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276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徐丙鶴
이명 徐丙學, 徐炳學, Miguel Soh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21 훈격 애족장

관련정보


2024년 10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1911년부터 1920년까지 멕시코에서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사찰(1911), 오학기나지방회 서기(1913~1917), 학무(1913), 실업부원(1916), 일신학교 학무원(1913), 신한민보 방사원(1915), 과사괄고경찰소 임원(1915), 호보야경찰소 임원(1917), 산타페지방회 학무원 및 서기(1920) 등으로 활동함.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쿠바에서 대한인국민회 마나티지방회 서기(1921), 마탄사스지방회 서기(1922~1926), 신한민보 대금 수봉위원(1924), 실업부원(1925), 민성국어학교 교사(1923) 등으로 활동하였고 1937년 대한인국민회 하바나지방회 조직에 참여하여 지방집행위원을 역임하고 서기(1937~1945), 선전(1938~1939), 수전위원(1938), 교육(1943~1945), 감찰 및 협찬(1944), 대한인국민회 제2차 대표대회 하바나 대표(1938), 하바나국어학교 교사(1937), 하바나청년부 서기 및 학무(1937~1938), 대한여자애국단 하바나지부 협찬위원(1938~1940), 재쿠한족단 국문정서기(1943~1945) 등으로 활동함.
1913년부터 1941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 공훈록 27권(2022년 발간)

1885년경 서울 중서(中署) 교동(校洞)에서 태어났다.

대한제국 군인으로 활동하다가 1905년 4월 멕시코 유카탄으로 이민을 가서 에네켄농장에서 일했다.

1909년 5월 멕시코 한인들이 국민회 메리다지방회를 결성할 당시 참여하였으며, 1911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사찰로 임명되었다. 베라크루즈주 남쪽에 있는 오학기나(Oaxaqueno) 지방으로 이주하였고, 오학기나로 이주한 한인들이 1911년 12월 17일 오학기나지방회를 조직할 당시 참여하였다. 1913년 6월 오학기나지방회 서기, 일신학교 학무원에 임명되었다.

1915년 10월에는 서병학이 오학기나지방회 부회장의 임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1916년도에도 오학기나지방회 서기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6월 실업부원이 되었고, 1917년 7월 메리다지방회 호보야경찰소 서기에 임명되었다.

유카탄지방에 거류하던 한인들이 1920년 4월 15일 베라크루스 근방의 산타페(Santa Fe)로 이주하여 산타페지방회를 조직하였는데, 서병학은 산타페지방회의 서기로 선임되었다. 1921년 3월 쿠바로 이주하여 마나티지방회 서기에 임명되었고, 1922년 3월 마탄사스지방회 서기가 되었다. 마탄사스지방회에서는 11월 1일 한인 2세들의 민족교육을 위해 민성국어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서병학은 교사로서 국어교육에 열성을 다하였다. 1924년 9월 마탄사스지방회에서는 회관을 건축하기로 하고, 서병학을 건축위원으로 선정하였다. 1925년 마탄사스지방회 서기·실업부원, 1926년에는 서기·구제원으로 임명되었다.

1935년 12월 쿠바 아바나에 각국 신문기자들로 조직된 만국신문 기자구락부에 『신한민보』의 통신원으로 입회하여, 각국 신문에 한국의 사정을 알리는데 기여하였다. 1937년 1월 서병학은 아바나에 거류하는 한인 22명과 더불어 아바나지방회를 설립하고 서기로 선출되었다. 아바나지방회에서는 한인 자녀들을 위해 흥민국어학교를 설립하고 서병학을 교사로 선정하였다.

같은 해 7월에는 아바나지방회에 청년부를 설치하고, 서병학이 학무원으로 선임되었다. 1938년 아바나지방회 서기·선전위원, 청년부 서기·교육위원, 흥민국어학교 교사, 3.1기념식 준비위원, 대한여자애국단 아바나지부 협찬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과 1940년에도 아바나지방회 서기·선전위원, 대한여자애국단 아바나지부 협찬위원을 맡았다. 1942~1945년 아바나지방회 서기·교육위원으로 선임되었고, 1945년 감찰위원·협찬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아바나지방회는 쿠바의 수도에 있는 관계로 쿠바정부와 외교적 교섭을 담당하고 있었다. 아바나지방회에서는 서병학·이종헌·이인상 3인을 선전위원으로 두고 쿠바정부와 교섭을 담당하게 하였다. 1939년 5월 쿠바의 한인과 중국인의 반일사상을 선전하기 위해 한중합작연맹회를 조직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1941년 4월 서병학은 연합빅토리아대회에서 한국인의 독립운동을 선전하였으며, 여자애국단들을 이끌고 같은 해 8월 중국항공연합회에 참가하여 한·중 양 민족의 합작에 노력하였다. 1942년 6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된 빅토리아연합회에 참가하여 임시정부 승인 등 3개의 의안을 제출하였다.

쿠바의 한인들은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후 쿠바정부를 상대로 외교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1943년 4월 18일 마탄사스·카르데나스·아바나 3개 지방회 대표들로 재쿠한족단을 조직하였다. 재쿠한족단은 단장에 이종헌, 부단장에 박창운, 국문서기에 서병학, 스페인어 서기에 김성재, 재무에 이인상, 부재무에 방한조 등이 선출되었다.

1913년 이후 1941년까지 의무금, 독립금, 인구세, 광복군후원금 등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202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新韓民報)(1913. 6. 23, 8. 8, 10. 10, 1914, 7. 16, 1915. 7. 22, 10. 28, 11. 11, 1916. 7. 6, 1917. 8. 30, 1919. 8. 30, 1920. 6. 15, 7. 29, 1922. 3. 23, 11. 30, 1923. 6. 7, 10. 4, 1924. 1. 24, 12. 4, 3. 20, 4. 24, 9. 25, 11. 27, 1925. 6. 4, 12. 10, 1926. 1. 7, 3. 4, 1935. 12. 19, 1937. 2. 11, 4. 1, 7. 1, 11. 4, 11. 11, 1938. 2. 17, 4. 7, 9. 1, 9. 15, 12. 29, 1939. 3. 30, 5. 18, 12. 21, 12. 28, 1940. 12. 12, 12. 26, 1941. 2. 20, 3. 27, 4. 3, 5. 28, 6. 26, 8. 28, 9. 11, 1942. 1. 1, 3. 26, 7. 9, 7. 23, 1943. 1. 28, 5. 13, 9. 16, 1944. 1. 20, 12. 7, 1945. 5. 17, 8. 23)
  • 독립(獨立)(1945. 1. 24)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권 150, 430면, 제4권 160면, 제5권 272면, 제9권 47면, 제17권 234, 294, 454, 499면, 제20권 290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서병학(관리번호:954276)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