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431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李聖禮
이명 金聖禮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20년 대한여자애국단 맥스웰지부 단장, 1930~1945년 동단 나성지부 부단장·재무·위원·단장, 1934~1942년 동단 총부 재무로 활동하고, 1944년 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동년 10월 구미위원부 개조를 위한 전체대표회, 1945년 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강화회에 대한여자애국단 대표로 참석함.
1934~1935년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 구제원, 1936년 7월 흥사단 제2구역 나성지방대회 준비위원에 선임되어 활동하고, 1923~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20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에서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등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20년 4월경 대한여자애국단 맥스웰지부 단장, 1930년 동단 로스앤젤레스지부(羅城地方會) 부단장, 1931년 재무, 1937년, 1940년, 1944년 위원, 1938~1939년, 1942년, 1945년 단장을 역임하였다.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에서는 1934년과 1935년 구제원, 1936년 7월 흥사단(興士團) 제23대회 제2구역 로스앤젤레스지방대회 준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2년과 1944년, 1945년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에 애국단 대표로 참석하였다. 1945년 1월 광복운동을 위한 군사공작을 촉진할 목적으로 개최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강화회에 참석하여 단체 합동과 집행부 강화에 찬성하였다. 1923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20. 4. 13, 1923. 4. 26, 1924. 6. 26, 1925. 8. 20, 1926. 8. 5, 1927. 8. 11, 8. 18, 1928. 2. 23, 6. 21, 6. 28, 9. 20, 1929. 11. 28, 1930. 4. 17, 12. 18, 1931. 3. 12, 3. 23, 10. 22, 1932. 3. 24, 5. 19, 8. 25, 1933. 3. 23, 9. 28, 12. 21, 1934. 2. 15, 3. 15, 12. 13, 1935. 3. 7, 12. 26, 1936. 1. 9, 9. 3, 1937. 1. 28, 7. 29, 10. 7, 10. 21, 10. 28, 12. 9, 1938. 5. 5, 9. 1, 12. 22, 1939. 7. 27, 12. 7, 1940. 7. 11, 11. 7, 1941. 7. 10, 12. 4, 12. 18, 1942. 1. 15, 1. 29, 2. 19, 4. 2, 4. 30, 10. 15, 1943. 1. 14, 6. 24, 9. 23, 12. 23, 1944. 1. 13, 1. 27, 4. 13, 5. 11, 5. 18, 10. 5, 11. 2, 11. 30, 1945. 1. 11, 2. 22, 3. 29)
  • 독립(1944. 4. 13, 11. 8, 11. 15, 11. 22, 1945. 1. 10)
  • 興士團報(1936)(독립기념관 소장) 제22권
  •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1974) 제7집 412, 419, 443면, 제8집 847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성례 - 미상 -
본문
자료의 한계로 출신지와 출생일자는 확인할 수 없다. 대한인여자애국단(大韓人女子愛國團),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등 미주지역 독립운동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1920년 4월 대한인여자애국단 맥스웰(Maxwell)지부 조직에 앞장섰으며, 단장에 선출되었다. 대한인여자애국단은 1919년 5월 18일 삭도(朔都, Sacramento)지방 한인부인회 회장 양제현(梁齊賢)과 다뉴바(Dinuba) 지방 신한부인회 회장 강원신(康元信)이 중심이 되어 각 지방에 난립되어 있는 부인회를 통일하여 설립한 미주 최대의 여성단체였다.1930년 대한인여자애국단 나성(羅城, Los Angeles)지부 부단장 겸 재무원으로 활동하였고, 1931년에는 재무원으로 활동하였다. 1934년에는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 구제원과 대한인여자애국단총단 총재무원으로 활동하였다. 1935년에는 나성여자기독청년회 구제원 및 나성지방회 구제원으로 활동히였다.1936년에는 흥사단(興士團)에서 대회준비위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인여자애국단 총단에서 총재무원으로 활동하였다. 1937년에는 대한인여자애국단 총단에서 중국항일동정금 모집에 앞장섰다. 1939년까지 나성지부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여성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독려하였다. 1940년에는 나성지부 위원으로, 1942년에는 다시 단장으로 활동하였다. 또 대한인여자애국단 총단에서 재무로 활동하면서 국방공채 모집에 노력을 기울였다.1942년과 1944년에는 차인재(車仁載)와 대한인여자애국단 대표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에 참가하여, 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1945년에는 대한인여자애국단 나성지부 단장으로 활동하였다.1923년 4월 26일 상하이(上海) 국민대표회의에 미주한인 대표원 파견 경비로 1원을 시작하여, 1945년까지 국민의무금, 중국혁명후원금,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특별운동비 등 다양한 독립운동자금을 후원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소재지
국외소재 미국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성례(관리번호:95443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