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181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李根永
이명 이광필, 李根英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6 훈격 애족장
1909년 멕시코에서 국민회(國民會) 메리다지방회장, 1910년 2월 숭무학교 교장, 1911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 지방회장, 1912년 1월 오악케냐 지방회 평의원, 1912년 10월 멕시코시티 지방회 대의원, 1914년 동 지방회장, 1936년 푸에르토 지방회 교육부 위원, 1937년 동 지방회 감찰원, 1939년~1943년 코아트사코알코스 지방회 총무, 1944년~1945년 동 지방회 감찰위원을 역임함.
1909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3권(2017년 발간)

1909년부터 1945년까지 멕시코에서 국민회(國民會)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 회장, 숭무학교(崇武學校) 교장, 멕시코시티지방회(墨京地方會) 회장, 푸에르토지방회 교육부 위원 및 감찰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대한제국기 공병 하사로 근무했다. 1909년 2월 멕시코 메리다 한인들과 친목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1909년 5월 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산하에 메리다지방회를 창립하고 회장으로서 회원들에게 매일 한 두 시간씩 병법(兵法) 체조를 훈련시키며 숭무주의(崇武主義)를 고취하였다. 1909년 11월 작둔 지방에 숭무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이 되어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같은 달 17일 도지휘관이 되어 을사늑약 파기선언과 함께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시내 행진을 통해 한인들의 기상을 높였다.

1910년 2월 숭무학교를 정식으로 개교하고, 5월에는 국민회 메리다지방회 창립 1주년을 맞이하여 군사퍼레이드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7월 숭무학교 군사훈련에 필요한 ?보병요조초선(步兵要操抄選)?을 편찬하여 보급하는 등 군인양성 운동에 힘썼다.

1912년 1월 오학기나지방회(五岳基那地方會)를 설립하고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12년 10월 멕시코시티지방회 대의원, 1914년 동 지방회 회장, 1915년 대한인국민회 기관지 ??신한민보(新韓民報)?? 멕시코시티 지사원으로 선임되었다. 1918년경부터 푸에르토 멕시코(일명 부엘도, 1930년대 이후 코앗사 코알사스로 불림)로 이주하였고, 이후 푸에르토지방회에서 국민회 창립기념식 연설 등을 하였다.

1937년 12월 푸에르토지방회 교육부 위원 및 감찰원,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코앗사 코알코스지방회(일명 과사괄고지방회) 총무,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동 지방회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해방이 될 때까지 활동하였다.

