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365
성명
한자 崔正植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7 훈격 대통령표창
1908년 12월 멕시코 유카탄에서 한인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농장을 방문한 일본인 관리를 축출함.
1909년 5월 국민회 메리다 지방회 평의원, 1912, 1913년 대한인국민회 오악기나 지방회 법무, 1917년 메리다 지방회 법무, 1919년 서기 및 수전위원, 1922년 학무원, 1924년 법무, 1937년 부엘도 지방대표, 1939년 과사괄고 지방회 감찰원, 1940년 대표원, 1941년 감찰위원, 1909, 1910년 국민회 총회 파견 메리다 지방회 대의원으로 활동함.
1923년 3월 메리다 지방회 3.1절 기념식에서 헌법을 낭독하고, 1925년 3월 푸론데라 지방회 3.1절 기념식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으며, 1937년 3월 부엘도 3.1절 기념식에서 3.1운동의 역사를 설명하고, 1939년 3월 과살괄고 지방회 3.1절 기념식에서 조선독립선언서의 논리를 설명하였으며, 1940년 3월 과살괄고 지방회 3.1절 기념식에서 연설하는 등 여러 차례 지방회 기념식에서 한국독립운동에 관해 연설함.
1917∼1941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05년 4월 한인 1,033명과 함께 멕시코로 노동 이민을 떠났다. 5월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에 도착하여 에네켄농장에서 4년간 강제 노역하였다.

1909년 5월 미주 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를 설립하고 평의원이 되었으며, 6월에는 학무, 8월에는 대의원, 1910년에도 대의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11년 12월 와하케뇨에서 에네켄농장의 노동자를 모집하자 동 지방으로 이주하였다. 1912년 1월 대한인국민회 와하케뇨지방회(五岳基那地方會)를 설립하고 법무로 선임되었다. 1913년에도 법무로 활동하였다.

1917년 멕시코혁명의 와중에 와하케뇨가 전쟁터로 변하자, 다시 메리다지방회로 이전하였다. 메리다지방회에서 1917년 10월 법무, 1919년 서기·수전위원(收錢委員), 1922년 학무, 1923년과 1924년에는 법무로 활동하였다. 1923년 3.1절 기념식에서 헌법을 낭독하였다. 1925년 3월에는 푸론테라지방회 주최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1937년 3월 코앗사 코알코스에서 3.1절 기념경축식을 거행하고 「삼일운동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였다. 1939년 3월 코앗사 코알코스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동 지방회 주최 3.1절 기념식에서 조선 독립선언의 논리에 대해 연설하였다. 8월 국치기념식에서는 「국치기념사」를 연설 하였다.

1940년 동 지방회 대표원으로 선임되어 3.1절 기념식에서 연설하는 등 여러 차례 한국독립운동에 관해 연설하였다. 1941년에도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17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201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공립신보(共立新報)(1909. 1. 20)
  • 신한민보(新韓民報)(1909. 5. 26, 6. 23, 8. 25, 11. 24, 1912. 1. 1, 1913. 6. 23, 1917. 10. 4, 11. 1, 11. 29, 1918. 5. 30, 12. 12, 1919. 1. 16, 5. 31, 1920. 4. 6, 1923. 3. 22, 11. 8, 11. 29, 1924. 4. 24, 7. 1, 12. 21, 1925. 3. 26, 12. 31, 1926. 12. 2, 1927. 1. 6, 1928. 4. 12, 1936. 12. 24, 1937. 3. 18, 3. 25, 7. 29, 11. 18, 1938. 5. 19, 8. 18, 1939. 3. 2, 3. 23, 6. 15, 6. 22, 9. 28, 12. 21, 12. 28, 1940. 3. 21, 4. 4, 12. 19, 1941. 5. 1, 6. 19, 7. 24, 1942. 7. 2, 1944. 11. 22)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권 138, 452면, 제4권 146, 147면, 제5권 366면, 제9권 94면, 제17권 339, 384, 45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최정식 - 충남 서천(舒川) -
본문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한산면(韓山面) 용산리(龍山里)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871년생으로 추정된다. 아들 호세 산체스 팍(Jose Sanchez Pac, 한국명 최병덕)이 집필한 󰡔회상󰡕에 따르면, 서울에서 출생하여 이후 서천군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1905년 멕시코 농장 노동자를 모집하는 노동이민에 응모하여, 4월 4일 1,033명과 함께 인천항을 출발하여 5월 멕시코 살리나크루스(Salina Cruz) 항에 도착하였다. 이후 4년간 유카탄 주 메리다(Mérida)의 농장에서 선박용 밧줄에 쓰이는 에네켄(Henequén) 재배·채취 작업에 종사하였다. 1908년 일본에서 온 관리가 한국인 노동자들을 ‘보호국 신민’으로 취급하며 관할하려 하자 한국이 독립국임을 선언하며 일본인 관리를 축출하는 데 앞장섰다. 1909년 미국에 거주하던 국민회원 방화중(邦化重)·황사용(黃思溶)이 멕시코를 방문하여 메리다 거주 한국인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국민회 지방회가 결성될 때, 창립대회에 참가하여 평의원에 선출되었다. 이후 이근영(李根永)·방경일(方擎日) 등 메리다지방회 간부들과 멕시코 내 한국인 신입회원을 확보하였다. 메리다의 농장과의 노동 계약이 종료되자 베라크루스주의 와하케뇨(Oaxaquenō)로 이주한 뒤, 그곳의 산 후안 수하르(San Juan Zugar) 제당공장에서 근무하며 서현우(徐鉉宇)·이종대 등과 대한인국민회 와하케뇨지방회를 창설하고, 법무원·사찰 등을 지냈고, 1913년 교민 자제들을 가르치고 민족사상을 함양하기 위한 숭무학교(崇武學校)가 설립되자, 교사를 맡기도 하였다. 이후 1917년 멕시코 혁명의 여파로 와하케뇨가 전장이 되자, 항구 도시 코아트사코알코스(Coatzacoalcos)로 이주한 뒤 메리다지방회에 복귀하여 법무원으로 활동하였다. 그 해 안창호(安昌浩)가 멕시코를 방문하였을 때, 독립자금 모금 현황을 보고하고, 지방회 운영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였다. 1919년에는 서기 및 수전위원(收錢委員), 1922년 학무위원, 1923~1924년 법무위원 등 멕시코 내 한국인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등 3·1운동 기념식을 주관하였으며, 멕시코인들을 상대로 한국 독립의 당위성과 한국인 공동체의 존립 근거를 호소하였다. 1941년까지 모금한 군자금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송금하는 등 노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최정식(관리번호:95436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