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277
성명
한자 兪鎭台
이명 兪鎭泰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7 훈격 건국포장
1909년 대한인국민회 멕시코 메리다지방회 평의원, 1910년 경찰원, 1912년 오악기나지방회 화장, 대의원, 1917년 평의원, 1919, 1921~1922년 메리다지방회 회장, 1923년 법무, 1924년 서기 겸 재무, 1925년 재무, 1928년 ~ 1936년 회장, 1945년 감찰위원을 역임함.
1909년 ~ 1945년까지 독립운동 자금을 여러 차례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4권(2019년 발간)

기계유씨(杞溪兪氏)로 유길준(兪吉濬)의 삼촌이다. 1905년 4월 영국인이자 멕시코 국적의 국제이민 브로커 마이어스와 일본의 대륙식산합자회사 직원 오바 간이치의 계략에 속아 한인 1,033명과 함께 멕시코로 4년간 노동 이민을 떠났다. 5월 11일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에 도착하여 에네켄농장에서 일하였다.

4년간의 계약기간이 끝나자, 1909년 5월 미주 국민회 특파원 황사용(黃思溶)과 방화중(邦化重)의 지원으로 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를 설립하고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2월 안중근(安重根)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처단 소식을 듣고 개최된 국욕(國辱)기념식에서 연설하였다. 1910년 2월 동 지방회 산하 추쿠미천에 거주하며 경찰소를 설립하고 경찰로 선임되었다.