1909년부터 1945년까지 광복군후원금, 독립금 등의 명목으로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共立新報(1909. 1. 13, 1. 20)
  • 新韓民報(1909. 2. 10, 4. 14, 5. 26, 6. 2, 6. 15, 6. 23, 6. 30, 7. 7, 8. 25, 9. 1, 9. 15, 10. 20, 11. 10, 11. 24, 12. 1, 12. 8, 12. 15, 1910. 2. 9, 2. 16, 3. 2, 5. 11, 6. 8, 6. 20, 7. 20, 9. 21, 1911. 7. 12, 8. 2, 8. 16, 8. 30, 9. 3, 9. 20, 9. 27, 10. 4, 11. 1, 12. 11, 12. 18, 1912. 1. 1, 1. 22, 1. 29, 3. 18, 11. 4, 1914. 2. 5, 2. 19, 2. 26, 3. 12, 3. 26, 4. 2, 1915. 7. 22, 8. 5, 8. 19, 10. 14, 1916. 9. 8, 9. 14, 10. 26, 11. 2, 1917. 8. 16, 1918. 10. 24, 11. 28, 1919. 2. 6, 3. 6, 11. 15, 1920. 6. 1, 1924. 1. 10, 4. 10, 1925. 3. 19, 7. 9, 1926. 4. 29, 1928. 3. 22, 12. 20, 1930. 3. 20, 4. 17, 1932. 8. 4, 1934. 10. 4, 1936. 4. 16, 12. 24, 1937. 2. 18, 3. 25, 7. 29, 11. 18, 12. 16, 1938. 2. 17, 8. 18, 1939. 2. 16, 3. 2, 3. 23, 6. 22, 12. 21, 12. 28, 1940. 1. 25, 4. 4, 5. 16, 5. 21, 10. 17, 11. 21, 12. 19, 12. 26, 1941. 2. 27, 3. 20, 6. 19, 9. 18, 9. 25, 11. 27, 12. 18, 1942. 4. 30, 5. 7, 5. 21, 7. 9, 9. 10, 12. 31, 1943. 2. 11, 3. 4, 4. 8, 5. 27, 10. 21, 10. 28, 11. 25, 12. 23, 1944. 3. 23, 6. 29, 1945. 1. 4, 1. 18, 4. 5, 10. 11)
  • 國民報(1937. 11. 3, 1938. 9. 7)
  • 독립운동사(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제5권 219면
  • 도산안창호전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0) 제5권 627, 651면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제10권 7, 9, 30, 112, 170, 209, 221, 223, 239~240, 251면, 제11권 91, 93, 113면, 제15권 233면, 제18권 124~131면, 제20권 29, 69면
  • 1910년 전후 미주지역 共立協會ㆍ大韓人國民會의 민족운동 연구(김도훈,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02) 155~159, 182~18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이근영 - 서울(雙林洞) -
본문
한성부(漢城府) 쌍림동(雙林洞) 출신이다. 자료에 따르면 1875년생으로 추정된다. 1905년 5월 11일 멕시코 살리나 크루즈(Salina Cruz) 항구에 도착한 1,018명의 한인 가운데 한 명이었다.1909년 2월 멕시코 유카탄반도(有佳團道, Yucatan Peninsula) 메리다(美利多, Merida)에 정착한 후 농장노동을 하면서 한인들과 함께 실업부흥을 통한 독립달성을 목적으로 친목회를 설립하고 회장에 선출되었다.1910년 2월 일본과의 독립전쟁을 통한 독립운동 달성을 목적으로 청년 수십 명을 모아서 작둔지방에 숭무학교(崇武學校)를 설립했으며, 3월에 메리다 시내로 옮겨 정식 발족시켰다. 노동시간 중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군사교육을 실시했지만, 적절한 교재가 없어 『보병요조초선(步兵要操抄選)』을 편찬하여 교재로 삼았다. 군사교육 외에도 산술·지리 등도 가르쳐 인재 양성에 노력을 기울였다.1910년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회장으로서 활동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국민회 지도자들이 1910년 2월 10일에 장경(張景)·백일규(白一圭)·문양목(文讓穆) 등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고 있던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와 통합하여 미주 최대의 한인단체로 발족한 것이다. 그 결과 국민회 각 지방회는 대한인국민회 지방회로 명칭을 변경하게 되었다. 5월 9일 메리다지방회 창립 1주년 기념식을 주관했으며, 숭무학교 학생들이 메리다 시내를 행진하여 ‘비바 코레아’(Viva Corea)라는 찬사를 받았다.1911년 12월 와하카(五岳基那, Oaxaqueños) 지방으로 이주하여 오학기나지방회 설립을 주도하고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12년 3월 대한인국민회 창립 기념식 중 일본인이 한인들의 참석현황 파악을 시도하자 격분하여 일본인을 내쫓고 독립에 대한 의지를 한인들에게 각인시켰다.1912년 10월 한인 28인과 함께 묵경지방회(墨京, Mexico City) 설립을 주도하고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지방회의 초석을 닦았다. 1914년에는 회장으로 선출되어 대한인국민회창립 기념식, 3.1운동 기념식, 국치기념식 등을 주관하였다. 1915년 7월 멕시코시티를 대표하여 신한민보사를 위한 방사원에 선정되었다. 1915년 8월에는 오학기나지방회를 대표하여 과삭쾔구루수 항구에 경찰서를 설치하여 한인들을 보호하였다. 1924년에는 푸에르토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1936년 12월 13일 푸에르토지방회 교육위원으로 선출되어 한인 2세대들의 교육에 노력을 기울였다. 1938년에는 지방회 감찰원으로 선임되었다.1939년에는 코아트사코알코스(Coatzacoalcos) 지역으로 옮겨 1940년에는 코아트사코알코스지방회 총무원으로 활동하였다. 5월 1일에는 순국선현(殉國先賢) 기념식을 주최하고 선현들의 약사(略史)를 소개하면서 독립정신을 강조하였다. 1941년부터 1945년 4월까지 지방회 총무·감찰위원으로 활동하였다.1910년부터 1945년 광복까지 국민의무금과 각종 의연금, 독립운동자금을 다수 제공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6년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이근영(관리번호:954181)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