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285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朴斗鉉
이명 朴斗賢, 朴斗顯, Alberto Pack, Albedo Pak, Alberto Pack, bhung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8 훈격 건국포장
1911년 멕시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평의원, 1912년 대의원, 1917년 진성학교 교장 등으로 활동함.
1922년 쿠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마탄사스지방회 학무, 1924년 카르데나스지방회 대의원, 1925년 부회장, 1926년 회장, 1928년 마탄사스지방회 재무원, 1929년 민성국어학교 교장, 1931년 마탄사스 부회장, 1935~1936년 회장, 1937년 지방집행위원장, 1938~1939년 민성국어학교 교장, 1943년 재큐한족단 국문 부서기 등으로 활동함.
1909년부터 1940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1905년 5월 한인 1,033명과 함께 멕시코에 도착하여 4년간 에네켄농장에서 강제 노역을 하였다. 1909년 5월 미주 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가 설립되자 창립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11년 정원성(鄭元成)과 함께 동 지방회 평의원으로 선임되었다. 1912년에는 대의원으로 선정되었다. 1917년 4월에는 한인 2세의 교육을 위해 세워진 진성학교 수전위원(收錢委員), 7월에는 교장으로 선임되었다. 1918년 5월에는 메리다지방회 산하에 데스가갈 쎄로지방 경찰소를 신설하고 경찰원이 되어 두 달여 동안 활동하였다.

1921년 초 멕시코 푸에르토 멕시코와 푸론테라 지방 회원 67명과 함께 쿠바로 이주하였다. 쿠바 마탄사스에서 대한인국민회 지방회를 설립하고 1921년 9월 대의원, 1922년 학무로 활동하였다. 이후 카르데나스로 이주하여 카르데나스지방회에서 1924년 대의원과 서기,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지방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25년 동 지방회 부회장을 거쳐 1926년 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7년 11월경 다시 마탄사스로 이주하여 1928년 동 지방회 재무로 선임되었다. 2월에는 한인 2세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민성국어학교 교장으로 활동하였다. 동 지방회에서 1929년 대의원, 1930년 재정조사위원, 1931년 학무, 1932년 부회장 겸 평의원회 회장, 1933년 평의원, 1934년 학무와 재정조사위원, 1935년 민성국어학교 교장, 1936년 회장, 마탄사스 청년부 훈련부장, 1937년 지방집행위원장, 1938~1939년 민성국어학교 교장, 1940년 총무가 되어 활동하였다.

1940년 4월경 장남 박영창이 있는 카르데나스로 이주했다. 1942년부터 하바나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43년 4월 마탄사스 등 쿠바의 3개 지방회가 연합하여 하바나에서 재큐한족단을 조직하자 국문 부서기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45년 하바나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09년부터 1940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2018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1909. 12. 1, 1912. 1. 1, 1917. 4. 12, 7. 26, 1918. 7. 18, 8. 8, 1919. 8. 30, 1922. 11. 30, 12. 14, 1923. 6. 7, 1924. 2. 28, 5. 29, 6. 26, 7. 10, 7. 31, 1925. 2. 26, 3. 26, 7. 2, 10. 22, 11. 12, 12. 31, 1926. 2. 28, 3. 4, 10. 28, 11. 4, 1927. 11. 27, 12. 29, 1928. 2. 9, 2. 16, 2. 23, 4. 12, 5. 17, 5. 24, 7. 19, 9. 6, 10. 25, 11. 29, 12. 20, 1929. 1. 17, 1. 24, 5. 30, 6. 13, 9. 5, 11. 21, 1930. 2. 27, 7. 10, 12. 4, 12. 25, 1931. 2. 5, 5. 21, 10. 8, 12. 3, 1932. 1. 28, 7. 14, 1933. 3. 16, 2. 23, 12. 28, 1934. 2. 22, 3. 22, 9. 13, 9. 27, 11. 29, 12. 20, 1935. 1. 3, 1. 10, 2. 28, 4. 4, 5. 16, 9. 12, 11. 21, 12. 19, 12. 26, 1936. 1. 16, 2. 13, 3. 19, 3. 26, 4. 1, 5. 21, 6. 11, 7. 2, 8. 20, 8. 27, 10. 8, 10. 29, 11. 5, 11. 19, 11. 26, 12. 10, 12. 24, 12. 31, 1937. 1. 21, 2. 18, 2. 25, 3. 4, 3. 11, 4. 1, 4. 8, 5. 13, 8. 5, 10. 21, 10. 28, 11. 4, 12. 2, 1938. 2. 10, 2. 17, 3. 24, 4. 28, 7. 21, 9. 1, 9. 29, 10. 20, 1939. 1. 26, 4. 13, 11. 2, 12. 21, 1940. 1. 18, 1. 25, 3. 7, 5. 16, 6. 6, 1942. 3. 26, 1943. 1. 28, 3. 4, 5. 13, 8. 5, 1944. 1. 13, 1. 20, 12. 7, 12. 14)
