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297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方漢祚
이명 Francisco Pang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8 훈격 건국포장
1918~1919년 멕시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프론테라지방회 재무, 구제원, 1923년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회원, 1925~1928년 평의원, 구제원, 1939년 하바나지방회 회원, 1940년 감찰위원, 1941~1943년 총무, 1945년 재무, 1945년 7월 재큐한족단 부재무를 역임함.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독립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05년 5월 멕시코로 노동 이민을 와 4년간 에네켄농장에서 강제 노역하였다. 1917년경 메리다에서 푸론테라로 이주하였고, 1918년에는 대한인국민회 푸론테라지방회 재무로 선임되었다. 1919년에는 동 지방회 구제원으로 선임되어 6월까지 활동하였다.

1921년 초 푸론테라와 푸에르토 멕시코 지방 한인 67명과 함께 쿠바로 이주하여 마탄사스에 거주하였다. 1923년 쿠바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하였고, 1925년에는 동 지방회 9인의 평의원 중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1927년과 1928년에는 동 지방회 구제원으로 마탄사스 한인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헌신하였다. 1929년 7월경 하바나로 이주하여 상점을 개설하였고, 1937년에는 마탄사스에서 1,000여 리 떨어진 가마구에이에서 화원을 경영하며 「대한민국임시정부 공보」와 『한민』 등을 보고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의연금을 전달하였다.

1938년 다시 하바나로 이주하여 1939년 하바나지방회 주최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연설하였다. 1940년에는 동 지방회 감찰위원이 되어 하바나와 그 인근에 거주하는 한인 청년들에게 대한인국민회의 의무 이행을 권유하였다. 1941년 동 지방회 집행위원 겸 총무로 회무 진행과 광복군 후원금 모집에 적극 노력하였다. 8월 중국항공연합회 주최로 강연·축하회가 개최되자, 하바나지방 대표로 참석하고 지방회 명의로 항공금을 기부하였다. 10월 동 지방회 주최로 마탄사스지방회와 연석회의를 열고 쿠바 한인의 안전 보장 방침을 협의하였다. 11월에는 동 지방회에서 모금한 독립금을 대한인국민회로 송금하였다. 1942년과 1943년에도 동 지방회 상무위원 겸 총무로 연임되어 활동하였다. 1942년 12월 쿠바의 대축심 선전 1주년 기념식에 한인부대로 참석하였다. 1943년 4월 쿠바 세 지방회가 통합하여 재큐한족단을 설립하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45년에는 하바나지방회 재무로 활동하면서 재큐한족단의 유지 발전과 진행방침에 관해 논의하였다. 7월에는 재큐한족단 부재무로 선임되었다.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2018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1917. 4. 12, 1918. 1. 3, 6. 27, 8. 22, 9. 19, 1919. 2. 6, 2. 20, 6. 24, 7. 26, 1920. 12. 2, 1923. 6. 7, 7. 12, 11. 22, 12. 6, 1924. 1. 24, 4. 3, 10. 23, 11. 24, 12. 25, 1925. 1. 1, 2. 19, 6. 4, 7. 2, 9. 10, 1926. 1. 7, 5. 17, 10. 21, 11. 18, 1927. 1. 13, 2. 17, 3. 24, 5. 19, 12. 29, 1928. 4. 12, 1929. 8. 15, 1937. 11. 4, 1938. 12. 15, 1939. 3. 30, 9. 14, 12. 21, 1940. 3. 14, 11. 14, 12. 12, 12. 26, 1941. 2. 20, 3. 27, 4. 3, 5. 8, 6. 26, 8. 14, 9. 4, 9. 11, 10. 9, 11. 20, 1942. 1. 1, 3. 26, 1943. 1. 28, 2. 11, 7. 8, 1944. 12. 7, 1945. 5. 17, 8. 23)
  • 미주국민회자료집(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3권 345면, 제5권 262, 493, 593면, 제9권 14~15면, 제13권 466, 506, 509, 659, 671면, 제17권 300, 389면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독립기념관, 2006) Ⅴ-멕시코·쿠바(속편) 461, 471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방한조 Francisco Pang 경기 강화 -
본문
경기도 강화군(江華郡) 선원면(仙源面) 창동(倉洞)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886년생으로 추정된다. 스페인어 이름은 프란시스코 팡(Francisco Pang)이었다. 멕시코와 쿠바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지방회와 재큐한족단 활동을 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후원하였다.1905년 멕시코로 이주하였다. 멕시코 에네켄 농장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4년간 강제 노역을 하였다. 1917년 메리다(Mérida)에서 프론테라(Frontera)로 이주하였다. 1918년 대한인국민회 프론테라지방회에 가입하여 재무로 선임되었다. 프론테라 지방회는 프론테라 지역 한인들을 보호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독립선언서」를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멕시코 각 지역에 배포하기도 하였다. 1919년에는 구제원으로 선임되어 6월까지 활동하였다.1921년 멕시코 프론테라와 푸에르토(Puerto) 지방 한인 67명과 함께 쿠바 마탄사스(Matanzas)로 이주하였다. 1923년 쿠바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 지방회의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5년에는 마탄사스 지방회 9인의 평의원 중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1927~1928년 마탄사스 지방회의 구제원으로 활동하며 한인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힘썼다.1937년 마탄사스에서 1,000여 리 떨어진 카마구에이(Camagüey)에서 화원을 경영하였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발간한 공보와 기관지 『한민』 등을 보며 독립운동지원금을 보내기도 하였다. 1939년 하바나(Havana)지방회의 주최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연설하였다. 1940년 하바나 지방회의 감찰위원이 되어 그곳의 한인 청년들에게 대한인국민회의 활동들을 설파하며 의무 이행을 권유하기도 하였다.1941년 하바나 지방회의 집행위원 겸 총무를 맡아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후원금 모집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해 8월에는 중국항공연합회(中國航空聯合會) 주최로 강연 및 축하회가 열리자 하바나지방 대표로 참석하여 지방회 명의로 항공금을 기부하였다. 10월에는 하바나 지방회의 주최로 마탄사스 지방회와 연석회의를 열고 쿠바 한인의 안전 보장 방침을 협의하는 데 일조하였다. 11월에는 하바나 지방회에서 모금한 독립금을 대한인국민회로 송금하는 업무를 맡았다.1942년과 1943년에도 하바나 지방회의 상무위원 겸 총무로 연임되어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 나갔다. 1942년 12월 9일 쿠바의 선전 1주년 기념식에 한인 부대로 참석하여 쿠바 정부를 상대로 일본과 적대적 관계임을 인식시켰다.1943년 4월 쿠바의 대표적인 세 지방회가 통합하여 재큐한족단을 설립하는데 일조하였다. 재큐한족단은 임시정부를 후원하고, 한인 동포의 안녕 보장, 한국 독립 선전, 독립 후원금 모집 등을 목표로 출범하였다. 재큐한족단은 1943년 쿠바 정부수립 41주년 기념식과 미국독립기념일 행사 등에 참석하여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1945년 7월에는 재큐한족단 부재무로 선임되었으며, 재큐한족단의 유지 발전과 진행 방침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방한조(관리번호:95429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