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264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泳成
이명 金永成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20 훈격 건국포장
1905년 멕시코로 이주하여 1911년 대한인국민회 멕시코 메리다지방회에 가입하고 1918년부터 1944년까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평의원(1917), 대의원(1924~1927), 학무(1928~1935), 인구조사원(1929), 대한인국민회 제4·5·8차 대표대회 메리다 대표(1939·1940·1943) 등으로 활동함.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6권(2021년 발간)

1905년 11월 멕시코로 이주한 김영성은 1911년 메리다지방회 회원이 됐고, 1917년 평의원, 1924~1927년 대의원, 1928~1935년 학무, 1929년 인구조사원 등을 역임했다. 1939・1940・1943년에는 대한인국민회 제4・5・8차 대표대회에 메리다지방회 대표로 참석했다.

또한 김영성은 메리다지방회에서 개최한 3.1절 기념식(1929・1930), 순국선열 추도식(1935・1939・1942), 국치일(國恥日) 기념식(1935), 안창호(安昌浩) 추도식(1938), 한국광복군 성립 축하식(1940) 등의 행사를 주관하는 절차위원으로 활동했다. 더불어 각 행사에 여러 차례 참석해 축사와 연설, 선현의 역사에 대한 진술 등을 담당했다. 1938년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 메리다지부가 조직될 때도 지지 연설을 했다.

김영성은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안창호 초빙을 위한 여비 의연금, 3.1절 기념금, 재만동포 구제금, 광복군 후원금, 독립금 등의 명목으로 90차례 가까이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1941년에는 메리다지방회 독립금 수봉위원(收捧委員)으로 선임돼 의연금 모금을 전담했다.

정부는 2020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1911. 12. 18, 1917. 3. 15, 1924. 11. 27, 1929. 3. 28, 1930. 3. 20, 1932. 12. 15, 1935. 5. 16, 1937. 3. 11, 1938. 4. 14, 1940. 6. 6, 1941. 1. 9, 1943. 1. 21, 1944. 1. 6)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6권 375, 452, 507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영성(관리번호:954264)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