  • 안창호 초빙을 위해 멕시코 지방총회 동포에게 반포한 글 및 여비출연명단(1918. 4. 8)
  • 재미불령선인(在米不逞鮮人)이 발행한 구미위원부 통신에 관한 건(조선총독부 경무국:1924. 8. 13)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朝鮮人)의 부(部)-재구미(在歐米)(7)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5) 1권 446면, 4권 160면, 5권 241면, 8권 160면, 9권 44, 176, 177면, 10권 128, 221면, 13권 83, 329, 561, 570면, 17권 340, 455, 549면, 19권 195면, 20권 260면
  • 한국인 멕시코 이민사(이자경, 1998) 314, 315면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 Ⅴ-멕시코·쿠바 속편(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6) 428~430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두현 박두현(朴斗賢, 朴斗顯), Alberto Pack, Albedo Pak, Alberto Pack, bhung 서울 대한인국민회
본문
1869년 서울 서대문(西大門) 신촌(新村)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한자가 다른 박두현(朴斗賢)〮(朴斗顯)과 스페인어명인 Alberto Pack, Albedo Pak, Alberto Pack, bhung 등을 사용하였다.1905년 5월 영국인으로 멕시코 국적의 국제이민 브로커인 존 마이어스John G. Meyers와 일본의 대륙식산합자회사 직원 오바칸이치(大庭寛一)의 계략에 속아 한인 1,033명과 멕시코로 노동이민을 떠났다. 멕시코 도착 후 4년간 에네켄 농장에서 노역을 하였는데, 새벽부터 어두울 때까지 일하며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노예 같은 생활이었다.1909년 5월 미주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지방총회 산하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1911년 정원성(鄭元成)과 메리다지방회 평의원, 1912년에는 대의원에 선임되었다. 1917년 4월 한인 2세의 한글과 한국 문화교육을 위해 세워진 진성학교 수전위원(收錢委員), 7월에는 교장으로 선임되었다. 1918년 5월에는 메리다지방회 산하에 데스가갈 쎄로지방 경찰소를 신설하고 경찰원으로 두 달여 동안 활동하였다.1921년 멕시코 푸에르토 멕시코와 프론테라(Frontera) 지방회원 67명과 쿠바로 이주하여 쿠바 마탄사스(Matanzas)에 대한인국민회 지방회를 설립하고, 같은 해 9월 대의원, 1922년 학무를 역임하였다. 이후 카르데나스(Cardenas)로 이주하여 1924년 카르데나스지방회의 대의원과 서기, 구미위원부 지방위원에 선임되었다. 1925년 지방회 부회장, 1926년 회장으로 지방회를 이끌었다.1927년 11월 다시 마탄사스로 옮겨, 1928년 마탄사스 지방회 재무, 2월에는 한인 2세의 한글과 한국문화 교육을 위해 설립된 민성국어학교 교장을 맡았다. 1929년 다시 마탄사스 지방회의 대의원, 1930년 재정조사위원, 1931년 학무, 1932년 부회장 겸 평의원회 회장, 1933년 평의원, 1934년 학무와 재정조사위원, 1935년 민성국어학교 교장, 1936년에 회장과 마탄사스 청년부 훈련부장, 1937년 지방집행위원장, 1938년에서 1939년까지 민성국어학교 교장, 1940년 총무를 지냈다.1940년에는 장남이 있는 카르데나스로 이주하고, 1942년부터 하바나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43년 4월 마탄사스 등 쿠바의 3개 지방회가 하바나(Habana)에서 재큐한족단을 조직할 때 한글 담당 부서기로 선임되었다. 재큐한족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원과 대한인국민회 옹호를 결의하고, 재외동포의 단합과 한국독립 선전, 독립후원금 모집활동 등을 벌였다. 1945년 하바나 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09년부터 1945년까지 수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헌납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두현(관리번호:954285)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