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3권(2017년 발간)
1909년부터 1945년까지 멕시코에서 국민회(國民會)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 회장, 숭무학교(崇武學校) 교장, 멕시코시티지방회(墨京地方會) 회장, 푸에르토지방회 교육부 위원 및 감찰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대한제국기 공병 하사로 근무했다. 1909년 2월 멕시코 메리다 한인들과 친목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1909년 5월 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를 창립하고 회장으로서 회원들에게 매일 한 두 시간씩 병법(兵法) 체조를 훈련시키며 숭무주의(崇武主義)를 고취하였다. 1909년 11월 작둔 지방에 숭무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이 되어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같은 달 17일 도지휘관이 되어 을사늑약 파기선언과 함께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시내 행진을 통해 한인들의 기상을 높였다.
1910년 2월 숭무학교를 정식으로 개교하고, 5월에는 국민회 메리다지방회 창립 1주년을 맞이하여 군사퍼레이드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7월 숭무학교 군사훈련에 필요한 ?보병요조초선(步兵要操抄選)?을 편찬하여 보급하는 등 군인양성 운동에 힘썼다.
1912년 1월 오학기나지방회(五岳基那地方會)를 설립하고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12년 10월 멕시코시티지방회 대의원, 1914년 동 지방회 회장, 1915년 대한인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新韓民報)?? 멕시코시티 지사원으로 선임되었다. 1918년경부터 푸에르토 멕시코(일명 부엘도, 1930년대 이후 코앗사 코알사스로 불림)로 이주하였고, 이후 푸에르토지방회에서 국민회 창립기념식 연설 등을 하였다.
1937년 12월 푸에르토지방회 교육부 위원 및 감찰원,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코앗사 코알코스지방회(일명 과사괄고지방회) 총무,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동 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해방이 될 때까지 활동하였다.
1909년부터 1945년까지 광복군후원금, 독립금 등의 명목으로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共立新報(1909. 1. 13, 1. 20)
- 新韓民報(1909. 2. 10, 4. 14, 5. 26, 6. 2, 6. 15, 6. 23, 6. 30, 7. 7, 8. 25, 9. 1, 9. 15, 10. 20, 11. 10, 11. 24, 12. 1, 12. 8, 12. 15, 1910. 2. 9, 2. 16, 3. 2, 5. 11, 6. 8, 6. 20, 7. 20, 9. 21, 1911. 7. 12, 8. 2, 8. 16, 8. 30, 9. 3, 9. 20, 9. 27, 10. 4, 11. 1, 12. 11, 12. 18, 1912. 1. 1, 1. 22, 1. 29, 3. 18, 11. 4, 1914. 2. 5, 2. 19, 2. 26, 3. 12, 3. 26, 4. 2, 1915. 7. 22, 8. 5, 8. 19, 10. 14, 1916. 9. 8, 9. 14, 10. 26, 11. 2, 1917. 8. 16, 1918. 10. 24, 11. 28, 1919. 2. 6, 3. 6, 11. 15, 1920. 6. 1, 1924. 1. 10, 4. 10, 1925. 3. 19, 7. 9, 1926. 4. 29, 1928. 3. 22, 12. 20, 1930. 3. 20, 4. 17, 1932. 8. 4, 1934. 10. 4, 1936. 4. 16, 12. 24, 1937. 2. 18, 3. 25, 7. 29, 11. 18, 12. 16, 1938. 2. 17, 8. 18, 1939. 2. 16, 3. 2, 3. 23, 6. 22, 12. 21, 12. 28, 1940. 1. 25, 4. 4, 5. 16, 5. 21, 10. 17, 11. 21, 12. 19, 12. 26, 1941. 2. 27, 3. 20, 6. 19, 9. 18, 9. 25, 11. 27, 12. 18, 1942. 4. 30, 5. 7, 5. 21, 7. 9, 9. 10, 12. 31, 1943. 2. 11, 3. 4, 4. 8, 5. 27, 10. 21, 10. 28, 11. 25, 12. 23, 1944. 3. 23, 6. 29, 1945. 1. 4, 1. 18, 4. 5, 10. 11)
- 國民報(1937. 11. 3, 1938. 9. 7)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제5권 219면
- 도산안창호전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0) 제5권 627, 651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0권 7, 9, 30, 112, 170, 209, 221, 223, 239~240, 251면, 제11권 91, 93, 113면, 제15권 233면, 제18권 124~131면, 제20권 29, 69면
- 1910년 전후 미주지역 共立協會ㆍ大韓人國民會의 민족운동 연구(김도훈,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02) 155~159, 182~184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