립자금을 제공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1권(2014년 발간)

미주 민족운동단체인 공립협회에 가입하여 1906년 로스엔젤레스지방회 경찰, 1911년 대한인국민회 클래몬트지방회 대의원, 1916년 리버사이드지방회 대의원, 191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총무·회장, 1919년 북미지방총회 부회장 겸 총회장대리, 1920~192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대의원, 1931~1933년 미주한인연합회 선전부장, 1934, 1936년 대한인국민회 부회장, 1937~1938년 국민회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07년부터 1939년까지 독립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1905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安昌浩) 등이 조직한 공립협회(共立協會)에 가입하여 1906년 11월 로스엔젤레스지방회(羅城地方會) 경찰로 선임되었으며, 1907년 4월 임준기(林俊基), 정원도(鄭源道)와 함께 학생회를 조직하였고, 1908년 8월 클래몬트에 학생양성소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10월 학생으로 입학하기도 하였다.

1909년 공립협회가 국민회(國民會) 북미지방총회로 재편된 후에도 클래몬트 학생양성소 재무로 활동하였고, 1910년 4월에는 업랜드지방회(上原地方會)를 조직하고 평의원으로 선임되었다.

1911년 업랜드지방회 대의원, 1912년 클래몬트지방회 평의원, 학무원, 1916년 리버사이드지방회(河邊地方會) 대의원, 북미지방총회 실업부원, 1917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 대의원, 북미지방총회 학무원, 191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회장, 총무, 북미지방총회 부회장, 학무원, 버클리학생양성소 설립위원, 1919년 북미지방총회 부회장 겸 총회장 대리, 1920~1928년 샌프란시스코지방회 대의원, 1931~1933년 미주한인연합회 선전부장, 1934년과 1936년 대한인국민회