1912년 와하케뇨 지방에서 에네켄농장에서 일할 노동자를 모집하자 이주하였다. 1월 와하케뇨지방회(五岳基那地方會)를 조직하고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회장 서현우의 사임으로 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그후 메리다지방회로 다시 돌아와 해방이 될 때까지 활동하였다. 1917년 평의원으로 선정되었으나 곧 사임하였다. 1919년 동 지방회 회장이 된 데 이어 1921~1922년에도 회장이 되어 활동하였다. 1923년에는 법무, 1924년 서기 겸 재무, 1925년에는 재무, 1930년부터 1936년까지는 회장으로 활동하며 국민회 창립기념식, 3.1절 기념식, 이봉창 의사 추도회, 국치기념식, 순국선열기념식 개최 등을 주관하였다. 1936년 7월에는 국민회로부터 로스앤젤레스총회관 건축 사무 진행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37년부터 1944년까지 지방회 주최 각종 기념식에서 연설하였다. 1945년에는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09년부터 1945년까지 수십 차례에 걸쳐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2017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1909. 5. 26, 12. 8, 1910. 2. 23, 1912. 2. 12, 3. 18, 6. 24, 7. 22, 12. 9, 1917. 3. 15, 4. 12, 1919. 2. 26, 1921. 3. 10, 4. 7, 5. 5, 5. 12, 1922. 11. 2, 12. 14, 1923. 11. 8, 11. 22, 11. 29, 1924. 10. 23, 11. 13, 12. 11, 1925. 7. 23, 11. 15, 11. 25, 1927. 1. 6, 9. 1, 12. 1, 1928. 6. 28, 8. 30, 1929. 5. 30, 12. 19, 1930. 1. 16, 3. 20, 4. 17, 6. 26, 7. 24, 8. 14, 10. 9, 11. 6, 11. 27, 1931. 1. 8, 1. 15, 1. 29, 3. 19, 6. 4, 7. 2, 11. 12, 12. 3, 1932. 1. 14, 1. 21, 2. 25, 3. 17, 5. 26, 7. 28, 12. 8, 12. 15, 1933. 1. 5, 2. 2, 2. 23, 3. 16, 4. 20, 6. 22, 9. 21, 11. 23, 12. 28, 1934. 1. 25, 3. 15, 3. 22, 4. 12, 5. 24, 6. 14, 7. 19, 9. 13, 10. 18, 11. 15, 12. 13, 1935. 1. 17, 3. 14, 9. 5, 9. 12, 9. 19, 11. 21, 1936. 7. 9, 9. 17, 12. 17, 1937. 2. 18, 3. 1, 3. 11, 9. 2, 1938. 2. 10, 3. 3, 3. 10, 4. 14, 5. 19, 9. 15, 9. 22, 1940. 5. 2, 6. 13, 9. 26, 11. 7, 11. 28, 12. 12, 1941. 5. 29, 10. 30, 11. 20, 1942. 1. 1, 7. 9, 1943. 1. 21, 5. 13, 6. 3, 10. 7, 1944. 1 20, 1. 13, 1945. 1. 11, 3. 8)
  • 연합뉴스(2005. 2. 28)
  • 한민(韓民)(1937. 3. 1)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권 138, 453면, 제2권 533, 582면, 제3권 377, 390면, 제5권 307, 512면, 제7권 376, 400, 521면, 제8권 391면, 제9권 47, 49, 76, 358, 572, 576~577면, 제10권 350, 358, 365, 368, 401, 403, 415, 418, 431, 435, 441, 449, 470, 501, 511면, 제13권 53, 82, 106, 238면, 제17권 289, 339, 394, 453, 548면, 제20권 136면
  •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국가보훈처·독립기념관, 2003) Ⅲ권 멕시코·쿠바 164~165면
  • 멕시코 이민 100주년, 회고와 향후 전망(단국대학교 아시아 아메리카 문제 연구소, 2005) 162~163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유진태 兪鎭泰 경기 양주(楊州) -
본문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화도면(和道面) 차산리(車山里, 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880년생으로 추정된다.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兪吉濬)의 삼촌이다. 1905년 4월 국제이민 브로커인 마이어스가 멕시코 유카탄주의 에네켄 농장주협회의 대리인으로 노동 이민자를 모집하기 위해서 한국에 왔다. 그러나 멕시코 이민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뜻대로 일이 되지 않자 일본의 대륙식산합자회사와 손을 잡고 이민자를 모집하였다. 그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한인 1,033명과 함께 멕시코로 노동이민을 떠났다. 5월 11일 멕시코 유카탄주에 도착하여 에네켄 농장에서 일하기 시작하였는데 살인적인 무더위와 노예 수준의 노동 조건 아래서 계약 기간인 4년 동안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1909년 4월경 멕시코 거주 한인들이 비참한 현실이 북미 지역의 한인 동포사회에 알려지자 대한인국민회는 방사중(邦化重)과 황사용(黃思溶)을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로 파견하였다. 이들의 지원으로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가 설립되었고, 이때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설립 당시 한인 314명이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메리다지방회는 멕시코 한인의 단합과 독립운동 지원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근영이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2월에는 안중근(安重根)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처단 소식을 계기로 국욕기념식(國辱記念式)이 개최되었는데 이때 연설을 하였다. 1910년 말에는 멕시코 혁명이 본격화되면서 많은 한인들이 생활고를 겪으면서 유카탄을 떠나기도 하였으나 멕시코에 활동을 이어나갔다. 1912년 1월에는 와하케뇨지방회(五岳基那地方會)를 조직하고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그후부터는 광복이 될 때까지 메리다지방회에서 활동하였다. 1917년 평의원으로 선정, 회장 서현우가 사임한 이후 1921년부터 1922년까지 회장을 역임하였다. 1923년에 법무, 1924년 서기 겸 재무, 1925년 재무의 책임을 맡았다.1930년 경 한인 1세 지도급 인사인 이종오(李鍾旿)·박춘삼(朴春三)·김정식(金正植) 등과 함께 메리다시 65번가에 회관을 짓기 위해 모금운동을 벌였다. 멕시코 토지법에 의해 외국인인 한인이 건물이나 토지를 매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부 한인이 멕시코로 귀화하였고 8명이 공동명의로 토지를 구입하여 회관을 지었다. 1936년까지 다시 회장으로 역임하면서 대한인국민회 창립기념식, 3·1절 기념식, 이봉창(李奉昌) 추도회, 국치기념식, 순국선열기념식 등의 개최를 주관하였다. 1936년 7월에 대한인국민회로부터 로스앤젤레스총회관 건축 사무 진행위원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1937년부터 1944년까지 메리다지방회 주최 각종 기념식에서 연설하였으며 1945년에는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이처럼 메리다지방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한인들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수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기도 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유진태(관리번호:954277)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