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954169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金致日
이명 ManuelKim, 金致一, 金治一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년도 2015 훈격 건국포장
1909년부터 1912년까지 멕시코에서 메리다주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 회원, 1919년 5월부터 1920년 3월까지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구제원, 1922년부터 1925년 11월까지 쿠바 마탄사스지방회 회장, 1926년 11월 칼데나지방회 회장 등으로 활동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22권(2016년 발간)

1909년부터 1926년까지 멕시코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메리다지방회, 쿠바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카르데나스지방회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1909년 5월 메리다지방회 회원, 1911년 2월 타바스코 신한동지방회 회원, 1912년 12월경 메리다지방회 회원, 1919년 4월 위원, 1920년 3월에는 구제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21년 6월 쿠바 마탄사스에서 쿠바지방회(일명 마탄사스지방회)를 설립하고 1922년, 1923년과 1925년에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23년 회장 재임 시 카르데타스경찰소를 예비지방회로 승격시키고, 아동교육을 위해 국어학교를 설립하였다. 또한 마탄사스지방회 창립기념일, 국치기념일, 국민회창립기념일 등에서 국민회 역사 등을 주제로 강연하였다. 1926년 11월 카르데나스 회장으로 활동하며, 1919년부터 1926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新韓民報(1911. 3. 8, 1919. 5. 3, 1920. 3. 12, 1922. 2. 15, 11. 16, 11. 30, 1922. 11. 16, 1923. 2. 15, 2. 22, 4. 26, 6. 7, 6. 21, 7. 5, 8. 16, 9. 13, 9. 27, 12. 13, 12. 27, 1924. 1. 24, 2. 21, 11. 27, 12. 4, 1925. 1. 1, 2. 5, 2. 26, 3. 26, 1926. 11. 25)
  • 미주국민회자료집(도산안창호기념사업회, 2005) 제1권 352, 420면, 제3권 391면, 제9권 44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김치일 - 경상북도 대구(大邱) -
본문
경상북도 대구(大邱) 출신이다. 자료에 따라 김치일(金治一)·(金致一)으로도 쓰이기도 하였다.1905년 4월 멕시코 이민을 떠나는 배에 1,033명의 한인과 함께 탑승하여 5월 멕시코에 도착한 뒤, 4년간 노예생활을 하고 풀려났다. 1909년 5월 미주 국민회(國民會) 산하에 멕시코 메리다지방회(美利多地方會)가 창립되자,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이후 타바스코로 이주하여 1911년 2월 타바스코 신한동지방회(新韓洞地方會)를 조직하고 회원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메리다로 돌아와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4월 6일 메리다지방회는 시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 상치위원 5인을 선정할 때, 김기창·이영순·최정식·한익권과 함께 위원으로 선정되었다. 1920년에는 최대원이 사임하자 그를 대신하여 구제원으로 활동하였다.1921년 1921년 2월부터 3월까지 푸론테라와 푸로그레소 등 멕시코 각지 거주 한인 274명과 함께 쿠바로 건너가 3월 말 마나티 항구에 도착하여 정착하였다. 1921년 6월 김세원·박창운과 함께 쿠바 마탄사스지방으로 이동하여 마탄사스지방회를 설립하였고, 이듬해인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마탄사스지방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2월에는 한인사회의 단결과 통합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카르데나스경찰소를 예비지방회로 승격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한인 2세들의 한글 교육과 민족의식을 함양하고자 국어학교를 설립 운영하였으며, 재정형편이 좋지 않은 한인들을 대상으로 생활 자금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7월에는 마탄사스지방회 창립 3주년 기념행사, 8월 29일에는 국치기념을 주관하면서 한인들과 함께 해방을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의하였다. 1924년에는 박창운·서병학과 함께 건축위원으로 선정되어 낡은 지방회 건물을 새롭게 건축하고자 노력하였으며, 1925년 2월에는 쿠바 각 지역에 산재해 있던 한인들을 방문하고, 3월에는 3·1운동 기념식을 개최하여 한인들의 독립의식 고취에 앞장섰다. 1923년 3월부터 마탄사스에서 식물잡화상을 운영하다가 카르데나스지방으로 이동하여 식물잡화상을 계속하며, 1926년 11월 지방회 차기년도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26년 12월 3일 부인과 7남 1녀를 남기고 갑작스레 사망하였다.1922년 11월부터 1924년 12월까지 국민의무금 총3회 25원, 국민대표대회대표경비 명목으로 1회 1원 등 독립운동 자금을 후원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김치일(관리번호:954169)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