부회장, 1937~1938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07년부터 1939년까지 지속적으로 국민의무금, 독립의연금 등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3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09. 4. 7, 4. 28, 6. 2, 6. 9, 6. 16, 9. 1, 10. 13, 10. 20, 1910. 6. 22, 1911. 10. 4, 1912. 1. 1, 3. 18, 1916. 2. 8, 4. 6, 5. 11, 7. 27, 9. 28, 10. 5, 11. 2, 1917. 2. 15, 3. 1, 8. 16, 8. 23, 8. 30, 9. 6, 12. 20, 1918. 1. 10, 1. 17, 1. 24, 1. 31, 2. 7, 3. 28, 4. 4, 5. 16, 8. 15, 9. 5, 9. 12, 10. 10, 10. 24, 11. 7, 12. 19, 1919. 1. 9, 1. 16, 3. 25, 4. 5, 4. 12, 4. 24, 5. 1, 5. 6, 5. 10, 5. 22, 7. 1, 7. 19, 8. 12, 8. 16, 8. 23, 8. 26, 8. 30, 9. 25, 9. 30, 10. 7, 10. 9, 10. 16, 10. 18, 11. 22, 11. 25, 12. 2, 1920. 3. 16, 10. 14, 1921. 1. 27, 3. 3, 5. 16, 6. 9, 8. 25, 1922. 3. 2, 1924. 3. 6, 3. 20, 12. 25, 1925. 3. 12, 1926. 12. 25, 1927. 3. 3, 7. 28, 1928. 3. 8, 9. 6, 12. 6, 1929. 1. 17, 1. 24, 2. 7, 5. 23, 6. 13, 9. 5, 11. 14, 11. 21, 1930. 1. 2, 1. 9, 1. 16, 2. 20, 3. 6, 3. 13, 11. 13, 11. 27, 1931. 1. 8, 1. 15, 1. 22, 2. 5, 2. 12, 3. 5, 10. 15, 11. 26, 12. 3, 12. 17, 12. 24, 12. 31, 1932. 1. 7, 1. 14, 1. 21, 4. 7, 11. 17, 12. 1, 12. 8, 12. 29, 1933. 1. 5, 1. 19, 2. 23, 3. 9, 4. 20, 5. 25, 11. 9, 11. 16, 1934. 1. 11, 1. 18, 2. 1, 10. 4, 11. 8, 11. 15, 1935. 1. 10, 2. 7, 3. 7, 3. 14, 3. 28, 5. 23, 10. 17, 11. 21, 11. 28, 12. 12, 1936. 1. 2, 1. 9, 1. 30, 2. 6, 3. 15, 3. 19, 5. 21, 5. 28, 6. 4, 6. 11, 7. 9, 12. 3, 1937. 1. 14, 2. 4, 3. 4, 4. 8, 7. 1, 7. 15, 7. 22, 7. 29, 9. 9, 11. 4, 12. 9, 1938. 2. 3, 3. 17, 3. 31, 4. 21, 5. 5, 5. 12, 9. 1, 9. 8, 9. 15, 9. 29, 12. 8, 1939. 1. 12, 3. 9, 4. 13, 5. 11, 9. 14, 1940. 1. 11)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제8집 627~628 684면
  •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국가보훈처, 2008) 제30권-미주편(9) 장인환·전명운의 샌프란시스코자료집 378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4권 147, 150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9권 39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0권 34, 49, 463, 464, 467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1권 280~282, 458, 460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2권 3, 5, 7, 8, 72, 125, 163, 165~ 171, 176~214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4권 47~52, 91, 94, 106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5권 124, 247~265, 294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6권 7~18, 19~56, 70~83, 93~96, 116~176, 191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17권 539~547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학회, 2005) 제20권 197, 198~203, 246면
  • 韓民(1937. 3. 1) 제12호
  • 共立新報(1906. 10. 7, 11. 22, 1907. 4. 26, 1908. 8. 26, 10. 7)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임정구 - 평남 강서(江西) -
본문
1886년 [음] 10월 25일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 강서읍에서 임성도(任聖道)와 채성덕(蔡聖德)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1900년 전후 평양에서 노블(William Arthur Noble)을 통해 기독교에 입교하였고, 1905년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공립협회(共立協會) 로스앤젤레스지방회에 가입하여 경찰·학생회 조직의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08년에는 공립협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 동지들과 클레몬트에 한인학생양성소를 개설 후원하였다. 1910년 국민회 업랜드지방회의 창립을 주도하고 평의원과 대의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1911년 12월 클레몬트지방회 평의원, 1912~13년 학무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북미지방총회의 대의원 후보자로 선정되었다. 1914년 포모나컬리지에서 U. C. 버클리로 전학하였으며,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 전도사로 활동하였다. 1917년 대한인국민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 대의원과 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18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학무원과 부회장, 1919년 북미지방총회 대의원회 의장, 총회 총회장 대리 등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1919년에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등의 소식을 전파하여 한인들의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고, 중국인의 후원을 얻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 대한인국민회가 하와이 대한인교민단·북미대한인국민회 등으로 분열되자 북미대한인국민회 지방회와 총회에서 활동하였다. 1922년부터 1928년까지 샌프란시스코지방회 회장 등으로 3·1절 기념식에서 축사와 강연 등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28년 12월 오클랜드에서 김은해·김계홍·오근원·조성학·문원칠 등과 대한인국민회 오클랜드지방회를 조직하였다. 1929년부터 1933년까지 오클랜드지방회 대의원으로 북미대한인국민회 대의원회에 참석하여 북미대한인국민회의 미주한인연합회 참여, ‘대일전선통일 성립대표대회’에 대한 동정 표시, 독립운동가 가족 원호 활동 등의 결정에 참여하였다. 1930년 2월 광주학생운동후원위원회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 전반기 국내의 조선여자대학 설립 후원, 이충무공 유적보존활동 지원, 한인실업연구회 발기 등에 참여하였다. 1931년 9월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북미대한인국민회 선전부장 겸 미주한인연합회 선전부장으로 일제 침략의 부당성을 알려 한인의 단결과 독립의식을 진작시키고, 중국인과 미국인의 지원을 얻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3년 5월 김규식이 샌프란시스코에 와서 중한민중동맹 샌프란시스코지부를 조직할 때, 백일규·홍언 등과 주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북미대한인국민회 부회장과 대의원회 의장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과의 동맹 결의, 대한민국임시정부 후원, 재미한인 후원 등에 대한 사항을 의결하였다. 1937년 이후에는 북미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 겸 구제 담당 상무집행위원, 오클랜드지방회 대의원 등으로 활동하며 미주 한인독립운동단체 연합,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 1,000달러 제공, 중국 항일군에게 의연금 제공, 중국 정세를 파악하기 위한 원동위원 특파 건 등을 처리하였다. 1937년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 교인들로부터 163달러를 모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하였고, 1938년 안창호선생추도회와 순국선현일 등에 참여하여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였다. 1939년 3·1절 경축식과 순국선열추도식 등에 참여하여 독립의식을 고취하였다. 1939년 7월 위암 수술을 받고 12월 28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임정구(관리번호:95473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